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

        47.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농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 8품종(얼룩찰1호, 흑점2호, 일미찰, 흑진주찰, 찰옥4호, 미백2호, 대학찰)과 수수 7품종(황금찰, 앉은뱅이수수, 목탁수수, 소담찰, DS202, 남풍찰, 동안메)에서 나방류 발생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명나방 성충은 년 3회 최성기를 보였고 담배나방류 성충들은 3-4회 최성기를 보였다. 또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및 수수의 잎과 줄기 피해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수수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8월 중순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미흑찰, 얼룩찰1호, 일미찰, 흑점2호, 미백2호 등 옥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윤환밭과 연속 밭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DS202 품종(83%와 89%)을 제외한 나머지 6종 수수 품종들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연속밭에서 높거나 비슷하였다(50-92%). 옥수수의 나방 유충에 의한 이삭 피해율은 5%(찰옥4호)에서 38%(흑진주찰)였는데, 대학찰 품종은 답전윤환밭(33%)에서 연속밭(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피해를 입었다. 답전윤환 수수 포장에서 소담찰(94%)과 DS202(82%)가 높은 피해율을 보였고, 연속밭에서는 7개 수수 품종 모두 78% 이상의 피해율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와 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평균 피해율과 평균 침입공수 간에는 각 정의 상관관계(옥수수 r=0.69윤환밭, 0.95연속밭; 수수 r=0.93윤환밭, 0.97연속밭)를 보였다. 또한 수확 후, 유기농 윤환밭 및 연속밭 포장에서 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8품종들과 수수 7품종들의 평균 피해율과 이삭무게 또는 천립중(g) 간에 부의 상관관계(옥수수 r=-0.38윤환밭, -0.49연속밭; 수수 r=-0.70윤환밭, -0.57연속밭)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유기농 옥수수 및 수수 재배포장에서 나방류의 관리가 수량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4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ease, insect damag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in an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at Anseong-si Gyeonggi province, Korea, in 2016. Seven varietie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are used in this study. A rotational upland field and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wer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an optimum cultural method and to select the best sorghum and foxtail varieties for a paddy-upland rotation system. The incidence rate of major diseases was higher for sorghum than for foxtail millet. Moktaksusu (22.8%) had the highest incidence rate among sorghum varieties. Hwanggeumchal (7.0%) had the highest incidence rate among foxtail millet varieties. DS202 (89.3%) was the most severely damaged by Ostrinia furnacalis larva, which is the main pest of sorghum and maize. The weed numbers, and the weed fresh and dry weights were lower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than in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Futhermore, the number of weed plants decreased by 42% and the dry weight of weeds decreased by 33%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compared to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The culm length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were 7.9 cm, and 3.4 cm longer, respectively,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than in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The average yield of sorghum per 10 a increased by 90%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compared to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and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for foxtail millet. The most suitable varieties for a paddy-upland rotation system were judged to be Hwanggeumchal, Donganmae, and DS202 for sorghum, and Samdachal, Samdamae, Dahwangmae for foxtail millet.
        49.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tiller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sorghum according to planting distance and sowing date.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get basic data to inhibit non-productive tillers uneconomical and cumbersome for mechanical harvesting. Also another object was to evaluate optimum planting distance and sowing date in central district area. Total number of tillers was more in 80 ㎝ ridge than 60 ㎝ ridge and it was increased as the planting distance was wider from 15 ㎝ to 30 ㎝ on the each ridge. Ratio of effective tillers was higher in 60 ㎝ ridge than 80 ㎝ ridge and it was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wider from 15 ㎝ to 30 ㎝. The lower the planting distance, the more increased total number of tillers, whereas effective tillers was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high. Average of total number of tillers of three varieties was higher in sowing date of May 2 (1st sowing date), whereas ratio of effective tillers was the highest in sowing date of May 23 (2nd sowing date). Hwanggeumchal showed the highest total number of tillers (1.2 tillers), while Moktaksusu had the lowest total number of tillers (0.8 tillers) among three varie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nting distance and days to heading and ripening date from seeding. Culm length in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high, but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1000 grain weight we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yield of sorghum per 10a was obtained from 60×20 ㎝ planting distance among 6 planting distances.
        50.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답전윤환밭과 연속밭에 풋옥수수 찰옥4호 등 8품종을 사용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발생, 생육 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풋옥수수의 체계적인 유기농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률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 발병률이 2% 미만인 흑진주찰과 대학찰 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충해인 조명나방 유충 피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 에 비해 윤환밭에서 피해주율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피해주율이 낮 은 찰옥4호와 흑점2호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수량은 윤환밭에서 연속밭의 85 %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답전윤환밭에서는 찰옥4호가 789.0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 다. 내병성, 내충성, 수량을 종합 평가하면 유기농 답전윤환 시 적합 품종으로는 찰옥4호, 흑진주찰, 흑점2호로 판단된다.
        5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u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supply basic data to inhibit non-productive tillers which are uneconomical for mechanical harvesting and to evaluate optimum planting density and sowing date in central district. Total number of tillers and effective first and second of tillers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ensity was higher in 80 ㎝ ridge than 60 ㎝ ridge in proso millet. The wider between plant distance on the ridge, the more increased total number of tillers and effective first and second of tillers. The highest effective tillers (91.7 %) in the first tillers was obtained from the second sowing date (23 May) among different sowing date and next is in the order of 3 rd (13 June, 89.8%) > 1 st (2 May, 85.6%) > 4 th (4 July, 85.2%). The percentage of effective tillers in the second tillers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2 May (53.7%), 23 May (40.7%), 13 June (22.2%), 4 July (0%) as the sowing date was delay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ys to heading and days to ripening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ensity. Although culm length was increased as planting density was increased, whereas number of tillers, stem diameter,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1000 grain weight was decreased. In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according to different sowing date, days to heading and days to ripening, culm length, stem diameter,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yield per 10a were decreased. After the sowing date of 13 June, the reduction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were higher because of excess-moisture injury.
        52.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superior resources of high yield, high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 optimal to mechanical harvesting by the evaluation of crop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in sorghum germplasm. One hundred accessions of sorghum germplasm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ate showed the range from 68 to 94 days with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was the group from 80 to 85 days, which occupied 34% (34 plant resources) of 100 germplasm. Ear types of 100 sorghum germplasm could be classified as 7 types of broom-tillering, half broom-tillering, extreme open-loose type, open-loose type, intermediate type, compact type, extreme-compact type of which intermediate type was the highest ratio of 28% (28 plant resources) of 100 germplasm. Yield showed the range from 106 to 365 ㎏/10a with the highest frequency proportion of it was the group from 150 to 200 ㎏/10a, which occupied 44% (44 plant resources) of 100 germplasm. Among 100 sorghum germplasm, 18 ideal resources of high yield and short plant height appropriate for mechanical harvesting were selected. In order to evaluate high content of functional substance, selected 18 resources were analyz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Finally, we selected 5 resources of short plant height, high yield, high content of total polyphenol and hi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18 genetic resources.
        53.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materials of baby vegetables as affected by different LEDs and luminous intensity at Anseongsi, Gyeonggi Province, in 2014. Test crops were beet, chicory, spinach, red leaf lettuce, crown daisy and red mustard purchased from the seed company of Dongbu Hannong and Jinheung. Growth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nd the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s was analyzed 40 days after seeding at plug plate. Treatment of Red+Blue (4:1) at 150 µmol m-2 s-1 luminous intensity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leaves in five baby vegetables of beet, chicory, red leaf lettuce, crown daisy and red mustard. The highest shoot length of chicory, spinach, red leaf lettuce, crown daisy and red mustard was obtained from the treatment of Red+Blue (4:1) at 150 µmol m-2 s-1 luminous intensity.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all six baby vegetables were the highest in treatment of Red+Blue (4:1) at 150 µmol m-2 s-1 luminous intensity. Content of chlorophyll a and chlorophyll b of spinach, red leaf lettuce and red mustard showed the highest in Fluorescent lamp at 150 µmol m-2 s-1 luminous intensity whereas other crops did not show definite trend under different LEDs lights and luminous intensity. The highest total content of anthocyanins and polyphenol were obtained from the treatment of Red+Blue (4:1) at 150 µmol m-2 s-1 luminous intensity in all six baby vegetable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in all six vegetable crops at 150 µmol m-2 s-1 luminous intensity, but it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LEDs.As a result, the growth and the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 of baby vegetables are generally to be increased in Red+Blue (4:1) at 150 µmol m-2 s-1 luminous intensity. Mixed light of Red+Blue is thought to give good effect on the growth and the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 in baby vegetable crops. Becaus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regard of LED lights, crop varieties, cultivation and experi-mental methods in their impact on the growth and functional materials of baby vegetables among researchers, it is considered that a more precise studies are needed for the crop responses to LED light and luminous intensity.
        5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develop optimum paddy-upland rotation system, we evaluated the 1st and the 2nd upland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sorghum rotated from paddy field and rice rotated from upland in paddy-upland rotation. Average number of ears per hill was 3.3 in the 2nd upland cultivation. The value was greater by 1 ear as compared to 1st upland cultivation (2.2 ears per hill). In average yield per 10a,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220.3 kg, 23% increased yield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179 kg per 10a). In average number of ears per hill,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8.3 ears, increased 4 ears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4.2 ears per hill). In average yield per 10a,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152.8 kg, 16.8% increased yield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130.8 kg per 10a). In average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of 5 sorghum varie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st (68.6 days) and the 2nd (67.4 days) upland cultivation rotated from paddy field. In the average number of grains per ears,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2,931.6 grains per ear, 12% increased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2,619.6 grains per ears). Average yield per 10a of sorghum in the 2nd upland cultivation showed 242.3 kg, 4.6% increased compared to the 1st upland cultivation (231.7 kg per 10a). In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rice in paddy-upland rotation, culm length in paddy-upland-paddy plot showed 82.9 cm, 7.3 cm longer compared to the continuous rice paddy field (75.6 cm). Ear length was also 1 cm longer than that of the continuous rice paddy field. In average number of ears per hill, paddyupland- paddy plot showed 25.0 ears, 4.3 ears more than that of the continuous rice paddy field (20.7 ears per hill). In average yield of rice per 10a, the paddy-upland-paddy rotation plot showed 526.8 kg, 9.8% higher yield compared to the continuous rice paddy field (479.9 kg per 10a).
        55.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파종기이동과 멀칭유무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최적파종기 및 파종한계기 구명을 위하여 5월 15일, 6월 6일, 6월 26일, 7월 13일 파종기를 4수준으로 하여 피복 및 무피복을 처리하였다. 시험품종은 조 4품종(삼다찰, 삼다메, 경관1호, 황금조), 기장 4품종(이백찰, 만홍찰, 황실찰, 황금기장), 수수 4품종(남풍찰, 황금찰, DS202, 목탁수수)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서 분양받아 2013년 경기도 안성시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조, 기장, 수수 모두 6월 6일 파종기에서 가장 컸다. 2. 수장은 조, 기장은 5월 15일 파종기에서 가장 컸고 수수는 6월 26일 파종기에서 가장 컸다. 3. 엽수는 조, 기장, 수수 모두 5월 15일 파종기에서 가장 많았다. 4. 조의 출수소요일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삼다메와 경관1호, 삼다찰은 감소하였고 황금조는 1차 파종기인 5월 15일부터 3차 파종기인 6월 26일 파종기까지는 감소하다가 7월 13일 4차 파종기에서는 6월 26일 파종기와 같았다. 기장의 출수소요일은 4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수수의 출수소요일도 4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다가 마지막 파종기인 7월 13일에는 증가하였다. 5. 멀칭 및 무멀칭구 간에는 조, 기장, 수수 3작물 모두 생육 및 수량 특성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6. 1수립수, 천립중 및 10당 수량은 조, 기장, 수수 모두 6월 26일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다. 중부지방에서 조, 기장, 수수의 최적 파종기는 6월 하순으로 판단된다. 7. 7월 13일 파종기에서는 황금조, 만홍찰, 황금기장을 제외한 나머지 품종들은 만파로 인하여 성숙기에 이르지 못하였다. 중부지방에서 조, 기장, 수수의 파종 한 계기는 7월 초순으로 판단된다.
        56.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주요 콩 품종의 파종기 이동이 isoflavone 등 생리활성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 04'N, 경도 126° 54'E)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수행되었다. 여름형콩 품종인 새올콩과 다원콩, 가을형콩 품종인 태광콩, 풍산나물콩 및 청자3호를 이용하여 파종기를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6월 30일, 7월 15일에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aidzein 함량은 모든 시험품종에서 genistein과 total isoflavone 함량은 청자3호를 제외한 시험품종에서 파종이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glycitein 함량은 다원콩을 제외한 시험품종에서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었다. 2. Cyanidin-3-glucoside(C3G) 함량은 다원콩과 청자3호, delphinidin-3-glucoside(D3G)와 total anthocyanin 함량은 다원콩에서만 파종이 늦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pelargonidin-3-glucoside(Pg3G)와 petunidin-3-glucoside(Pt3G) 함량은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었다. 3. 청자3호의 lutein 함량은 파종기에 따라 2.7~3.0 μg/g로 유의차가 없었고, chlorophyll 함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여 6월 30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4. 조지방 함량은 태광콩과 청자3호는 조기에 파종할 때 많았고 기타 시험품종은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었다. Palmitic acid 조성비는 대부분 시험품종에서 파종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tearic acid 조성비는 새올콩, 다원콩, 청자3호에서 파종이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Oleic acid, linoleic acid 조성비는 새올콩에서만 파종기가 빠를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Linolenic acid 조성비는 대부분 시험품종에서는 파종이 늦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파종기 이동에 따른 탄수화물과 조단백질 함량은 대부분 시험품종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새올콩은 조기에 파종할수록, 다원콩은 만기에 파종할수록 조단백질 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57.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래조 유전자원 325점을 대상으로 2007년에서 2008년, 2년에 걸쳐 단국대학교 전작과 포장에서 재배하여 출수기, 간장, 수형, 성숙기, 종피색, 1수립수, 천립중 등의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동시에 이들 자원의 이미지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출수기에 전식물체, 성숙기에 이삭, 수확후에 종실의 영상자료를 제작하였으며, 메찰성 분석은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증식된 종실자원으로 요드반응을 조사하였다. 재래조 유전자원 325점은 용도별로 메조 49%(159점), 차조 51%(166점)로 나눌 수 있었으며, 메조, 차조를 합쳐서 강원도 29%, 경북도 25%, 경기도12% 순으로 수집도수분포가 높았다. 용도별 남한지역별 분포는 메조에서는 경북도가 전체의 22%, 차조에서는 강원도가 전체의 17%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어 용도별 지역특이성이 뚜렷하였다. 이삭모양 분포는 메조, 차조 공히 원통형 42%, 원추형 31% 순으로 가장 높았고, 또한 간장은 메조에서 장간이나 단간이 많았으며, 숙기는 메조에서는 조생종이, 차조에서는 만생종이 수집분포비율이 높아 용도별 특이성도 뚜렷한 경향이었다. 재래조 중 대표적인 자원은 극조생이며 곤봉형인 자원은 삼척메조-2(IT103288), 극조생이며 원통형인 자원은 강화차조-10(IT209312), 극조생이며 방추형인 자원은 강화차조-11(IT209313), 중생이며 선단분지형은 정선차조(IT104454), 중생이며 분지형인 자원은 화성차조-1(IT103755), 극만생이며 원추형인자원은밀양차조(IT185955)등 이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다양한 한국 재래조 유전자원은 자원주권 확보 및 육종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5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ifts in sowing time on the ecological responses, growth and yields of major soybean cultivars in a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Naju, Jeonnam Province (latitude 35° 04'N, longitude 126° 54'E)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The test cultivars included Saeol-kong and Tawon-kong of the summer type,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of the autumn type. Sowing took place on May 15 and 30, June 15 and 30, and July 15 of each year. Of the summer type soybean cultivars, Saeol-kong showed a smaller curtailment in days from sowing to flowering,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and days from sowing to maturity according to sowing time postponement than Tawon-kong. Of the autumn type soybean cultivars, Taekwang-kong exhibited a lower photoperiodic response in reproductive growth period than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both of which recorded higher level photoperiodic responses in vegetative growth stages and reproductive growth periods than other test cultivars, with the former exhibiting higher levels than the latter. Most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decrease in stem length,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and stem diameter according to postponed sowing tim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m length and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of the Saeol-kong cultivar. Differences in sowing times did not affect the first setting pod node order of Saeol-kong and Tawon-kong summer type cultivars of internode lengths of all of the test cultivars. All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show decreases in pod number per plant due to postponement of sowing time except for the Saeol-kong cultivar. The variation was more prominent in small grain cultivars such as Tawon-kong and Pungsannamul-kong with the latter autumn type cultivar showing especially large variation. Yields were the greatest for the Tawon-kong,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cultivars sown on May 30 and Cheongja3 sown on May 30 and June 1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ields of Saeol-kong for different sowing times from May 30 to July 15, with the yields lowest for the batch sown on May 15.
        5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 합성에 관여하는 요인 중 평균기온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생태형이 다른 일품검정콩, 청자콩, 흑청콩 3품종을 사용하였다. 파종은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3시기에 재식밀도 60×15cm 로 하였다. 재배관리는 경기도 콩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하였다. 아이소플라본 함량 분석은 개화기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수확기까지 채취하여 얻은 시료를 UPLC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시험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을수록 높았다. 2.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품종과 파종기에 관계없이 genistein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daidzein, glycitein 순이었는데, glycitein은 개화기 후 45~55일경 이후에는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고, 등숙기간중 기온변화에 안정적이었다. 3. 아이소플라본 중 genistein 함량이 daidzein 함량보다 높아진 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 후 50~55일, 청자콩은 개화기 후 40~55일, 흑청콩은 개화기 후 60~65일이었다. 4. 등숙기간중 개화기 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평균기온과 아이소플라본 함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품검정콩에서 genistein은 y=-15.28x+407.9 (R2=0.505* ), 청자콩에서 diadzein은 y=-6.188x-164.5(R2=0.454* )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genistein은 y=-11.59x+297.6(R2=0.545**)으로 고도의 유의한 상과관계를 보였다. 5. 아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은 검정콩 생산이 적합한 지역은 등숙기간중 립비대기(R5 )~생리적 성숙기(R7 )의 평균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기북부지역과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의 내륙지역과 고지대일 것으로 고찰되었다.
        6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안정한 조 생산은 위한 친환경적 유기재배를 위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효율적인 작부체계 개선을 위하여 조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조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출수일 비교시 비닐피복 이식구에서 4일, 헤어리베치 이식구에서 3일 먼저 출수하였다. 초장은 헤어리베치 이식구, 비닐피복 이식구와 직파구, 헤어리베치 직파구 순으로 92.4%, 86.9%, 50.2%, 24.6%로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작은 호밀 직파구와는 -63.7%의 차이가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에서는 비닐피복구와 헤어리베치구 높게 나타났다. 2. 헤어리베치구에서 방제가가 70% 이상으로 높았으며, 화본과와 광엽 잡초의 분류 비교시 헤어리베치구에서는 화본과와 광엽잡초 모두 9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났으며 호밀구에서는 화분과 잡초에서는 47% 이상, 광엽잡초에서는 90% 이상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3. 수량비교에서는 헤어리베치 이식구>비닐피복 이식구>호밀구 이식구≒무처리 이식구>헤어리베치 직파구>비닐피복 직파구>호밀구 직파구≒무처리 직파구 순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