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9

        41.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왕산의 과거 기록자료 및 문화경관지역에 나타난 소나무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소나무림 경관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왕산의 과거 소나무림은 정선, 장시흥, 강희언의 산수화에서 잘 표현되어 있는데, 주로 동사면 능선부의 암반 주변을 표현하고 있었다. 인왕산 사진자료는 1800년대 말부터 기록되어 있는데 소나무림은 주로 서측 사면 저지대와 능선부에 분포하고 있었다. 인왕산의 문화유적 주변과 암반 주변 경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소나무림이 우점하고 있었다. 인왕산의 과거 소나무림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현존식생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은 51.87%, 인공림 변화한 지역이 25.80%이었다. 산림 저지대 소나무림은 대부분 시가화지역(10.16%)으로 변화되었다. 인왕산 소나무림 경관 복원을 위한 관리유형구분은 보전관리, 소나무복원관리, 유지관리로 설정하였다. 보전관리는 소나무림 분포지와 암반 분포지역으로 설정하였고 소나무 복원관리는 능선부의 자생종 낙엽활엽수 분포지, 외래종 식생 분포지와 산림 내 훼손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유지관리지역은 인왕산 저지대 시가화지역과 인왕산 정상부의 군부대 입지지역으로 설정하였다.
        4,600원
        47.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최근 세계 여러 나라의 가장 중요한 이슈는 각종 환경오 염, 기후온난화 등 환경문제로서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환경문제의 주된 원인은 과학기술 문명의 급속한 발달로 자연환경에 대한 가치관이나 생태윤리의식, 자연 신비에 대한 경외감과 감상력 등의 인성적 요인의 결 여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송상헌과 김현재, 2001). 환경문제는 결국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변화 시키지 않는다면 해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간의 생활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적인 과정을 통하여 인간 의 환경에 위해적인 생활태도를 환경친화적인 방향으로 변 화시켜야 하므로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무엇보다도 강하게 제기된 것이다(남상준, 1994).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 도시 환경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욕구 등이 증대되면서 자연에 대 한 관심이 크게 늘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여행문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역사․문화와 환 경․생태에 대한 체험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차량을 이용하 지 않고 도보와 자전거로 이동해 주변 경관을 탐방하는 일 은 특히 역사문화유적과 자연생태환경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미 오래전부터 민간단체와 개인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유적과 자연경관을 도보로 답사하는 문화가 확산 되어 왔다(송인주, 2008). 경기도 과천시 청계산 자락에 둘러쌓인 서울대공원 산림 욕장은 지난 1994년 오솔길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현재까지 산림욕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서울대공원 삼림욕장에 서는 󰡐햇빛숲속여행󰡑, 󰡐달빛숲속여행󰡑, 󰡐숲에서 놀자󰡑라 는 자연생태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대상은 주로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나무와 풀, 숲과 관련된 문화와 체험을 내용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학습프 로그램은 숲해설가에 의한 가이드 형태로 교육이 이루어지 며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숲과 자연에 대한 기초적인 단 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어린이는 물론 청소년과 성인 그리고 더 나아가 산림생태계 에 관심이 높은 대학생과 산림생태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폭넓은 층이 교육할 수 있는 전문적인 산림생태 해설자원 도출과 해설프로그램에 대한 도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대공원 산림욕장 일부 등산로와 그 주변 숲을 대상으로 산림에 서식하는 동․식물 및 자연환 경에 대한 이해 등 산림생태에 관한 일반적인 기초교육과 산림식생구조, 산림생태의 특성, 산림생태변화 등 산림생태 계를 이해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 프로그 램으로 구분하여 산림생태관찰원으로 조성할 수 있는 방안 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지는 서울대공원 내 산림욕장 일부 등산로와 그 주변 숲 2,336,393㎡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대상지가 위치한 서울대공원 및 청계산에 대한 대상지 개황은 과천시지 및 서울대공원 관리현황 자료를 조사․분석하였다. 산림이용객에 대한 의견수렴은 서울대공원 산림이용자 41명을 대상으로 총 17개 항목에 대해 연구 수행자가 직접 설문조사하였고 2010년 11월 23일에 실시하였다. 자연생태 현황은 현존식생, 야생동물 서식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현존식생은 산림생태관찰원 조성 구간인 산림 욕장 주변에 대하여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교목층 의 식생상관 및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하여 도면화하였다. 야생조류의 서식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line transect 방 법에 의하여 일출 후부터 정해진 경로를 걸어가며 좌우 25m에 나타나는 야생조류를 육안 및 쌍안경으로 관찰하고, 울음소리, 나는 모양 등으로 종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양 서류는 연구대상지 등산로의 좌우 10m 정도를 기준으로 이동 중인 개체와 돌밑 혹은 숲속에 은신하고 있는 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노선 폭은 1/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바탕으로 서울 대공원 산림욕장 조사 구간에 대하여 노선 폭을 측정하고 1m 미만, 1.0~1.5m, 1.5~2.0m, 2m 이상으로 유형화한 후 각 구간별로 도면화하였다. 노면현황은 1/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바탕으로 서울 대공원 산림욕장 조사 구간에 대하여 노면 정비 상태에 따 라 자연흙다짐, 통나무계단, 목재계단, 목재데크, 징검다리 등 9종으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이를 각 구간별로 도면화하 였다. 종단경사는 1/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바탕으로 SUUNTO SL04007 Compass를 이용하여 경사 변화에 따 라 5° 미만, 10~15°, 15~20°, 20° 이상으로 구분하여 조사하 고 이를 각 구간별로 도면화하였다. 해설자원 현황은 노선주변 자연자원 현황 및 노선주변 주요 식생군락 군집구조로 조사․분석하였다. 노선주변 자연자원 현황은 연구대상지 노선을 따라 이동 하면서 좌․우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폭 안에 나타나는 동․식 물 개체 및 자연생태계 현황을 1/5,000 수치지형도에 표기 하고 자연자원을 유형화하였다. 노선주변 주요 식생군락 군집구조는 상대우점치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지 개황 서울대공원은 자연경관이 우수한 청계산 자락에 동물원 과 식물원을 갖춘 국내 최대 규모로 조성되어 1984년 개원 한 우리나라 대표적인 공원이다. 서울대공원 내 산림욕장은 1993년부터 1994년까지 2년 간 조성하여 1994년 7월 개장하였다. 당초 산림욕장 조성 목적은 시민들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건강증진은 물론, 자연 체험학습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 산림욕장 이용은 건강을 위한 등산 목적으 로 이용될 뿐 자연체험학습 공간으로의 이용은 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구체적인 자연자원을 이용한 해설프로그 램이 부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산림생태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은 최근의 추세임에도, 자연성이 높고 안정된 도시숲의 자연자원을 이용한 전문적 인 산림생태 해설프로그램은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 연경관이 우수하고 다양한 동․식물 등 자연자원이 풍부한 서울대공원 내 연구대상지를 중심으로 산림생태와 관련한 기초교육프로그램과 타 지역에서 운영되는 생태프로그램 과 차별화된 전문적인 산림생태교육을 위한 해설자원 도출 과 해설프로그램이 필요한 상황이다. 2. 산림이용객 의견 서울대공원 산림생태관찰원 조성 개념과 조성 방향을 설 정하기 위하여 서울대공원 산림이용자 41명에게 총 17개 항목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설문 결과를 도출하였다. 설문 응답자 본인 스스로 느끼는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도 가 높다는 응답이 61%였으며, 도시숲을 이용하여 자연생 태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3%로 높게 나타났다. 서울대공원 산림욕장과 그 주변 숲 을 대상으로 산림생태를 이해하고 해설하는 시설 및 프로그 램을 운영할 수 있는 산림생태관찰원 조성에 대해 68.3%의 응답자가 적정하다고 답변하여 산림생태관찰원 조성에 긍 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산림생태관찰원의 조성 방향 은 가능한 자연그대로 활용하되 최소한의 필요한 시설물에 대해 자연소재를 이용하여 생태해설판과 휴식공간을 조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수렴할 수 있었다. 3. 서울대공원 산림욕장 자연자원 현황 연구대상지의 자연자원 현황은 현존식생, 야생조류, 양 서류, 자연관찰로변 개별 자원으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하 였다. 첫째, 서울대공원 내 연구대상지는 수도권 도시숲의 산림 특성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원식생이 파괴된 후, 낙엽활 엽수 자연림으로의 안정된 2차 천이 과정에 있다. 특히, 온 대중부림의 도시숲에서 나타나는 신갈나무군집이 63.4% 를 차지하고 있는 안정된 산림 식생 구조를 가지고 있는 지역으로써 수도권 도시숲을 대표할 수 있는 자연성 높은 식생분포를 갖추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지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26종 185개체 였다. 야생조류는 연구대상지의 자연관찰로에서 쉽게 관찰 할 수 있었다. 특징적인 것은 자연성이 높은 숲에서 서식하 는 딱따구리류가 자주 눈에 띄어 야생조류 탐방에 적합한 지역으로 판단되며 산림생태 해설자원으로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연구대상지에서 조사된 양서류는 계곡산개구리와 도롱뇽 2종이었다. 특히, 도롱뇽은 연구대상지 내 󰡐선녀못 이 있는 숲󰡑휴게공간 주변으로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과 󰡐다람쥐광장󰡑옆으로 흐르는 계곡, 󰡐원앙이 숲󰡑휴게공 간 옆을 지나 조절저수지로 흐르는 계곡에서 많은 양의 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관찰로변 개별 해설자연자원은 총 127개소를 조사 하였고 자연자원의 유형은 동물과 식물의 생물종, 산림생태 계, 경관자원 4가지 유형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동․식물의 생물종은 5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으며 산림생태계는 11가 지 유형으로, 경관자원은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4. 자연관찰로 구조 연구대상지의 자연관찰로 구조는 노선현황과 이용지역 현황에 대해 조사․분석하였다. 노선현황 분석결과 노선 폭은 대부분 1.0~1.5m로 전체 노선 중 82.8%를 차지하고 있어 자연관찰로 적정 노선 폭 1.5~2.0m에 비해 다소 협소하였다. 대상지 탐방로는 전체 적으로 자연 흙과 통나무계단 등 자연물로 조성된 노면이 96.4%로 조성되어 자연경관과의 위화감이 없었으며 노면 상태가 양호하여 보행에 불편함이 없었다. 대상지 탐방로 중 경사 10° 미만이 67.8%로 대부분 완경사지로 보행 여건 이 양호하여 자연관찰로 조성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용지역 현황에 대한 결과는 자연관찰로 조성의 적정 거리가 1,000~2,500m임을 고려할 때, 연구대상지 노선거 리가 4,000m로 다소 길어 자연관찰로 조성 시 두 곳의 샛길 을 활용하여 자연관찰로의 다양한 구간 설정이 가능하였다. 5. 산림생태관찰원 조성 방향 및 내용 서울대공원 산림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시 민들이 자연환경과 자연생태에 높은 관심이 있음을 확인하 였고 연구대상지의 숲을 이용한 자연생태체험시설 및 해설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서울시에서 운 영하는 주요 공원의 최근 생태관련 이용프로그램을 분석하 여 이와 차별화된 전문성 있는 생태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서울대공원 산림욕장의 탐방로를 중심 으로 산림에 서식하는 동․식물에 대한 생물종 이해와 자연 환경에 대한 이해 등 산림생태에 관한 일반적인 기초교육과 산림식생구조, 산림생태의 특성, 산림생태변화 등 산림생태 계를 이해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프로그램 으로 주제를 설정하였다. 자연해설자원은 식물과 동물의 생물종, 산림생태계, 경 관자원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식물의 생물종은 대경목, 목 본, 덩굴식물, 초본, 식물비교 내용으로 세분하였고 동물의 생물종은 야생조류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산림생태 계는 산림계곡습지, 산림계류습지, 계곡용출습지, 천이, 식 생구조,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림, 인공림, 산림복원, 산림 주연부, 산림병해충에 대한 내용으로 세분하였다. 경관자 원은 산림경관, 저수지경관, 소리경관에 대한 내용으로 세 분하였다. 산림생태의 기초적인 생태교육에 필요한 자연해설자원개발은 연구대상지 전체 노선의 거리별 자연자원현황을 활 용하였다. 자연해설자원은 동․식물의 생물종, 경관자원에 대한 내용으로 자연해설자원 51개소를 정리하였다. 산림에 대한 전문적 생태교육에 필요한 생태해설자원 개 발은 연구대상지의 산림식생구조, 산지습지구조, 야생조류 서식 특성, 경관자원을 대상으로 산림생태계를 이해하고 체 험학습을 할 수 있도록 총 52개소의 산림생태해설자원으로 설명하였다. 산림식생구조는 12개의 식생유형으로 신갈나 무림, 상수리나무림, 물푸레나무림, 밤나무림, 신갈나무-소 나무림, 산벚나무-리기다소나무림, 오리나무-물박달나무 림, 리기다소나림-신갈나무림, 리기다소나무-팥배나무림, 잣나무림, 아까시나무림, 밤나무-산벚나무림 군락 16개소 에서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산지습지는 산림계류습지, 산림계곡습지, 산림저류습지 3개 유형으로 4개소에서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 며 야생조류 서식 특성은 봄과 여름 계절별 자주 출현하는 오색딱따구리 등 15종을 중심으로 21개소에 해설내용을 설 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관자원은 자연관찰로를 따라 이동 하면서 산림경관, 계곡경관, 조절저수지 경관 등 가장 아름 다운 경관을 연출하는 곳을 대상으로 11개소에 해설내용을 설정하였다. 인용문헌 남상준(1994) 학교환경교육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환경위생학 회지, 20(1): 1~7. 송상헌, 김현재(2001) 생명의 숲에서의 자연환경 체험 프로그램 자 료개발 - 홀리스틱 교육에서의 통합적 환경교육 접근방안으로 -.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3: 79-132. 송인주(2008) 서울시 생태관광을 위한 생태탐방로 조성방안. 서울 시정개발연구원, 136쪽.
        4,000원
        48.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국내 저수지는 생활용수 및 농업용수를 비롯한 귀중한 수자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도시화의 확산 및 개발, 관개면적의 감소, 여기에 토지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택지 확장 등의 도시개발정책에 의해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는 고유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장병관 등, 2008; 송용 현, 2008). 현재 대부분의 소형 저수지들이 가지고 있는 식 수 및 농수 공급의 기능은 대형 저수지들이 전담하게 되어, 저수지로서의 역할보다는 저수지 목적 외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최원 등, 2008). 저수지의 활용이 주로 낚시터 및 친수 여가공간으로 활용 됨에 따라 저수지의 수질이 오염되고 쓰레기 방치, 무단소 각, 대형 차량 통행으로 인한 둑 붕괴 등의 위험이 있다. 과도한 이용 및 시설 도입으로 경관이 불량하고 생태적 가 치가 감소하였으며 자연체험 및 관찰기회가 상실되었다. 최근 생물자원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인식이 개선되면서 지역에 소규모로 조성된 농업용수 공급 목적의 저수지도 육상생태계와 수생생태계가 만나는 추이대로서 생물다양 성이 높은 공간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저수지는 물을 포함하여 생물다양성이 높은 추이대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 고 있어 양호한 환경을 유지할 경우 수질정화 기능, 야생동 식물 서식처 기능, 인간의 자연환경 욕구 충족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이수동과 김상범, 2009). 이러한 욕구 충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생태공원은 도 시의 팽창과 개발에 따른 환경문제, 물리적 인공 환경에 대 한 가치구조 변화로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도 증가와 욕구 충족, 경제적 측면에서 비용 절감 등의 이유로 대두된 새로 운 유형의 공원이다. 생태공원은 생물 서식공간 조성, 서식 처 보호⋅복원, 자연관찰 공간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 간으로 인간과 자연의 조화적 공존이 내재된 장소라고 하였 으며, 생태공원 개발은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 보전과 활용 을 극대화함으로써, 환경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가능하 게 할 수 있다(Russel, 1994; Hall, 1995; Simpson, 1999).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한 발전으로 개발압력이 높고 강원도 기초지자체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생태공원이 전무한 원주시의 도시근교 매지저수지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로 인한 유원 지화 및 생태계 파괴 압력에서 벗어나 저수지 활용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보전․복원․이용이 가능한 생태공원 조성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연구대상지인 매지저수지는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일원 에 위치하고 있으며, 원주시가지와 약 8㎞ 거리에 위치하였 다. 대상지 주변은 기업도시, 혁신도시를 추진하면서 급 격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저수지 주변 개발 압력이 높은 곳이다. 연구는 매지저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는 능선을 중심으로한 유역권을 대상지로 설정하여 현존식생 및 토지이용을 조사하였으며. 매지저수지 주변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2. 조사분석 방법 매지저수지의 생태공원화 계획을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 및 계획여건을 분석하였다. 생태적 특성 분석에서는 식물생태와 동물생태 분야로 나누어 조사 하였으며 계획여건 분석에서는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분야 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2010년 5월에 매지저수지 동선 주변을 대 상으로 생육하고 있는 식물종 목록을 조사하였으며, 야생조 류 조사는 등산로와 정해진 경로를 따라 걸어가며 좌·우 25m 정도 이내에 출현하는 야생조류를 육안 및 쌍안경, 야 외 망원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울음소리, 나는 모양 등으 로 식별하여 야생조류 종명, 개체수, 주요 행동 등을 파악하 고 출현지를 도면화 하였다. 양서류는 계곡주변과 습지, 돌 밑, 웅덩이 등에 은신하고 있는 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포유류는 서식이 용이한 지역을 대상으로 직접 관찰하거나 배설물, 발자국, 은신처, 흔적 등을 조사하여 종을 추정하였 고 출현지를 도면화하였다. 곤충류(나비, 잠자리)는 대상지 내 조사구 3개소를 선정하여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현존식생은 토지이용과 식생상관을 바탕으로 식생이 분 포하지 않는 지역은 토지이용유형을, 식생이 분포하는 지역 은 교목층 우점종의 식생상관에 의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도면화 하였다. 비오톱 유형은 현존식생과 토지이용 현황을 바탕으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도시화지역으로 대분류하 였다. 중분류는 생물서식 가능성에 의해 소분류는 개방수 면율, 습지공간유형, 하천유형, 하천토지이용, 식생성상, 식생생성유형, 녹지유형, 토양습윤조건, 토지이용유형에 의해 세분류는 식생생성유형, 층위구조, 토양습윤조건, 생물서식처에 의해 유형을 분류하였다. 비오톱 평가는 자연성, 다양성/희귀성, 잠재성과 오염강 도(이수동, 2007)를 추가하여 평가항목으로 나누었다. 평가 항목의 배점은 자연성, 다양성 및 희귀성, 잠재성은 유무에 따라 1점, 0점으로 각각 부여하였으며, 오염강도는 유발 발 생 강도에 따라 높음 -2점, 보통 -1점, 낮음 0점으로 부여하 여 평가하였다. 유형별 합계점수는 -2~2점으로 5단계의 등간격으로 구분하여 Ⅰ~Ⅴ등급으로 가치등급을 구분하 였다. 결과 및 고찰 1. 생태적 특성 및 계획여건 식물생태는 현존식생, 식물상을 동물생태는 야생조류, 양 서류, 포유류, 곤충류를 조사하였다. 토지이용 및 현존식생 분석결과 산림이 70.7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초지 및 경작지가 10.96%, 하천 및 호소가 5.41%, 시가화지역 이 12.84%를 차지하였다. 식물종은 총 74종으로 33과 61 종 12변종 1품종이고 이중 귀화종은 6종이 출현하였다. 저수지 주변에 출현하는 주요 식물종으로는 수변부에 버 드나무, 갈대, 붓꽃이 출현하였고, 북동측 산림부 산책로 주변으로는 노랑물봉선, 애기나리, 둥글레 등이 군락을 이루어 출현하였다. 야생조류는 총 35종 594개체가 출현하였다. 주요 출현종 으로는 물가에서 먹이를 구하는 종이 15종으로 가장 많았 고 개체수로는 흰뺨검둥오리가 384개체가 출현하였다. 보호종으로는 천연기념물 제327호인 원앙이 관찰되었다. 거북섬에서는 왜가리, 물총새 서식처가 관찰되었으며 매지 천 유입부는 모래톱이 잘 형성되어 있어 보호종인 흰목물떼 새가 관찰되었다. 양서류는 산림과 인접한 매지천 얕은 웅덩이에 북방산, 계곡산개구리의 알덩이가 관찰되었다. 포유류는 총 5과 5종이 15개소에서 수달, 고라니 등의 배설물, 족적, 섭식 흔적 등이 관찰되었다. 그중 수달은 매지저수지와 연결된 제방과 북동측 산림 하부에서 배설물이 관찰되었다. 나비류는 총 4과 10종 40개체로 네발나비과가 5종으로 가장 많았다. 잠자리류는 총 7과 15종 174개체로 6월에는 방울실잠자리가, 8월과 10월에는 고추좀잠자리와 깃동잠 자리가 우점하였다. 계획여건으로 자연환경은 기후 및 기상, 표고, 경사도, 향, 동선현황, 수계구조, 수질을 인문환경은 저수지 개요 및 역사, 주변 도시개발 특성, 저수지 이용 특성, 인구현황 및 특성, 관광 및 휴양 등 분석하여 생태공원으로서 잠재력 및 계획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표 1과 같다. 2. 종합분석 주요 공간별로 크게 자연형하천 및 모래톱, 조성녹지, 저 수지 수변부, 산림지역, 경작지 및 조성녹지, 제방 등 10개 공간으로 구분하여 항목별 현황 및 특성을 종합하였다. 자연형하천 및 모래톱은 비오톱평가 등급 Ⅰ지역으로 하 천변 웅덩이를 중심으로 개구리알이 다수 분포하였고 야생 조류의 서식처 역할을 하는 갈대, 모래톱이 분포하여 흰물떼 새, 노랑할미새 등 다양한 종이 관찰되었다. 서측 저수지 수 변부는 등급Ⅰ~Ⅱ지역으로 버드나무림이 잘 발달되어 야생 조류의 서식처로서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어 원앙, 흰뺨 검둥오리, 왜가리 등이 관찰되었다. 북서측 산림지역은 등급 Ⅰ~Ⅱ지역으로 상수리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산림내부 에 묵논습지가 육상화로 진행중이였다. 저수지 수변부는 등 급 Ⅰ지역으로 산책로변에 바라본 경관이 우수하였으며, 거 북섬은 등급Ⅰ지역으로 저수지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왜가 리, 물총새 서식처가 발견되었다. 동측 저수지 수변부는 등급 Ⅱ~Ⅲ지역으로 서측과 마찬가지로 버드나무림이 우수하여 서식처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었다. 3. 생태공원 조성 방향 및 구상 매지저수지 생태공원 계획의 조성방향은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매지 저수지의 수변생태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매지저수지 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공간 구상은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공간별 특성에 맞는 주제를 설정하였다. 핵심지역은 비오톱유형 평가 등급 Ⅰ지 역으로 자연생태 관찰공간으로 구분하였고, 완충지역은 비 오톱유형 평가 등급 Ⅱ~Ⅴ 지역으로 자연생태 관찰공간, 자연생태 체험공간, 자연생태 문화공간으로 구분하였다. 전 이지역은 비오톱유형 평가 등급 Ⅳ~Ⅴ지역으로 수변생태 ⋅문화 진입공간, 자연생태 체험공간으로 구분하여 크게 4 개의 공간주제별로 공간구상을 하였다. 4. 생태공원 기본계획 매지저수지 생태문화공원은 크게 4개 공간으로 구분되며 12공간으로 세부 구분하였다. 수변생태․문화 진입공간은 비 지터센터 및 사랑의 정원을, 자연생태 관찰공간은 산새소리 원, 야생조류관찰원, 묵논습지관찰원을 계획하였다. 자연생 태 체험공간은 풀향기원, 소나무숲관찰원, 천연염료체험원 을 수변생태․문화공간은 수서곤충원, 버들원, 수생식물관찰 원을 계획하였으며 주요 계획 내용은 표 2와 같다. 인용문헌 이수동(2007) 택지개발지구에서의 비오톱 평가에 기초한 환경생태 계획 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22-38. 송용현(2008) 소형 저수지의 이용 실태와 환경 변화 분석 - 경기도 진 위천 유역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0쪽. 장병관, 황보철, 황국웅(2008) 농업용 저수지 유역의 보전전략 수립 을 위한 특성평가지표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35(6): 14-20. 최원, 김한중, 윤성수, 김종옥, 정남수, 이형진, 한이철, 이정재(2008) 시․군 관리 저수지 실태 조사 및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 공학회논문집 50(3): 31-41. Hall, M.(1995) Ecotourism or ecological imperialism. The Geographical Magazine, 67(1): 19-20. Russel, C. L.(1994) Ecotourism as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7(1): 16-22. Simpson, D. R.(1999) The price of biodiversity. Issues in Science & Technology, 15(3): 65-71.
        4,000원
        49.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성황림(천연기념물 제 93호)은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 남리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숲으로, 잘 보존된 전형적인 온 대 낙엽활엽수림대가 특징으로 학술적인 가치가 높은 숲이 다. 성황림의 성황은 서낭의 원말로 서낭신이 있는 숲, 마을 을 지키는 혼령을 모신 집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1933년 제령(制令) 제6호로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 보존령 의 공포에 따라 1940년 7월까지 지정 고시된 119건의 천연 기념물 중 제93호로 지정되어 보호되어 왔다. 그러나 이용 객들의 무분별한 이용에 의하여, 성황림 하부의 토양경도가 상승하고, 하층식생이 전무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성황림에 관한 연구로 이경재 등(1987)은 성황림 식생현 황을 면밀히 조사하여 하층식생이 전무한 관리부실을 지적 하고 성황림 보호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원성군은 1989년 평지 성황림 보호를 위하여 철책을 설치하고 도로 노선을 성황림 밖으로 변경하는 등의 보호작업을 실시하였 다. 이러한 보호작업에 의한 생태적 변화 연구로 김갑태 (2007)는 성황림의 치수분포 현황 등을 분석하여 교목 수종 들이 점차 관목층 식생에서 아교목층으로 발달하는 것이 파악되어 생태적 복원이 느리지만 진행하고 있다고 하였다. 성황림과 주변 성남리 마을은 치악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 한 관계로 자연환경이 비교적 잘 유지될 수 있었지만(최재 웅 등, 2007), 2010년 9월 1일부로 성황림 주변지역이 국립 공원지구에서 해제됨으로써, 주변 지역에 대한 훼손 및 개 발 압력이 높아져 이에 따른 관리방안 모색이 필요한 실정 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황림내 온대 낙엽활엽수림을 지 속적으로 보전 및 복원하기 위한 식생분포 현황의 기초 데 이터구축 및 24년간 변화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성황림의 보전 및 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원주시 성황림은 행정구역상 신림면 성남리 마을에서 다 소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성황림의 전체 천연기념물 지정면적은 성남리 산 191 및 산 192, 산 193번지의 필지면 적 합계인 56,231㎡이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ArcGIS 9.3)으로 구적된 면적인 58,674㎡를 전체면적으로 설정하였으며 크게 도로를 중심으로 평지림과 사면림으로 구분된다. 성황림이 위치한 원주시의 과거 10년간 연평균기 온은 11.9℃(1998~2007년)이며 평균강수량은 1,441.4mm, 평균풍속은 1.1m/sec이다. 기후 특성은 기후인자와 식생과 의 관계를 고려할 때 동일 위도상의 인천이나 수원에 비해 사계, 한서의 구분이 더욱 뚜렷한 내륙성 기후이며 서어나 무, 까치박달, 느릅나무 등이 생육하는 온대 중부 기후대에 속한다. 성황림은 치악산국립공원의 시명봉(1,187m), 응봉산 (1,064m), 선바위봉(999m)으로 둘러 쌓인 지형의 성남2 리 마을 남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지림 동측으로 주포천이 흐르고 있고, 현재 평지림의 경계부에는 철책이 둘러쳐져 사람들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성남리 주민들은 치악산의 성황신을 마을 수호신으로 믿어 지난 100여 년 동안 매년 음력 4월 초파일과 9월 9일에는 마을의 평화를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왔다. 성황림은 온대 지방을 대표할 만한 낙엽 활엽수림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고, 우리 조상들의 과거 종교관을 알 수 있는 민속자료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으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ㆍ보호하고 있다. 2. 조사분석방법 성황림의 토지이용 및 현존식생 조사범위는 평지림과 사 면림을 모두 조사하였다. 현존식생 조사는 토지이용 특성과 교목층 우점종의 식생상관을 바탕으로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으며, 조사 시 현존식생 공 간별로 층위별 우점종, 평균수고, 평균흉고직경, 식피율 등 생태적 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성황림의 식생분포 현황 조사는 방형구법을 응용하여 10m×10m 27개소, 10m×20m 2개소, 20m×20m 55개소 방 형구 총 2.51㏊를 설정하였다(그림 1). 조사 대상 수목은 성황림 평지림내 생육하는 수목 중 수고 3m 이상을 교목층 과 아교목층, 수고 3m 미만인 종은 관목층으로 구분하였다. 수목의 분포위치와 고유번호를 도면에 표시하고 수고와, 흉 고직경, 수관폭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 수종 현황은 ArcMap 9.3을 이용하여 분포위치와 규격 등 Database를 구축하였다. 대경목은 전체 수목들 중 흉고직경이 30cm이상인 수목들에 대하여 흉고직경별 분포 현황을 분석하여 이경재 등(1987)과 백길전과 김갑태 (1999)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고 소나무, 졸참나무, 복자기 와 느릅나무 총 4주의 수령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토지이용 및 현존식생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에 위치한 마을숲인 성황림 의 토지이용 및 현존식생 분석 결과 총 20개 유형으로 분류 되었으며, 총 면적은 58,674㎡이었다. 이 중 산림이 86.24% 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하천 8.21%, 대상지 중심을 가 로지는 도로가 2.44%로 분포하고 있었다. 산림지역은 졸참 나무림(29.0%), 층층나무-산뽕나무림(21.52%)와 소나무림 (12.81%)의 분포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었고, 대상지를 대표 하는 특이 식생으로 대경목의 복자기림, 복자기-느릅나무림 이 6.94%로 대상지 중심 서낭당 주변으로 분포하였다. 수계 를 포함하고 있는 대상지 특성상 층층나무-산뽕나무림, 물 푸레나무림, 버드나무림이 23.43%로 비교적 넓게 나타나 고 있으며 외래종으로 아까시나무-산뽕나무림 1.25%, 은사 시나무림 0.19%가 분포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는 성황림이라는 특성상 100여년 동안 제 사를 지내며 동측 평지지역 주변으로 펜스를 둘러 보호하여 비교적 잘 보전되어 왔다. 하지만 대상지 내 분포하는 밤나 무, 아까시나무, 은사시나무 등 외래수종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식생 분포 현황 신림면 성남리에 위치한 마을숲인 성황림의 동측 평지 지역에 대하여 전체 수목 조사를 한 결과 총 88종 1,602개체 로 분석되었다. 층위구조별 종 출현을 살펴보면 교목층 34 종 500개체, 아교목층 65종 1,102개체, 관목층 70종이 생육 하였다. 출현종별로 살펴보면 복자기가 342주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생육하였고 느릅나무 277주, 졸참나무 168주, 물 푸레나무 96주, 소나무 57주이었다. 그 중 백길전과 김갑태 (1999)가 천이계열 수종으로 예측한 졸참나무와 복자기의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졸참나무는 교목층과 아교목에서 평 지림의 남동측 위주로 분포 하고 있으며, 복자기는 교목층 이 대상지의 중앙부 위주로 생육하고 있는 반면, 아교목층 은 대상지의 동측계열(북동, 동, 남동)에 주로 분포하고 있 었다. 외래종은 은사시나무 15개체, 아까시나무 32개체, 밤나 무 4개체가 생육하고 있었다. 남연화와 윤영활(2002)은 일 률적인 녹화위주의 삼림정책은 숲의 생태적ㆍ향토적 환경 을 무시하고 속성수목을 녹화위주로 식재하여 자연생태 식 생을 파괴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고, 백길전과 김갑태 (1999)는 과거 은사시나무의 세력이 우점종에 비해 미약하 나 산벚나무, 물푸레나무 등의 수종들이 서로 경쟁하여 지위 쟁탈을 이루어 빠른 속도로 세력을 확장할 것이라 하였다. 현재 은사시나무는 대상지 북동쪽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세력을 확장해 나가고 있었고, 아까시나무가 대상지 남서쪽 을 중심으로 도로와 연접한 주연부에서 중앙부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 또한 밤나무는 성황림 입구와 산책로 주 변에 생육하고 있었다. 계속 은사시나무와 아까시나무를 방 치를 한다면 지속적으로 졸참나무, 복자기, 느릅나무의 입 지를 빠른 속도로 잠식해 갈 것이므로 외래종에 대한 합리 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수종 중 개체수를 기준으로 주요 20개 수종을 추출 한 후 수종의 흉고직경급별 분포 현황을 분석하였다. 상대 적으로 가장 많이 분포한 복자기와 느릅나무가 비교적 다양 한 직경급으로 생육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졸참나무와 물푸 레나무가 많이 생육하였다. 이는 졸참나무 우점군집에서 복 자기-느릅나무가 우점하는 식물군집으로 변화할 것(백길전 과 김갑태, 1999)이라는 선행연구의 예측에 준하는 현황으 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복자기와 느릅나무가 세력을 확장 해 나갈 것으로 판단된다. 인간간섭으로 인하여 주요수종의 직경급 17cm에서 32cm 미만의 중경목 수종이 적었던 것(백길전과 김갑태, 1999)에 비해 현재는 상대적으로 많은 증가가 있었다. 이는 보호철책과 꾸준한 관리로 인해 인간간섭이 급격히 감소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과거 우점종으로 판 단되었던 소나무는 12cm이상의 수목만이 생육을 하고 있 었는데 이는 소나무의 치수들은 복자기, 느릅나무, 졸참나 무와의 경쟁에서 도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 24년간(1986~2010년) 식생변화 성황림 대경목 분포 현황은 음나무(당산목), 전나무 등 총 21종을 대상으로 이경재 등(1987)의 1986년 연구결과와 백길전과 김갑태(1999)의 1998년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 였다. 성황당 주변의 당산목인 음나무(H 18m, DBH 97㎝) 와 전나무(H 30m, DBH 135㎝)의 생육이 확인되었으며, DBH 30㎝ 이상 대경목은 총 166주가 생육하였다(그림 3). 이경재 등(1987)의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한 결과 흉고직 경 30㎝ 이상의 대경목은 총 62주가 증가하였고 소나무, 버드나무, 졸참나무, 느릅나무 등이 각각 5주, 7주, 10주, 12주가 증가하였다. 현재 성황림의 대경목은 대부분 철책이 설치된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그림 4는 대경목 중 성황림의 천이경향을 나타내는 소나 무, 졸참나무, 복자기, 느릅나무의 목편을 채취하여 5년 단 위로 분석한 그래프이다. 수령이 가장 많은 소나무(H 20m, DBH 83㎝)는 120년생으로 초기에는 생장량이 많았으나, 지속적으로 생장량이 대폭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나며, 느릅 나무(H 20m, DBH 63㎝)는 111년생으로 지속적으로 생장 량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된 결과로 졸참나 무(H 22m, DBH 80㎝, 80년생)와 복자기(H 18m, DBH 38㎝, 77년생)는 생장량이 증가하는 추세였다. 과거 무분별한 이용으로 훼손되었던 성황림은 경계부에 철책 등 인간의 출입통제 조치를 한 후 아교목층 및 관목층 의 발달과 교목층위의 대경목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훼손된 생태계가 차츰 복원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 한 성황림의 보전과 보호에 있어서 자생식물의 생육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아까시나무, 은사시나무, 밤나무 등 외래식 물의 관리가 필요하며 성황림과 같은 수림지 또는 마을숲에 대한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전체 수목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여 변화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인용문헌 김갑태(2007) 원주 성남리 성황림-천연기념물 제93호-의 생태적 변 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6): 559-564. 남연화, 윤영활(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 숲의 변천과 보존 -성남리 성황림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0(2): 23-32. 백길전, 김갑태(1999) 원주시 성황림(천연기념물 제93호)의 식생구 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61-69. 이경재, 오구균, 김갑태(1987) 국도립공원의 삼림경관자원ㆍ관리 대책(Ⅱ) 국립공원 치악산 성황림(원성군) -천연기념물 제93호 -. 국립공원 36: 18-22. 최재웅, 김동엽, 이상화, 김성기(2007) 원주시 성남리 당산숲의 현황 및 경관관리 실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35(3): 82-91.
        4,000원
        50.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저어새류 개체군은 습지의 소실로 감소하고 있는데(Rose and Scott, 1997), 저어새는 매우 적 은 규모의 개체군과 제한된 분포권,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어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고려되어왔다(Collar et al., 1994; Yeung et al., 2005). 우리나라는 1968년에 종 자체를 천연기념물 제205호, 주요 서식지인 강화도 남단 의 갯벌은 2000년 7월 6일 천연기념물 제419호로 각각 지 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1950년대(한국전쟁)까지 저어새는 3월에 도래하여 11월 에 떠나는 지역적으로 흔한 여름철새였다(Austin, 1948; Hancock et al., 1992). 그러나 현재 저어새는 생존집단이 2,000마리 내외에 불과하며 이들 거의 모두가 한반도의 DMZ를 중심으로 서해안 무인도에서만 번식한다. Groot(1994)는 번식지의 적합성(Suitability)과 이용도 (Availability)의 중요한 조건으로 포식자의 접근성 (accessibility)과 20㎞내에 취식지를 제시하였다. 섭식거리 (Foraging distance to breeding site)는 비행 비용이 증가하 고 높은 비용부담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이 섭식해야함으로 번식 목적을 도달하는데 어려워지는 제한점이 된다(Van Wetten and Wintermans, 1986). 따라서 저어새는 번식지와 취식지간 거리가 20㎞를 넘지 않는 범위 안에 위치한 210㎜이하의 적당한 수위와 먹이가 풍부한 서식지 즉, 갯벌과 무논, 강하구 등을 선택하여 섭식 하며, 특히 육추기 5월에는 평균거리 11.59 ± 6.11㎞ 내에 위치한 수위 100㎜ 전후의 무논을 집중적으로 이용한다(김 인철, 2006). 저어새는 번식기 동안 갯벌과 무논, 수로, 강(하천)하구 등 다양한 취식지를 이용한다(김수일과 김인철, 2006). 이 중 논은 수심이 낮으면서도 생물종 다양성이 풍부한 인공습 지로 다양한 무척추동물과 어류, 양서류, 수초가 발견되며 (Gonzalez-Solis et al., 1996; 박해철과 심하식, 2004), 년중 다양한 물새들의 취식지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Czech and Parson, 2002). 최근까지 문헌기록과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남한 내 저어새 번식지는 남북한 접경지대에 위치한 석도와 비도, 역도, 수리봉, 유도 등 서해안 무인도서를 중심으로만 번식 하였다. 그러나 2009년부터 인천 남동유수지 인공섬에서 저어새들이 번식하고 있어서 서식지 보전방안에 관심이 집 중되고 있다. 저어새 번식지가 위치한 인천남동구 유수지 일대는 송도 11공구 매립사업으로 인해 저어새의 취식지인 갯벌 면적이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육추기에 필요한 담수성 먹이의 공 급원인 담수습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조 건은 향후 남동 유수지의 저어새 번식지의 지속성 여부에 심각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남동 유수지에 위치한 저어새의 번식지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반경 20㎞이내의 잠정적인 취식지를 대상으로 저어새 서식지 비오톱 도면화를 통해 향후 저어새 번식지 보호 및 인공섬이 위치한 도심지역의 서식지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지 연구대상지인 남동유수지는 승기천의 하류에 위치한 지 역으로서 과거 갯벌지역을 매립하여 공단을 조성한 곳에 홍수 및 만조 시 하천의 수량과 수위를 관리하기 위해 조성 된 인공 저류지이다. 유수지내에 위치한 저어새섬은 직경 28m, 높이 5m 내외의 바위 및 토사로 이루어진 인공섬으로 서 2009년부터 저어새들의 번식이 확인되었다. 남동 유수지 주변 북·서쪽은 송도신도심과 남동공단 등 시가화지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남쪽으로 유수지와 연 결된 갯벌지역이 남아있다. 갯벌지역은 저어새 및 이동성 물새들의 중요한 서식처이자 지역주민의 생계의 터전이 되 고 있다. 2. 조사분석방법 저어새 번식기인 2011년 봄철 남동유수지 일대의 저어새 취식가능지역을 대상으로 필드스코프와 망원경을 이용하여 Point census방법으로 조사하고 분포현황을 도면화하였다. 기존 연구문헌 고찰을 통해 한강하구 유도의 저어새 취식 지 유형에 대해 분석하여 비오톱 도면화 하여 남동유수지 일대의 비오톱 유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저어새 번식지인 남동유수지내 인공섬(일명: 저어새섬) 을 기준으로 반경 20㎞ 이내의 토지이용현황을 조사 분석 하여 비오톱 유형화 하였으며, 비오톱 유형상 저어새의 취 식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저어새 취식지 비오톱으 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어새의 서식지의 잠재대상지 와 저어새 분포대상지의 현황을 분석하여 장기적인 보전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남동유수지 저어새 분포현황 2011년 5월 12일 인공섬과 유수지에서 관찰된 저어새의 개체수는 성조가 71개체 유조가 5개체였으며 갯벌지역에서 는 2개체의 성조가 관찰되었다. 승기천 하류와 유수지 내 비교적 수심이 얕은 곳에서 먹이를 찾거나 밀물과 썰물에 따라 갯벌의 얕은 물가에서 채식하였다. 또한 썰물 시 드러 나는 고잔갯벌의 갯골은 저어새가 먹이를 먹는 중요한 취식 지로 파악되었다. 남동 유수지 내 인공섬에서 번식하는 저어새는 2009년 24쌍이 번식하였고 2010년에는 38쌍이 번식하였다. 2011 년 조사결과 저어새는 주로 고잔갯벌에서 취식하거나 휴식 하였으며, 9공구와 10공구 지역의 갯벌에서도 취식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인천저어새보전네트워크, 2010). 그러나 대 부분의 저어새는 이동거리가 짧은 송도 11공구 매립예정 대상지 갯벌을 집중적으로 이용하였다. 남동유수지 내 저어새 번식지 분포현황은 저어새섬으로 불리는 인공섬의 번식지를 중심으로 승기천 하류와 송도 10공구 지역 갯벌, 송도 11공구 매립예정지역인 갯벌지역 을 주요한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남동유수지에서 번식하는 저어새의 먹이원은 주로 길게, 풀게 등 게류와 새우류, 숭어, 망둥어, 양태 등 어류로 확인 되었다(남선정, 2010). 이러한 먹이원은 대부분은 갯벌에서 발견되는 종류로서 남동유수지의 저어새는 갯벌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번식기 저어새가 주로 이용하는 먹이는 대부분 소형의 어류였으며, 새끼의 정상적이고, 빠른 성장을 위해 양서류, 곤충류, 갑각류, 식물 등 담수와 기수역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을 먹이자원으로 이용(김인철, 2006)하며 주로 논과 같 은 담수습지에서 먹이를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 2. 저어새 취식지 분포현황 1) 한강하구 유도 일대 취식지 비오톱 한강하구에 위치한 저어새 번식지인 유도는 남북한의 접 경지역에 위치한 곳으로 사람들의 출입이 불가능한 지역의 강하구에 위치한 무인도이다. 저어새는 유도를 중심으로 반 경15~20㎞ 반경 이내에서 취식지를 선택하였으며 논과 강 하구, 갯벌지역이 주요한 서식지 비오톱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집중적으로 산란과 육추가 필요한 시기인 4~6월에는 번식지에서 가까운 논에서 집중적으로 먹이를 취식한다(김 수일 등, 2006). 2) 남동 유수지 일대 저어새 서식지 현황 남동 유수지 저어새 번식지를 중심을 반경 20㎞ 내에 저 어새 취식지 유형은 갯벌, 강하구, 하천, 농경지, 인공습지 등으로 파악되었다. 고잔갯벌의 경우 2009년 이후 집중적 으로 이용되는 핵심지역이며 대부분의 저어새가 이 지역을 이용하여 취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남동유수지로 흘러드는 승기천 하류는 저어새가 먹이를 찾거나 물을 마시고 휴식하는 공간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하천 상류지역으로 갈수록 둔치이용에 의한 방해요인이 작 용하거나 수심이 일정하지 않아 취식지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천해양공원일대의 습지지역이나 주변의 농경지는 잠 재 대상지 내에 위치하여 저어새의 취식지로서 가능성이 높으나 아직까지 저어새의 취식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좀 더 세밀한 관찰과 원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화호 내부의 갯벌지역이나 습지지역의 경우, 이동시기 와번식기의 일부 비번식 개체가 정기적으로 관찰되고 있으 나 남동 유수지의 번식개체와의 상관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시화호의 갯벌지역이나 습지지역은 번식지에서 20 ㎞이내의 잠재 취식 대상지역으로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보전 및 관리방안 1) 남동유수지의 오염원 제거 및 수위조절 표 1. 남동유수지 주변 현황 및 저어새 서식을 위한 관리방안 대부분의 저어새는 남동유수지 내에서 먹이를 사냥하거 나 물을 마시고 휴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유수 지는 수질 및 퇴적토의 오염으로 인한 보튤리즘 등 조류질 병이 발생한 가능성이 많은 지역이다. 수질개선 등 번식지 및 취식지 관리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남동유수지로 흘러드는 승기천의 수질 및 하천생태 계 관리가 시급하며 주변도로로부터 소음이나 빛 등의 교란 요인을 차단하기 위한 수림대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 갯벌매립 면적 최소화 및 서식지 관리 현재 남동유수지의 저어새가 주로 취식하는 송도11공구 의 갯벌은 매립이 진행중이다. 만약 고잔갯벌이 사라진다면 번식기 저어새들의 취식원이 급속도로 감소하게 될 것이며 남동 유수지 인공섬의 저어새 번식지는 크게 위협받게 될 것이다. 저어새 번식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취식지로서 절 대적으로 필요한 갯벌매립 면적을 최소화하고 보호지역을 확대하여 서식지를 보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식지 관리를 위해 저어새 등 핵심 목표종을 중심으로 남동유수지의 번식지와 연계하고 이동성이 강한 조류의 특 성상 잠재 취식지로 분류된 지역을 연계하기 위해 구체적인 저어새 서식지 비오톱 지도를 작성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 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논습지 등 잠재적 취식지 확보 한강하구 번식지인 유도의 저어새 먹이원을 분석한 결과 담수와 기수역에서 기원하는 염분이 낮은 먹이가 대부분을 차지(김수일 등, 2005)하였으며, 유조의 먹이원 중 담수성 먹이는 새끼의 성장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Dosch, 1997). 남동 유수지 내 저어새 번식지를 중심으로 취식 가능한 잠재대상지를 파악하고 조사하여 보전·관리하는 방안을 수 립하여야 할 것이다. 잠재대상지 내에 위치함에도 저어새의 출현이 없거나 빈도가 낮을 경우, 먹이원의 유무, 방해요인 을 분석하여 대책을 수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인용문헌 김수일, 김인철(2005) 저어새국제심포지엄 자료집. 환경운동연합, 314쪽. 김인철(2006) 한국에서 저어새(Platalea minor)의 번식현황과 섭식 생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8쪽. 남선정(2010) 저어새 섬 100일간의 기록. 인천저어새네트워크, 164 쪽. Groot, J. B.(1994) Broedgebieden voor de Lepelaar in Noord- Holland. Vogelbescherming Nederland, Zeist. (Actie Rapport Vogelbescherming Nederland 11). Hancock, J. A., J. A. Kushan and M. P. Kahl(1992)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of the world.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Rose, P. and D. A. Scott(1997) Waterfowl Popilation Estimate, Second Edition. Wetlands International Publication 44, Wageningen.
        3,000원
        51.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속도로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설치효과를 분석하여 적정한 유도울타리 설치 개선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중앙고속도로 만종분기점~홍천나들목구간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고속도로에 설치된 유도울타리는 포유류의 도로침입 방지효과가 있었으며, 방음벽, 낙석방지울타리, 2단 가드레일과 분리방호벽도 로드킬 예방에 효과적인 시설이었다. 유도울타리의 로드킬 저감 효과는 출입문이 설치된 높이 1.5m의 울타리보다 출입문이 설치되지 않은 높이 1.0m 구간이 로드킬 감소효과가 높아 출입문의 유무가 로드킬 저감에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도로시설물의 연결지점에서 로드킬 저감 효과가 컸으며 출입문이 있더라도 관리가 잘되는 지역도 로드킬 감소효과가 높았다. 유도울타리는 설치연장이 증가함에 따라 로드킬 감소율이 높았다. 유도울타리 끝 부분과 절토부 주변은 로드킬에 취약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울타리 유지관리용 출입문은 설치간격이 가까울수록 로드킬 발생량이 높아 출입문 관리가 로드킬 저감에 효과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속도로 유도울타리 설치 개선방안은 암반의 급경사 지역 외에 모두 설치되어야 하고, 도로상의 낙석방지책, 2단 가드레일, 방호벽 등은 적정 시설개선을 통해 유도울타리로 연결 설치되어야 한다. 출입문을 설치할 경우 자동개폐식 또는 중력개폐식으로 설치하여 개방을 방지하고 야생동물 탈출로가 조성이 되어야 한다. 겸용생물이동통로는 토양층 복원이나 식생공간을 조성하여 생물이동통로화 하여야하며 로드킬로 포식자에 의한 2차 로드킬을 막기 위해 사고난 사체는 즉시 도로외부로 처리가 되어야 한다. 울타리는 최소 사고예방 목표지점으로부터 양방향 500m 이상 즉 1,000m 이상 설치되어야 하며 가급적 다음 도로시설인 교량, 통로박스 등까지 연결하여 야생동물을 생물이동통로로 안전하게 유도하여야 한다.
        4,000원
        52.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문헌분석, 전문가 의견 반영, 현장확인 과정을 통해 서울시 보호야생 동식물 종을 선정하고, 보호종의 잠재적인 서식처를 제시하여 체계적인 보호종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전체 605.52km2를 대상으로 하였다. 서울시 자연생태와 관련한 학술논문과 연구보고서 등 57편을 분석한 결과 5개 분류군에서 총 1,907종이 서식 및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식물이 1,645종으로 전체의 86.7%를 차지하고 있었고, 야생조류 197종(10.3%), 양서 파충류 29종(1.5%), 포유류 27종(1.4%) 순으로 나타났다. 1차 후보종은 전체 종에서 외래종, 환경부 관련 법적 보호종, 보통종, 불확실종을 제외한 것으로 총 440종이 선정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식물 212종, 야생조류 180종, 포유류 24종, 양서 파충류 24종이었다. 곤충류는 조사대상이 광범위하고 각 문헌별 조사자료가 특정 속에 국한되어 있어 문헌분석에 의한 출현종 분석은 제외하였다. 2차 후보종은 멸종위기성, 희귀성, 역사 문화성 및 지역성, 학술적 가치, 서식처 특이성의 선정기준을 바탕으로 1차 후보종 내에서 분류군별 전문가 평가를 통해 후보종을 선정하였다. 전문가 평가에 의한 2차 후보종 선정 결과 총 77종이 선정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식물 25종, 야생조류 21종, 포유류 5종, 양서 파충류 10종, 곤충류 16종이었다. 최종 후보종 선정을 위해 2차 후보종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식처 확인을 위한 대상지는 각 문헌별로 제시되어 있는 2차 후보종의 서식지역과 서울시의 자연성이 양호한 잠재지역 46개소를 선정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2차 후보종 중 식물 14종, 야생조류 19종, 포유류 2종, 양서 파충류 4종, 곤충류 16종이 실제 서울시내에서 분포 또는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 최종 보호종 55종을 도출하였다.
        4,500원
        53.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효과적인 송이산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강원도 양양군을 사례로 송이 생육환경특성을 고려한 소나무비오톱지도 작성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송이와 관련한 국내 외 관련연구 고찰을 통해 송이 생육환경 특성을 도출하고, 송이 생산지의 식물군집구조와 토양환경을 파악하여 소나무비오톱 지도화 기준을 도출하였다. 지도화 기준은 송이가 발생할 수 있는 중요 요인을 지형 조건과 토양 조건, 식생 조건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전체 비오톱유형은 송이생산 가능지, 송이생산 잠재지로 크게 구분하였으며, 송이생산 가능지는 송이생산이 가능한 지형구조 및 토양구조 내 분포하는 소나무 비오톱으로 관목층에 기타 관목성상의 수종이 우점하는 흉고직경 30cm 미만의 단층구조의 소나무 비오톱과 아교목층에 소나무가 우점하는 다층구조의 소나무비오톱이 해당되었다. 송이생산잠재지는 송이생산이 가능한 지형구조 내에 분포하고 있으나 흉고직경 30cm 이상의 노령화된 소나무가 우점하는 단층구조의 소나무비오톱, 아교목층에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소나무 비오톱, 관목층에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단층구조의 소나무 비오톱 등 식생구조가 부적절한 지역으로 향후 식생관리를 통해 송이 발생 유도가 가능한 지역이었다. 연구결과 소나무비오톱은 송이생산 가능지 6개 유형, 송이생산 잠재지 9개 유형, 송이생산 불가능지 등 총 1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송이생산 가능지는 전체 소나무림 중 총 9.8km2, 15.48%이었고, 송이생산 잠재지는 20.52km2, 32.42%이었으며, 송이생산 불가능지는 32.97km2, 52.10%이었다.
        4,900원
        58.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동구 가래여울마을 한강제방을 대상으로 호안공법에 따른 자연적인 식생유입 현황을 분석하여 생태적인 측면을 고려한 제방 호안 식생유도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제방 호안공법별 식생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장대블록에는 귀화초본이 70.7%로 우점하였고 잔디블록에는 자생초본군락이 48.5%, 방틀블록은 자생초본군락 55.7%로 자생초 본군락 면적은 방틀블록에서 가장 넓었다. 제방 호안공법별 식생피도는 장대블록이 평균 27.9%로 가장 낮았고 잔디블록(평균 95.3%), 방틀블록(평균 97.5%)순으로 높았다. 식생기반면적에서는 장대블록이 가장 협소하였으며 방틀블록이 가장 넓었다. 식물군집구조에서 장대블록은 건조초본 및 덩굴성초본이 주로 우점하였고 식생피도도 낮았으며 잔디블록은 다양한 종이 소규모군락을 형성하였다. 방틀블록은 식생기반 면적이 가장 넓어 다년생 초본인 물억새, 큰김의털,미국쑥부쟁이 등이 넓은 면적의 군락을 형성하였다. 호안공법별 평균 건물중은 장대블록은 6.75g/m2, 잔디블록은 137.65g/m2, 방틀블록은 187.63g/m2으로 방틀블록 식물 건물중이 가장 많았다. 토양특성에서 토양 수분함량은 방틀블록 16.3%, 잔디블록 15.2%인 반면 장대블록은 4.7%로 토양이 매우 건조하였다. 토양 이화학적 특성 분석결과 토성, 토양산도(pH),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호안공법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토양유기물 함량(OM)과 유효인산(Available P2O5)은 장대블록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하천제방 호안녹화의 경우 제방의 안전을 고려하여 가능한 식생기반 면적을 넓혀주어 자연적인 식생 유입이 가능하도록 제방 호안공법 적용이 필요하였다.
        4,600원
        5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5개 해설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인식변화를 참가자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의 전체 만족도는 높았으나, 이 중 참가자 태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부모가 안전성 측면에서 우려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프로그램 간 만족도는 프로그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내용만족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동물해설 프로그램은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동물원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원의 환경해설 프로그램은 동물원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동물원의 기능이 단순한 전시기능이 아닌 교육과 연구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통해 관심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동물원 환경해설 프로그램을 보다 활성화 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4,000원
        60.
        201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lass rooms for vocal music lessons at the college of music should be prepared with acoustic performance having similar quality to a real theater. However, most of domestic music colleges used too many sound absorbing materials, so that a sound is too dry and poor, which makes a singer to increase the sound level. Furthermore, because of this acoustic characteristics, at a theater a singer comes to hear a total different sound of his own song. For this, students and professors are in trouble during a lesson. At the stud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finishing materials were changed to have the best sound condition by site measurement and acoustic simul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tudy result above will be used as an effective document to improve acoustic performance.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