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쌀가공산업의 활성화로 인해 떡류 시장은 활발해지고 있으나 떡의 저장성이나 보관성이 취약한 문제로 인한 유통상의 제한으로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떡볶이 떡의 적합한 산 침지 조건을 설정하고자 떡볶이 떡 제조 시 가수량이 산 침지 후 수분함량, pH, 기계적 조직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떡의 산 침지 특성을 Peleg 모델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R2>0.9679). 모든 배합비의 떡과 산미료 농도에서 떡의 침지 시간에 따라 수소이온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가수량의 떡에서는 5% 보다 10%의 산미료에 침지한 떡의 수소이온농도 값이 높았다. 이는 떡의 가수량과 산미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미료 확산 현상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eleg 모델 식에서 K1과 K2의 값은 가수량이 높을수록 산미료 농도가 높을수록 더 작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가수량이 높고 산미료 농도가 높을수록 떡의 산미료 흡수 속도와 평형 수소이온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분함량은 가수량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가수량과 pH가 동일할 때에는 산미료의 농도가 더 낮을 때 수분함량 증가율이 더 높았다. 동일한 pH에서 떡의 경도는 가수량이 높을수록 낮아졌으며 산미료가 떡의 조직을 연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떡의 가수량이 높을 때에는 pH가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떡의 색도는 산미료보다 수분 함량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 하여 배합비와 산미료의 농도에 따른 산의 확산도를 확인 하였으며, 배합비의 높은가수량 및 높은 산미료 농도에서 침지 시 침지에 의한 품질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3.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s of「Juchochimjeobang」, a cookbook about Jeotgal kimchi, and review its value in the history. This cookbook was published between about 1500s and early 1600s, and its book title is unknown because both the front and the back covers thereof are missing. However, the cookbook contains many wine and kimchi recipes, accounting for 66%, and「Juchochimjeobang」 was thus named after the recipes.「Juchochimjeobang」 has 126 recipes in 120 categories, and this study examines 20 kimchi recipes and 7 recipes for preserving vegetables.「Juchochimjeobang」 has a specific recipe for making Jahajeot and Baekajeot kimchi which are described in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1400s and 1500s. Although the recipes for making the aforementioned two types of Jeotgal kimchi are simple because jeotgal is just mixed with main materials, they are different from the recipe for Seokbakji described in Gyuhapchongseo, a cookbook written in the 19th-century Joseon Dynasty. Seokbakji described in Gyuhapchongseo is made by mixing spices of ginger, spring onion, chili powder with other materials. This implies changes of making Seokbakji over time. Moreover, 「Juchochimjeobang」is a very valuable historical cookbook because it has unique recipes, for example, adding sesame liquid, chinese pepper, willow and the like.
        6,700원
        24.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검안사는 안경사로서 안과에 근무하는 시력 검사자 또는 안경검사자라고도 하며, 일반의사 이외에 검안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이다. 콘택트렌즈 등의 검사처방을 하며, 미국에서는 1924년까지 거의 모든 주 에서 검안사 제도가 확립되어, 의사 이외의 사람의 안경처 방이 허용되었다. 한국에서는 1987년 11월 안경사 제도를 도입하여, 시력검사 업무범위를 정하고 있는데, 검안사의 업무와 위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광주소재 안과병원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하는 형식으로 업무범위, 복지 등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기본검사, 시력검사, 특수검사, 상담을 주업무로 하였으며, 일정한 근무시간과 2시간의 점심시간, 문화 관람비 지급, 동호회 활동이 활발하고, 육아 휴직이 있었다. 그리고 근무 시 대학의 교육연한에 대한 차별이 없고, “안경사 면허증”에도 따로 등급이 없었다. 그리고 병원서비스코디네이터나 간호조무사 등에 대한 자격증을 우대하였으며, 급여는 안경사보다 다소 낮았으며, 이 또한 안과병원마다 차이가 있었다. 결론: 안경사와 검안사는 업무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경력을 일부 인정받기가 어려워 업무 간 탄력성이 떨어지는 점이 있다.
        25.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troduced 「Dongchundang Eumsikbeop」and examined its value as a reference. 「Dongchundang Eumsikbeop」is a recipe book from the Head House of Eunjin Song Clan. As the author is unknown, the book is named after where it was found.「Dongchundang Eumsikbeop」records the recipes for 32 total foods, including 12 types of fermented foods, eight types of liquor, and six types of side dishes, etc. In「Jusiksiui」, written by the same clan 100 years before, fermented foods account for 15% of its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is book assigns 34% of its space to fermented foods. It is assumed that the recipe book must have been compiled according to what households ate the most, as hostesses had to cook for their household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at the time. In「Dongchundang Eumsikbeop」, baking soda and alum were used as leavening agents for confectionery while sugar-based caramelizing was used for making soy sources, implying that modern food techniques were already applied. In short, this book provides a glimpse into the wisdom of hostesses of the Head House who improved recipes to suit changing times while adhering to tradition.
        5,400원
        26.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Baekyang rice fields near the Junam reservoir, 87 of White-naped cranes Grus vipio and 1,010 individuals of White-fronted geese Anser albifrons were observed on average. The number of White-naped cranes and White-fronted geese observed in B site was higher than that in A site where the frequency of disturbances such as vehicles and visitor’s accesses were higher. After the vehicles’ and people’s access were controlled, the number of White-naped cranes used in A sit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at of White-fronted geese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We propose that the controls for the vehicles’ and visitor’s accesses to the Baekyang birdwatching facilities in A site from November to March will stably enhance the foraging opportunity of White-naped crane in the Baekyang rice fields. Among the four types of rice fields, Whitenaped cranes and White-fronted geese preferred mostly to forage at the rice fields which were not plowed and straws were removed. White-fronted geese also preferred to forage at the barley cultivated fields. Small number of White-naped cranes choose the rice fields which were not plowed and straws were left with highest density of seeds (308 m2) in rice fields and lowest proportion of Baekyang rice fields. And the two species didn’t forage at the plowed rice fields. We propose to recommend to farmers to leave straws and not to plow in rice fields.
        4,000원
        27.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recipes of Korean Traditional steamed dishes, Noodles, Rice cake & Confectionary in Choi’s Recipe (「Choi’s Eumsikbeop」) with those in other literatures written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Through this work, it aimed to explore the value of Choi’s Recipe (「Choi’s Eumsikbeop」) in the history of cooking and the meanings of its recipes. Choi’s Recipe (「Choi’s Eumsikbeop」) contains recipes for a total of 20 kinds of food. Specifically, there are seven kinds of Fermented dishes (kimchi (6), and salted fermented food (1)), four kinds of Steamed dishes, seven kinds of Confectionary and Sweet (rice cake (4), jeonggwa (1), and dang (2)), and two kinds of Noodles (dumpling (1), and noodle (1)). Among them, the steamed dishes revealed characteristics of 17th-century food as in other cooking books, and some of them utilized unique ingredients handed down only through head families. Moreover, some recipes showed different cooking methods using similar materials. This suggests the originality of the recipes in this cooking book.
        4,000원
        28.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의 주요 흐름인 ‘발전과 진화’의 방향성에서 한발 물러나, ‘지우는’ 경험과 그 감성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한 키워드인 지우는 경험에 대 한 통합적 문헌조사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맥락 질문법을 진 행하였다. 맥락 질문법의 경우, 아날로그적인 연필-지우개 사용맥락, 디지털의 대표적인 맥락인 컴퓨터-키보드 사용맥락, 마지막으로 최근 활발한 활용을 보이는 Tablet PC 사용맥락에 따른 사용자들을 모집한 후, 각각의 사 용맥락에 대한 In-depth한 정성적 인터뷰 및 정량적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우는 맥락에서는 특 정 내용을 잘 지워내는 상황적 효용뿐만 아니라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도 정서적으로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 공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연구에서 진행된 탐험적 시도 및 실증적 결과들은 향후 연구들에 대한 학술 적 접근과 함께 실용적 관점에서의 디자인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9.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the original text of a Korean recipe book written in the 17th century, which is hitherto unknown to food-related societi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ipes in this book. Choi’s recipes in Jasonbojoen (子孫寶傳) are significant, as it is a rare instance of a Korean cookbook written by a woman-few pre-17th century recipe books of this type are known to have survived. This study made some important discoveries after analyzing this book. First, by using pasqueflower and cockscomb,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era-specific characteristics of kimchi recipes from the 1400s until after the 1700s. Second, this book has historical value, as it shows that the combination of kimchi with cockscomb and the recipe for stuffed eggplant kimchi made only with a small portion of garlic and salt have existed for longer than was previously believed. Third, this book can serve as a valuable database for studies on historical changes in Korean food recipes, as the recipes in this book besides those related to kimchi are representative of recipes in cookbooks before the 17th century. Additionally, it appears that some recipes in the book use very unique minor ingredients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books.
        4,500원
        3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마트폰의 발전에 따라, 오늘날의 현대인들은 인터넷 뱅킹이나 결제, 금융, 상거래에 이르기까지 생활의 많은 업무들을 스마트폰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스마트폰의 유실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대두되면서, 사용자들의 불안감 또한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최근에는 스마트 기기의 잠금장치와 관련한 다양한 보안 시스템 및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잠금장치와 같은 보안기능들은 역설적이게도 사용자들에게 잠금 해제 과정에서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곧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이라는 가치와 기기 내 저장 정보 자체의 안전한 유지라는 가치 사이의 상반 관계를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연구에서는 잠금 해제 과정에서의 안전함과 편리성 사이의 상반 관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기은폐성’이라는 개념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기반을 둔 실험을 통하여, 스마트폰 사용 경험과 향후 사용의도에 대한 측정도 시도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자기은폐성이 적용된 보안기 능은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향후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스마트 기기의 잠금 해제 과정에서 보다 최적의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3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changes in a Roasted Beef recipe through Sulhamyukjuk.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cient and modern culinary literature published until 1950. The main method of research in this study was content analysis. There were 15 pieces of ancient and modern culinary literature used. In addition, the roasted beef recipes totaled 78. Analysis of recipe data published over the last 300 years showed two different types of Roasted Beef recipes: 1) Roasted Skewered Beef and 2) General Roasted Beef. In the case of Roasted type, the method was divided into three steps: 1) Coating of flour porridge after marinade in the source, 2) Three dippings into cold water during Roasting, and 3) Roasting again with Seasoning.
        4,800원
        32.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literature review regarding bibimnaengmyeon (cold buckwheat noodles mixed with sauce)-related recipes. To conduct this research, we analyzed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the 1800's to the 1980'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content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The documents used in the research were 30 books (dictionaries and recipe books). A total of 37 bibimnaengmyeon-related recipe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ocumented data published within the last 200 years showed two different types of main ingredients for bibimnaengmyeon-related recipes; noodles based on buckwheat flour, and noodles based on wheat flour. Additionally, the bibimnaengmyeon-related recip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sauce; 1) noodles mixed with red pepper sauce and 2) noodles mixed with soy sauce.
        4,000원
        33.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ly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endency of changes regarding the recipe of Naengmyeon (Korean cold noodles) based on water. In order to conduct of this research, we analyze the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1800's to 1980's. A method of mainly study was conducted by content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The documents of recipe used research were 42 literatures (euigwae, recipe book, magazines, and dictionaries). In addition, the recipes of Naengmyeon based on water were total method of 84.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recipe data published in the last 200 years showed 3 different types of the recipe of Naengmyeon based on water; 1) Naengmyeon based on water of Kimchi juice type 2) Naengmyeon based on water of (meat) broth type 3) Naengmyeon based on water of mixed (Kimchi juice+broth) type.
        4,600원
        3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적재설비의 바닥 구속조건에 따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를 위해서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파렛트랙을 대상구조물로 선정하여 진동대 실험을 진행하였다. 진동대 실험을 위한 적재설비의 바닥 구속조건을 총 4가 지(1 bolt, 2 bolts, 4 bolts, Fixed)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은 인공지진파를 증가시켜가며 진행하였고, 각 층별에서의 변위응답과 영구변형을 비교하였다. 이에 따른 실험 결과, 지진 강도에 따라 기둥 바닥의 구속조건을 달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3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teel storage racks according to the constraints conditions by external loads such as seismic load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steel storage racks generally used in Korea were selected as target structures and shaking table tes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behavior according to the constraints conditions, the foundation of the steel storage racks was constructed with three conditions (1 bolt, 4 bolts, fixed)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additional damper installation is needed rather than changing the condition of the bottom plate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teel storage racks.
        3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 hydraulic damper was developed to protect the storage racks from earthquakes and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orage racks was improved by applying the developed damper.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control capacity for the safety of the storage racks was determined, and a hydraulic damper satisfying the control capacity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hydraulic damper was determined through simulation. Finally, the shaking table tes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 seismic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torage racks using the hydraulic damper was confirmed.
        37.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저해활성(FSC50)은 ethyl acetate 분획(3.54 μg/mL)과 aglycone 분획(2.15 μg/mL) 모두 지용성 항산화제인 (+)-α-tocopherol(8.98 μg/mL)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luminol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참죽나무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0.15 μg/mL)과 aglycone 분획(0.12 μg/mL)에서 모두 L-ascorbic acid (1.50 μg/mL) 보다 약 10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5 ~ 25 μ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에서 각각 48.00μg/mL, 5.88 μg/mL으로 나타났으며 aglycone 분획의 경우 강력한 미백제인 arbutin (226.88 μg/mL)에 비해 약 40배 정도 더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이상의 결과들은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이 활성산소종을 소거하고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tyrosinase 저해활성으로부터 미백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