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slands often have relatively well-preserved ecosystem and an abundance of bioresources with a high conservation value, with unrecorded species continuing to be reported (Hong, 2011). Approximately 1,000,000 species of insect known worldwide (Costello et al., 2012), and 20,710 species are known in Korea (NIBR, 2023). Among these, there are 6,117 species in Korean islands (HNIBR, 2022). Native insect Bio-scan project for Korean islands is to estimate the number of insect species on Korean islands. We attempted to estimate the number of insect species on Korean islands using Barcode Index Number (BIN), and also found unrecorded species. The samples were collected four times from April to July at five locations in the Amtedo, an island located in Shinan-gun Jeollanam-do. We tried to obtain a minimum of one to usually a maximum of four samples per morphospecies to enable DNA barcoding.
        1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uth Korea has over 0.38 million of managed honey bee (Apis cerana) colonies before 2009 years ago, which produce the highest quantity of honey in the Korea; however, almost colony (90%) were collapsed by Korean Sacbrood Virus (KSBV) in South Korea. Korean Sacbrood Virus (KSBV) is the pathogen of A. cerana Sacbrood disease, which poses a serious threat to honeybee A. cerana, and tends to cause bee colony and even the whole apiary collapse. Colony collapse of A. cerana was first reported on the Pyeong-Chang of the South Korea in 2009. Several scientists and governments has been tried research for cure the sacbrood disease in A. cerana colony by medicines and management techniques. Unfortunately, The sacbrood disease dosen’t improve. So, we were developed a better breed of A. cerana for resistance of sacbrood virus by selection and then artificial insemination. A. cerana breeding technique was first successful applied with A. cerana in Korean. Queens was grafted from sacbrood resistance line and then it was growing in sacbrood disease colony that was survived 100%. Altogether selected 18 queen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and 2,000 drones of A. cerana in Korea was used to evaluate amount of semen collection. We are select two scabrood resistance A. cerana line (R and H). R line be used for rearing the Queen. Drone was reared in H line colony. The RH hybrid were not infected sacbrood virus even spread sacbrood virus (2×106). RH colonies have very excellent hygienic behavior, brood, and sacbrood disease resistance activity.
        1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와 더불어 사과원 병해충 방제 횟수, 주변 식생 등의 변화로 인해 노린재류의 발생 밀도가 증가하고 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과원 노린재류의 방제는 주로 살충제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들의 강한 이동성과 농약 잔류, 작업자에 대한 농약 노출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해충 방제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과원의 주요 노린재 중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의 알을 이용하여 사과원 주변의 알 기생봉을 탐색하고 이들에 대한 야외 기생률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저온 저장된 두 종의 알을 사과원에 배치하고 이후 수거하여 알에서 채집된 기생봉을 동정한 결과 썩덩큰검정알벌(Trissolcus japonicus Ashmead)로 확인되었다. 야외 기생률은 썩덩나무노린재의 경우 약 27%, 갈색날개노린재는 21%로 나타났다. 추후 이 기생봉에 대한 생태 특성, 인공 사육, 야외 방사 기술 등의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1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growth responses of Phalaenopsis Queen Beer ‘Mantefon’ orchid were determined in plants exposed to variable carbon dioxide (CO2) concentrations at 2-, 24-, and 36-weeks age (i.e., corresponding to juvenile, young, and mature vegetative growth stages, respectively). Plants were grown at 400 (control), 800, or 1,600 μmol・mol-1 CO2 for 6 hours during the nighttime for 32 weeks. Phalaenopsis ‘Mantefon’ in 2- and 24-week-old plants grown at 1,600 μmol・mol-1 CO2 had increased leaf number and net CO2 uptake compared with the plants grown at 400 μmol・mol-1 CO2. In 36-week-old of Phalaenopsis ‘Mantefon’, leaf number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plant grown at 800 and 1,600 μmol・mol-1 conditions compared with plants grown at 400 μmol・mol-1 CO2. Leaves that emerged after the start of the CO2 treatment were initially longer in the plants grown at 1,600 μmol・mol-1 CO2 than at 400 μmol·mol-1 C O2, but the final leaf length was shortest in the plants grown at 1,600 μmol・mol-1 CO2 condition. Plants showed crassulancean acid metabolism characteristic of nighttime CO2 uptake regardless plant growth stages. We found that growers may be able to promote leaf growth with increasing leaf number and reducing time to leaf initiation in the 36-week-old (i.e., mature stage) plants with 800 – 1,600 μmol·mol-1 CO2 and 2- and 24-week-old (i.e., juvenile and young stages) plants with 1,600 μmol·mol-1 C O2 for Phalaenopsis ‘Mantefon’.
        4,000원
        13.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s well known as a suppressor i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ATF3) could be induced by a various extracellular signals including cytokines, hormones, DNA damage. Up to date, although the role of ATF3 have been studied, the function of ATF3 in osteoblast differentiation is still not clear yet. Our study showed that expression level of ATF3 could be incresed by tunicamycin which is ER stress inducer in preosteoblasts. BMPs, which are secreted by osteoblasts, can be important regulators in osteogenic differentiation. The stress-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 ATF3 is a negative regulator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MC3T3-E1 cells. In this study, we verified that BMP2-stimulated osteoblast differentiation could be inhibited by over-expressed ATF3 through regulating alkaline phosphatase (ALP) expression and activation.
        1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붉은불개미는 세계 100대 침입외래 해충 중의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는 관리 해충으로 1996년도에 지정되었다. 2017년 9월28일 부산항 감만 부두에서 국내 최초로 발견된 후, 2018년에 부산항, 평택항 과 인천항에서 발견이 되었고, 9월18일에 대구의 아파트 공사장에서 내륙에서는 처음으로 발견이 되었다. 대구에서 발견된 붉은불개미도 아파트 건설을 위하여 중국에서 수입한 석재에 혼합되어 수입된 토양과 식물체와 같이 혼입된 것으로 추측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붉은불개미가 번식을 하여 토착화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현재까지 붉은불개미에 대한 종 판명은 전문가에 의한 형태적인 분류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붉은불개미에 대한 확증을 위해서는 채집된 개체를 검역기관으로 이송하여 분자진단을 실시해야 하므로, 최소 이틀의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붉은불개미 진단 키트가 해외에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낮은 민감도로 최소 3~5개의 충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진단키트가 가지는 문제점은 이를 대신할 새로운 키트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신속한 붉은불개미의 검역현장에서 진단을 가능하게하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로 우리는 붉은불개미의 복부에서 발현되는 유전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그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진행과 결과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연구는 농림축산 검역본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1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인구의 고령화 및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농업 생산 부분은 기계화 및 자동화를 비롯한 다양한 기술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 과수 재배 작물 중 하나인 사과는 연간 10회 이상의 병해충 방제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작업의 노력과 방제 비용, 작업자의 약제 노출 등을 줄이고 병해충 방제 효율을 높이는 방제 작업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과원 미세 분무 약제 살포 자동화 설비 구축을 위해 사과 과수원 내 미세 분무 살포 시스템을 설치하고 국·내외 산 노즐별 사과 잎의 농약 부착 정도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노즐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외 산 노즐별 사과 잎의 농약 부착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잎의 앞면 보다 뒷면의 농약 부착 정도가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1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메뚜기는 분류학적으로 메뚜기목(Orthoptera), 메뚜기과(Acrid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예로부터 단백질 보충을 위하여 채집하여 튀기거나 볶음요리 로 이용해 왔다. 벼메뚜기는 갈색거저리, 쌍별귀뚜라미 등과 함께 식품공전에 등록되어 있으나 1년 1세대로 가을철에 채집하여 이용하는 실정으로 공급확대에 한계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벼메뚜기를 사육하고자 하는 농가와 다양한 용도로 가공을 통해 이용하려는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연중사육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대량사육하는 농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벼메뚜기의 연중대량사육기술 뿐만 아니라 인공사료 및 자동화 사육시설 개발에 따른 생산비 절감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벼메뚜기의 먹이로는 여름작물로 옥수수, 수단그래스, 겨울작물로 밀, 보리 등의 볏과작물이 있으며 많은 양의 생엽과 발육에 적합한 작물의 선발 및 볏과작물의 통곡실 가루를 이용한 인공사료의 개발로 먹이공급 부족 시 15~20일 급여 가능하며, 벼메뚜기 사육시설로 단독형, 연결형, 절충형 등의 사육시설을 개발하여 연결형 사육시설의 수확량과 생존율이 가장 높았으며, 예취 급이 노동력이 단독형의 16% 소요되었다.
        17.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imple volume model for the Larix kaempferi species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General volume model forms were used and validated using a subset of the data collected for the L. kaempferi species. A total of 550 trees were collected in the different L. kaempferi stands through destructive sampling. The dataset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80% for initial model development(seven volume models) and 20% for model validation. The 100% dataset was used for the final model fitting. Evaluation statistics including bias(Ē), absolute mean deviation(AMD), root mean square error(RMS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and the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values(AIC) and weight (AICw) were used to assess performance of the different volume models. Rank analysis was employed and the first five best volume models were chosen for the model validation and final model fitting. The evaluations showed that volume model 4(V=aDBHb*Hc) had the best performance, while volume model 3(V=aDBH+bDBH2), which has a single variable, had the poorest performance.
        4,000원
        1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the causal pathogen of pine wilt disease in Korea. Currently, it is reported that B. mucronatus also has a low pathogenicity. Despite this difference in pathogenicity, it is very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se two species due to similarity in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sequence variation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intergenic spacer (IGS) regions of ribosomal DNA has been used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phylogeny of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But, the IGS region sequence data of B. mucronatus has been only reported in Portugal. In this study, We analyzed genetic variation on ITS and IGS regions of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Asian genotype, European genotype) based on rDNA gene sequences, and conducted phylogeography using TCS network. When the each isolates was determined th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Bursaphelenchus species were divided into each groups, and showed low variation within each species. In the TCS analysis, The isolate of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Asian genotype and European genotype) were divided into each groups and confirmed slightly genetic distance within species. B. mucronatus European genotype has possibility of new species different with Asian genotyp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