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4

        10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muffins with added dukeum ramie leaf powder and to compare them to a control. We used two different optimal composition ratios to produce muffins.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s were varied by changing the ratio of dukeum ramie leaf powder, butter, and sugar to identify a critical value using response surface regression analysis. The ranges for the added dukeum ramie leaf powder, sugar, and butter were 15-35, 60-100, and 60-100 g, respectively. Muffins with added dukeum ramie leaves had comparable mineral and antioxidant vitamin compositions to those of dried ramie leaves. Muffins with added dukeum ramie leaf powder satisfied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showing a p-value within 5% of significance level (p<0.05) for every aspect Volume and height differed without any association to ingredients. Lightness increased when less dukeum ramie leaf powder was added with more butter and sugar, redness increased when more dukeum ramie leaf powder and sugar were added with 70-80 g of butter, whereas yellowness increased when less dukeum ramie powder was added. Texture and toughness increased when less dukeum ramie leaf powder was added. The degree of gumminess and chewiness depended hugely on the amount of sugar. Cohesiveness, decreased with more dukeum ramie leaf powder and butter, whereas hardness increased with a medium range of ingredients. Sensory character increased with less dukeum ramie powder, and overall quality increased with more butter and sugar, but depended on the amount of added dukeum ramie power. The critical values from the sensory characteristics showed that 27 g of dukeum ramie powder, 72 g of sugar, and 86 g of butter was optimum.
        4,000원
        10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민달팽이류는 온난하고 습한 환경을 좋아하여 국내의 시설작물 재배 시 주요 관 리대상의 하나로 인식되어 있다. 민달팽이류는 주로 야간과 흐린 날에 은신처에서 나와 적극적으로 활동함으로 관리하기가 어렵고 방제효과도 높지 않는 것으로 여 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시설작물 재배 시 야간에 작물생육을 위해 전조하는 광 파장에 따른 민달팽이류의 유인행동반응을 조사하여 민달팽이류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 고자 하였다. 자체 제작한 정육면체의 흑색 아크릴상자(높이×폭=50cmx 70cm) 내 부의 중앙에 원통형(직경 25cm) 방을 두고 그 주위로 6개의 방을 일정하게 두어 중앙의 방에 두줄민달팽이, 작은뾱족민달팽이 및 노랑뾰족민달팽이를 각각 방사 하여 위면 뚜껑내부에 적색(610nm), 주황색(587nm), 황색(572nm), 연두색(557nm) 및 초록색(527nm) LED광을 부착하여 방사한 민달팽이류가 어떤 LED광의 방으 로 이동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두줄민달팽이는 주황색(15.8%)으로 가장 많이 이동 하였고, 다음은 황색(11.7%)>연두색(3.3%) >초록색(1.8%)의 순 이었다. 작은뾰 족민달팽이의 이동도 두줄민달팽이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주황색(21.6%), 황색 (20.0%) 및 적색(14.2%)에서의 이동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노랑뾰족민달팽이 는 모든 광원에서 10.0% 이하의 낮은 이동률을 보였으나, 주황색(10.0) 및 적색 (6.7%)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이동률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민달팽이류는 단파장 보다는 장파장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이에 관한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여겨진다.
        10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은 40점과 국내에서 수집되어진 28점을 포함한 총 68점의 아주까리 유전자원에 대한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구명하고, 그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육종 및 재배기술의 기초자료로 이용고자 수행하였으며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 100립중의 평균은 26.6 g이었으며, 그 범위는 최소 20.1 g부터 최대 37.1 g이었다. 종실 1 l중의 평균은 481.1 g이었으며, 범위는 407.2~531 g이었다. 2. 종실길이의 평균은 12.3 mm이었으며, 범위는 10.1~14.9mm이었고, 종실넓이는 평균 5.7 mm이었으며, 범위는 4.8~6.4mm이었다. 3. 유전자원의 지방함량의 평균은 47.8%이었으며, 그 범위는 최소 41.6%에서 최대 57.2%이었고, 지방함량이 50%이상인 자원은 6종으로서 IT032142, IT104010, IT104993, IT162783, CCB056 및 CCB057이었다. 4.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16:0)와 stearic acid(18:0)의 함량의 범위는 각각 0.9~1.8%와 1.0~2.1%이었다.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18:1)의 함량의 범위는 3.6~6.5%이었고, linoleic(18:2) 및 linolenic acid(18:3) 함량의 범위는 각각 4.7~7.3% 및 0.5~1.2%이었다. Ricinoleic acid(18:1-OH) 함량의 평균은 86.2%로 아주까리의 지방산에 있어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범위는 82.5~88.7%이었다. 5. 종실의 지방함량,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linolenic acid는 ricinoleic acid 및 불포화지방산과는 부의상관, 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ricinoleic acid는 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 불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이었고,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이었다.
        4,000원
        10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입과일을 대상으로 captan, chlorpyrifos, methidathion 및 kresoxim-methyl 을 각각 1000, 250, 400 및 157 mgkg−1 농도 로 수확 후 처리 하여 저장 기간에 따른 경시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captan 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0.9-12.5 mgkg−1, 과육에서 ND-0.23 mgkg−1 으로 조사 되었으며, 4주 후에는 과일 전체에서 0.7-3.2 mgkg−1, 과육에서 ND-0.67 mgkg−1 으로 조사되었다. chlorpyrifos 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0.4-2.2 mgkg−1, 과육에서 ND-0.32 mgkg−1 으로 조사 되었고, 4주 후에는 과일전체에서 0.3-0.9 mgkg−1, 과육에서 ND-0.02 mgkg−1 으로 조사 되었다. methidathion 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0.7-3.1 mgkg−1, 과육에서 ND-0.05 mgkg−1 으로 조사 되었고, 4주 후에는 과일 전체에서 0.4-2.0 mgkg−1, 과육에서 ND-0.05 mgkg−1 으로 조사 되었다. kresoxim-methyl 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1.3-2.1 mgkg−1, 과육에서 ND-0.16 mgkg−1 으로 조사 되었고, 4주 후에는 과일 전체에서 1.3-1.8 mgkg−1, 과육에서 ND-0.15 mgkg−1 으로 조사 되었다. 농약처리 4주 후 농도의 감소율은 captan 이 52% 로 가 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chlorpyrifos, methidathion 및 kresoximmethyl 이 각각 47, 41 및 11% 순으로 조사 되었다.
        4,000원
        108.
        2010.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hows the effects of deionized (DI) rinse and oxide HF wet etch processes on silicon substrate dur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We found a fail at the wafer center after DI rinse step, called Si pits, during the fabrication of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device. We tried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the Si pits by using the silicon wafer on CMOS fabrication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friction charge induced by the DI rinsing. The key parameters of this experiment were revolution per minute (rpm) and time. An incubation time of above 10 sec was observed for the formation of Si pits and the rinsing time was more effective than rpm on the formation of the Si pits.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Si pits and optimized rinsing process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charging level using a plasma density monitor. The DI rinse could affect the oxide substrate by a friction charging phenomenon o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Si pits were found to be formed on the micro structural defective site on the Si substrate under acceleration by developed and accumulated charges during DI rinsing. The optimum process conditions of DI rinse time and rpm could be established through a systematic study of various rinsing conditions.
        4,000원
        10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한강 하구역 주변 개발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Ramsar Site 등록 가능성을 판단하고, 기존 습지 유형기준 재설정을 통한 비오톱유형 별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지는 김포대교 하부 신곡수중보에서 이산포구간 사이 자유로변에 위치한 장항습지로서 면적은 약 2.7km2이다. RIS(Information Sheet for Ramsar Wetlands)의 작성을 위한 현장 및 문헌조사결과 장항습지는 물리적으로 5m이하의 낮은 표고를 갖는 퇴적지형 상에 위치하였으며 여름철 강수량의 집중으로 인한 하천 하구 퇴적현상에 의해 형성되었다. 생물생육환경은 염도에 따라 기수역과 담수역으로 구분되었으며 근권토양은 미사질양토(Silt loam), 근권하부토양은 사질양토(Sand loam)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상은 52과 135종 11변종 총 146종류가 관찰되었으며 주요 자생종은 버드나무, 갈대, 물억새 등 이었다. 현존식생분석결과 버드나무림의 분포가 전체의 37%로 가장 넓게 나타났으며, 논 경작지가 전체의 13.5%를 차지하였다. 동물상으로 야생조류는 총 62종 25,977개체가 관찰되었다. 작성된 RIS와 Ramsar Site 지정기준 비교분석 결과, 생물지리학적 범주에 관한 Criteria 1, 생물종 및 생태공동체에 근거한 Criteria 2, 3, 4, 물새에 근거한 Criteria 5와 6을 만족하여 Ramsar Site 등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장항습지의 관리지역 설정 위하여 비오톱 유형설정 및 평가를 실시한 결과, 총 1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등급 I지역이 전체의 75.4%, 등급 III지역이 0.8%로 나타났다. 평가등급에 따른 관리지역은 보전관리, 복원관리, 이용관리지역, 복원 및 이용관리지역 등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관리지역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4,000원
        11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산 재배삼 4년근의 뿌리, 장뇌삼 4년근과 8년근의 잎과 뿌리에 대한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구성사포닌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재배삼 8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조사포닌 함량은 3.85% (d.b) 이었으며, 4년근 장뇌삼 뿌리와 잎의 조사포닌 함량은 각각 6.75 및 8.57% (d.b)이었으며, 8년근 장뇌삼은 각각 6.53 및 7.54% (d.b)이었다. 재배삼의 구성사포닌은 ginsenoside-Rh1의 함량이 6.07 mg/g으로 가장 높았고, 4년근 장뇌삼뿌리는 -Rb1이 11.63 mg/g, 잎은 -Re가 24.35 mg/g으로 가장 높았고 8년근 장뇌삼 뿌리는 -Rh1이 19.77 mg/g, 잎은 -Re가 20.43 mg/g으로 가장 높았다. 항 산화활성 (IC50값)은 삼의 종류 및 연근별로 1.84~21.88 mg/mL의 범위이었고 8년근 장뇌삼 잎 80% 에 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총 항산화력은 5.56~20.67 mg AA eq/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8년근 장뇌삼 잎 증류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11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14.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의 주요 저장성분인 fructan을 산 가수분해시키고 열처리에 따른 폴리페놀함량과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살 펴보았다. 마늘 fructan의 최적 산가수분해 조건은0.3N H2SO4으로 5분간 반응시켰을 때로 나타났다. 열처리에 의한 fructan 함량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240.5 mg/g에서 2.0 mg/g으로 분해되어 감소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처리 온도 증가에 따라 0.85 mg/g에서 13.74 mg/g으로 증가하였고, 항산화활성 (IC50)은 열처리온도가 증가에 따라 52.9 mg/mL에서 1.5 mg/mL으로 증가하였다. 열처리 후 산가수분해시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은 증가하였다. 마늘 fructan을 분해하여 식품소재로서의 활용과 동시에 항산 화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열처리 조건으로는 130℃, 2 시간 처리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1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뇌동맥류 Detachable Coil Embolization 환자의 MR F/U에 서 3D TOF와 CE- 3D TOF의 유용성 비교 목 적 대상 및 방법 결 과 결 론
        117.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opic of this study is the translation of [Byun Jeung Rok vol.V(辨證錄四卷)]. Byun Jeung Rok is a complete book of medicine which was written by Jin Sa tak(陳士鐸) in the early years of the Ching dynasty. Of this, the fourth volume is composed of 12 disease-patterns(病症) and 54 subtopics. Byun Jeung Rok(辨證錄), as a book that completely organized the medical knowhow of the Ming Dynasty, explains disease-patterns(病症) through the unique and outstanding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 author. This topic was studied in hopes of helping later students by showing to the world, through its translation, the author's understanding of disease pattern. The organized characteristics of [Byun Jeung Rok vol.V(辨證錄四卷)] is as follows. 1. For each symptom, the state, cause and prescription for the disease was explained in detail. It was written primarily based on experience. Because the explanations are clear, it is easy to understand. 2. The theory and actual application of Yin yang and five phases is amazing. The actual cause and actual treatment was indicated clearly. 3. In relation to physiology and pathology, the relation between the liver and gall bladder in the middle(between the heart and kidney). In relation to treatment, the tonifying method was never excluded.
        13,400원
        118.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chapter 8, I discuss a running piglet disease(奔豚氣病), its causes, symptoms and prescription. The name of the running piglet(奔豚) disease dates back to old times, and it is not clinically reported these days. The symptoms of the running piglet disease(奔豚氣病) is characterized by unberable pain in the lower abdomen, the chest and the throat, followed by complete disappearance of these symptoms with passage of time. In my view, the causes of the running piglet disease(奔豚氣病)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tartle and panic, and the excessive fluid(水飮). In this chapter 13, I elaborate on three diseases: a wasting-thirst(消渴), a dribbling urination(小便不利),1)a strangury disease(淋病). I discuss these three diseases in one chapter because they share the same symptoms of thirst and abnormal urination and the symptoms occur mainly in the kidney(腎) and the urinary bladder(膀胱). A wasting-thirst(消渴) has the main symptoms of drinking water and eating food excessively as well as urinating a lot. A disease symptomized by thirst(消渴) is typically divided into upper wasting-thirst(上消), middle wasting-thirst(中消), and lower wasting-thirst(下消) by clinicians. Specifically, I discuss the mechanism of disease of upper wasting-thirst(上消) and lower wasting-thirst(下消), treatment principles of and prescriptions for upper wasting-thirst(上消) and lower wasting-thirst(下消), and pathology of middle wasting-thirst(中消) in this chapter. Based on the view that a dribbling urination(小便不利) is not a disease per se but a label for the symptom of short and insufficient urination, I discuss water amassment syndrome(蓄水證), yang bringtness disease pattern(陽明病), and a dribbling urination(小便不利) that is accompanied by various diseases. A strangury disease(淋病) has the main symptoms of insufficient and trickling urination that is often accompanied by pain perception. In this chapter, I discuss about stone strangury(石淋) in particular. These three diseases merit in-depth discussion since they are clinically observed with high frequency.
        9,600원
        11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20.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yun Jeung Ok Ham, written by Jin Sa Tak(1627~1707, won gong, penname ju hwa ja) is composed of four books. this book is estimated of being written after A.D 1688 and composed of internal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phthalmology, dental surgery and so on, total 36 parts of clinical medicine. This is the first book of that four studying about definition on eum yang of 31 diseases. 31 subjects follow, attack by wind and cold(傷風傷寒), paralysis(中風), vomiting(吐症), diarrhea(瀉症), malaria(瘧疾), dysentery(痢疾), epilepsy(癲狂), cough(咳嗽), constipation and urinal impossibility(大小便閉), heartache(心痛), abdominal pain(腹痛), headache(頭痛), eye disease(目痛), tonsillitis(雙蛾), tumor(癰瘡), exhaustion(脫症), perspiration(汗症), congestion(痰症), swelling(腫脹), heatstroke(暑症), asthma(喘症), evil influence(中邪), hematemesis(吐血), wet dream(夢遺), pyrosis(呑酸), backache(腰痛), intestinal convulsion(霍亂). childbirth(生産), hard labor(小産), after delivery(産後), sterility(子嗣). this treatise is the first book of four which deals with eum yang(陰陽) translating into korean and studying about medical theories. In every parts, author's unique clinical theory appears affluently and in that periods his study developmented a lot in those days' medical methods. second book is weaknessand strongness,third upper and low, fourth truth and untruth. first book, Jin Sa Tak says studying on eum yang is oriental medical basic theory and on incurable diseases or chronic symptoms, doctor must go back to that eumyang demonstration after can cure patients. second parts are on weakness and strongness demonstration, that weakness is weakness of patients' energy and strongness is prosperous condition of diseases' attack. third parts are on upper and low, that upper is upper parts of human body of painful parts and low is human low parts of pain, that is parts of under waist. fourth parts are truth and untruth, true symptoms and untrue symptoms, that is the real reaction of human condition and the other way. every prescriptions are author's creations. this book provides new viewpoints which surpasses original ancient medical theories. author suggests new opinions about chronic and incurable diseases. prescrisptions were made of following correct theory of gun sin jua sa theory (君臣佐使) and promoted levels of clinical methods. this treatise refers to dong ui bo gam(東醫寶鑑), huang je nei gyung(黃帝內經), sang han lon(傷寒論), ui hak yip mun(醫學入門) and modern physiology and pathology.
        1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