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9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이상기후 및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 병해충 발생이 증가하고 발생양상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국제 무역 및 해외 여행객 증가로 인한 외래 병해충 유입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대표적인 비래해충 중의 하나인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ål, 1854)의 발생 범위, 출현율 및 빈도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피해를 호소 하는 농가들이 많아진 반면, 이들에 대한 대응책은 피해발생의 불규칙성, 이전 자료의 부족 및 불명확성으로 인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대비해 벼멸구의 온도발육모형을 이용하여, 기상자료, NCPMS와 더불어 연발생 횟수와 분포 가능 범위 및 발생 시기를 예측하였다. 또한, 벼멸구의 발생량이 많았던 충남 예산, 경남 사천, 진주의 최초발생일, 최초비래일, 최고발생일, 발생최성일 기준으로 각각 발육영점온도 및 유효적산온도를 적용하여 세대별 발생시기를 예측하였다. 최초발생일과 최초비래일은 예산 7월 9일, 7월 16일, 사천 7월 2일, 7월 19일, 진주 7월 26일, 7월 26일로 나타났으며, 최초발생일과 최초비래일 사이를 초발생일 로 적용하면 다음세대 발생이 실제 조사한 지역별 최고발생일인 예산 9월 7일, 사천 8월 9일, 진주 8월 8일과 근접 한 시기로 추정되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생 부추속 식물 중 강부추(Allium thunbergii for. rheophytum ined.)와 갯부추(A. pseudojaponicum Makino)는 관상용, 식 용 및 약용자원으로 가치가 있으나 육묘를 위한 생육환경조건 구명이 미비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강부추와 갯부추의 육묘에 미치는 플러그 셀 크기, 차광률, 시비처리에 따른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부추와 갯부추를 육묘한 결과, 플러그 셀 크기에서는 50, 72, 105, 128, 162, 200셀 처리 중 용적이 가장 큰 50셀에서 초장, 엽 수, 근수, 그리고 근장의 생육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생산비용 과 플러그 육묘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105셀 이상의 플러그 트레이 중에서 선택하여 육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차광률에 따른 유묘는 0, 30, 60, 90% 처리 중 30~60% 차 광처리에서 초장, 근수, 그리고 근장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 되어 생육이 양호하였다. 시비처리에서 생중량과 건중량을 제 외한 생육지표를 검토했을 때, 강부추의 적정 시비처리는 속 효성 고형비료(DO-PRO) 0.1g, 갯부추는 속효성 액체비료 (Peters) 주 1회 8mL 엽면시비처리였고 두 종 모두 속효성 시비처리가 효과적이었다. 강부추와 갯부추의 초기 생육에는 30~60% 차광처리가 된 재배플롯에서 원예상토가 충진된 128셀 플러그 트레이에 종자를 파종한후, DO-PRO 0.1g 또 는 Peters 8mL를 주 1회 엽면시비하면서 재배하는 것이 효 과적이라 판단된다.
        4,000원
        4.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timicrobial resistant Enterococcus isolates from the four major rivers of Korea in 2012. A total 316 surfac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distinct sites (nearby livestock farms, tributaries, and major rivers) at two different seasons (dry season: n = 76, wet season: n = 240). A total 654 bacterial cells were isolated from samples and their genus distribution were determined. We found that Gram-negative bacteria including various genera were prevalent (n = 522, 79.8%), and Enterococcus was the most common genus of Gram-positive bacteria (n = 119, 18.2%). The isolation rate of Gram-negative bacteria was higher in wet season, whereas that of Enterococcus isolates was higher in dry season. The prevalence of Enterococcus isolates was also higher nearby livestock farms than on tributaries and main rivers. Since Enterococcus isolate is a key indicator for animal fecal contamination, the following experiments focused on this microorganism. As compared to a previous report in 2006, the resistance rates in E. faecium to erythromycin (40.0% to 69.9%) and chloramphenicol (0% to 16.4%) were increased, whereas those to penicillin (56.0% to 4.1%) and teicoplanin (36.0% to 0%) were decreased. We also found that antimicrobial-resistant (AMR) E. faecium isolates from rivers and livestock samples shared similar pulsed-filed gel electrophoresis (PFGE) profiles, validating the transmission of AMR Enterococcus isolates from livestock to river.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vides us with detailed information about bacterial contamination status in four major rivers, and highlights the changes in AMR pattern of Enterococcus isolates, which are expected to have originated from livestock.
        4,000원
        1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monell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cterial pathogens responsible for many zoonotic food-related infectious diseases. Quantitative detection of the foodborne Salmonella contamination in various food sources is therefore critical for preventing the related disease outbreak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valuated a reliabl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ssay to detect the Salmonella contamination quantita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invA gene-specific quantitative RT-PCR (qRT-PCR) assay provide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Cq values and the direct plate counts of Salmonella species in the artificially formulated samples. Further study may be necessary to identify more accurate correlation and equation that can apply to Salmonella spp.
        3,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