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염풍뎅이(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는 과거에는 흔히 발견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한반도 내 개체수 가 급격히 감소하여 2005년 환경부에 의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해당종의 분자생물학적 연구는 멸종위기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로 인해 NCBI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서열정보들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수염풍뎅이의 유전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생물정보학적 기술을 활용하여 전사체 분석을 진행하였다. Illumina HiSeq 2500 플랫폼을 사용하여 53,433,048개의 RNA reads를 얻었으며, Trinity와 TGICL을 이용한 De novo 어셈블리 분석을 통해 18,172개의 unigenes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unigenes는 GO, KOG, KEGG, PANM DB를 활용하여 annotation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GO 분석에서는 ‘binding and catalytic activities’와 관련된 항목이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KOG 분석의 경우 ‘Cellular Processes and Signals’ 범주가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KEGG 분석을 통해 2,118개의 unigenes가 metabolic 카테고리에 annotation된 것을 확인하였다. SSR 모티프 분석에서는 AT/AT (42.90%) 모티프, AAT/ATT (13.13%) 모티프 순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들을 이용하여 유전자원 및 종 정보를 실시간 제공 및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Database 및 web-interface를 구축하 였으며, 이러한 자료들은 국내 멸종위기종인 수염풍뎅이의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발굴 및 확보할 수 있는 기반자 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속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매개 곤충을 통한 다양한 신종감염병이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매개질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질병을 매개하는 매개체에 대한 정보와 지속적 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제3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근(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및 라임병(Lyme disease) 등의 매개체로 알려져 있는 참진드기를 대상으로 충남 당진 일대에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총 6년, 4월-11월의 기간동안 월 1회 4개의 환경(무덤, 산길, 잡목림, 초지)에서 드라이아이스 유인트랩을 사용하여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18년 16,996마리, 2019년 16,698마리, 2020년 6,417마리, 2021년 7,380마리, 2022년 3,451마리, 2023년 3,465마리로, 총 54,407마리가 채집되 었으며, 초지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참진드기는 2속 3종으로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개피참진드기(H. flava), 일본참진드기(Ixodes nipponensis)이며, 작은소피참진드기 (H. longicornis) 가 42,489마리(78.09%)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으며, SFTS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NA 추출 및 Nested RT-PCR 단계를 걸쳐 전기영동을 수행하였으나 양성 검체는 0건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SFTS의 주요 매개 체인 참진드기 발생 양상 파악 및 매개 질병 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기상연구소의 보고에 의하면 최근 한반도의 기온 상승으로 인해 온대내륙성 기후형에 속했던 지점은 온대해양성 기후형으로, 온대해양성 기후형은 아열대습윤 기후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한반도의 기후 변화는 환경 변인에 민감한 질병 매개 곤충의 분포와 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철새도래지 내 발생 및 유입될 수 있는 모기와 관련 바이러스 감염률을 확인하기 위해 충남 당진의 철새도래지에서 BG-sentinel trap 및 LED trap을 사용하여 2021년부터 2023년까지 4-11월간 월 2회 수행하 였다. 채집된 모기는 총 3,723마리로, 4속 16종을 확인하였다. 그 중 금빛숲모기 (Aedes (Aedimorphus) vexans nipponii) 가 1,711마리(45.96%)로 가장 높은 우점도를 나타냈으며, 흰줄숲모기 (A. (Stegomyia) albopictus) 와 큰검 정들모기 (Armigeres (Armigeres) subalbatus) 각각 588마리(15.79%), 빨간집모기 (Culex (Culex) pipiens pallens) 269마리(7.23%)로 나타났다. 채집된 모기의 Flavi-virus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NA 추출 및 RT-PCR을 통해 확인하였으나,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기후변화에 맞추어 변화하는 감염병 매개 모기 의 발생 현황을 감시·예측하는데 유의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모기 매개 질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털진드기 유충 (Acari: Trombiculidae)은 쯔쯔가무시증을 전파하는 주요 매개체이다. 털진드기 유충의 발생량 은 가을철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환경 및 시기에 따라 발생 패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충남 예산의 털진드기 발생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36-51 주차 (9-12월)에 걸쳐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논, 밭, 수로, 초지에 5m 간격으로 털진드기 트랩을 환경별로 5개씩 설치하여 채집하였다. 그 결과 총 3,257개체로 2017년 1,104마리, 2018년 785마리, 2019년 650마리, 2020년 160마 리, 2021년 139마리, 2022년 233마리, 2023년 186마리 채집되었다. 동정 결과 5속 12종이 확인되었으며 둥근혀털 진드기(Neotrombicula tamiyai)가 1,882개체(57.78%)로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발생 양상에 관한 연구는 매개 질환의 예방 및 관리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하천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과 연속성확보의 일환으로 인공구조물에 대한 철거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인공구조물 철거가 하천 환경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하천 내 인공구조물 철거의 장기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하천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설악산에 위치한 가는고래골의 인공구조물을 대상으로 2021년 8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8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조사기간동안 총 3문 3강 8목 11과 85종이 출현하였다. 총 출현종수는 보의 철거 전(총 44종)과 비교하여 철거직후(43종)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2022년 56종, 2023년 64종)하였으며, 특히 절지동물 문에 해당하는 분류군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인공구조물과의 거리에 따른 출현종수는 구조물과 가까울수록 종수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격될수록 종수가 증가하였다. 장기적인 조사결과 인공구조물과 이격되어 있는 정점부터 점진적인 종수의 안정화가 확인되었으며, 인공구조물 철거지점과 가까운 지점에서는 지속적인 하상 변화가 관찰되고 회복이 느렸다. 이에 인공구조물 철거 후,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초기 주변환경을 고려한 서식환 경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6.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KAERI has developed a Radioactive Wast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AWINGS) to manage the life-cycle information from the generation to the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in compliance with the low- and medium-level radioactive waste acceptance criteria (WAC). In the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process, the preceding steps are to receive waste history from the waste generators. This includes an application for a specified container with a QR label, pre-inspection, and management request. Next, the succeeding steps consist of repackaging, treatment,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disposal, for a process to transparently manage radioactive wastes. Since the system operated in 2021, The system is enhanced to manage dynamic information, including the tracking of the location of radioactive waste and the repackaging process. Small packages of waste could be classified as either radioactive or clearance waste during pre-inspection. Furthermore, waste generated in the past has already been packaged in drums, and a new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to apply the repackaging when reclassification is required. All radioactive waste with the unique ID number on the specific container is managed within a database, the total amount and history of waste are managed, and statistical information is provided. This system is continuously be operated and developed to oversee life-cycle information, and serve as the foundational database for the Waste Certification Program (WCP).
        7.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light of recent significant seismic events in Korea and worldwide,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evaluate the adequacy of seismic assessments conducted during facility construction. This study reexamines the ongoing viability of the Safety Shutdown Earthquake (SSE) criteria assessment for the Combustible Radioactive Waste Treatment Facility (CRWTF) site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originally established in 1994. To validate the SSE assessment, we delineated 13 seismic structure zone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and employed two distinct methodologies. Initially, we updated earthquake occurrence data from 1994 to the present year (2023) to assess changes in the site’s horizontal maximum earthquake acceleration (g). Subsequentl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ame dataset, contrasting the outcomes derived from the existing distance attenuation equation with those from the most recent attenuation equation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applied attenuation model. The Safety Shutdown Earthquake (SSE) criterion of 0.2 g remains unexceeded, even when considering recent earthquake events since the original evaluation in 1994. Furthermore, when applying various assessment equations developed subsequently, the maximum value obtained from the previously utilized ‘Donvan and Bornstein’ attenuation equation is 0.1496 g, closely resembling the outcome derived from the recently employed ‘Lee’ reduction equation of 0.1451 g. The SSE criteria for CRWTF remain valid in the current context, even in light of recent seismic occurrences such as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Additionally, the attenuation equation employed in the evaluation consistently yields conservative results when compared to methodologies used in recent assessments. Consequently, the existing SSE criteria remain valid at pres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for confirming the SSE criterion assessment of similarly constructed facilities within KAERI.
        8.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wing to the great demand for portable and wearable chemical sensors, the development of all-solid-state potentiometric ion sensors is highly desirable considering their simplicity and stability. However, most ion sensors are challenged by the penetration of water and gas molecules into ion-selective membranes, causing unstable and undesirable sensing performances. In this study, a hydrophobic ionic liquid-modified graphene (Gr) sheet was prepared using a fluid dynamics-induced exfoliation and functionalization process. The high hydrophobicity and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ance of Gr make it a potential solid-state ion-to-electron transducer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ometric sodium-ion ( Na+) sensors. The as-prepared Na+ sensors effectively prevented the formation of the water layer and penetration of gas species, resulting in stable and high sensing performances. The Na+ sensors showed a Nernstian sensitivity of 58.11 mV/[Na+] with a low relative standard deviation (0.46), fast response time (5.1 s), good selectivity (K < 10− 4), and good durability. Furthermore, the Na+ sensor demonstrated its feasibility in practical applications by measuring accurate and reliable ion concentrations of artificial human sweat and tear samples, comparable to a commercial ion meter.
        4,000원
        9.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생식물은 관상용, 약용, 식량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고유 유전자원이다. 돌부추(Allium koreanum H.J. Choi & B.U. Oh)는 우리나라 해안 암반지대에 분포하는 자생식물 중 하나로, 기후변화와 서식지 감 소로 인해 보전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이번 연구는 온도와 과산화수소가 돌부추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자를 무처리(대조군) 또는 1% 과산화수소(H2O2)로 90분간 처리한 종자를 준비해 15, 20, 25°C 로 설정된 식물 생장 챔버에 배치하였다. 그 결과, 파종 23일 후 15°C에서 42%인 발아율이 20°C와 25°C에서 각각 18%와 0%인 발아율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H2O2 처리 여부와 관계없이 15°C에서 발아율이 42%로 가장 높았다. H2O2 처리와 관계없이 최종 발아율 50%(T50)에 도달하는 일수는 20°C에서 가장 짧았지만, 일평균 발아율(MDG)은 15°C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1%의 H2O2 처리는 돌부추의 발아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15°C의 온도가 돌부추의 발아율을 높이는 데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돌부추의 발아를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존에는 생산되는 키틴과 키토산의 대부분이 게, 새우등 갑각류 껍질에서 유래하였다. 하지만 어업에 의존하 는 기존 갑각류 비해 친환경적이며 품질 유지에 이점을 가지는 곤충으로부터 유래한 키틴이 최근 주목 받기 시작 하며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키토산이 남조류의 응집을 통해 녹조 제거 효과를 가지며 기존에 녹조를 억제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던 살조제들이 독성을 띠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연구를 참고하여 매미 탈피각으로부터 추출한 키토산을 녹조 방제에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매미 탈피각으로부터 키토 산을 추출하고 대표적인 녹조 원인종인 Microcystis aeruginosa 배양 후 추출한 키토산을 처리하여 녹조의 응집 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운 키토산 추출 원으로서 매미 탈피각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녹조 방제에 활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자원인 매미 탈피각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11.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me consumer good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are in circulation and used in everyday life. In accordance with the Nuclear Safety Act, consumer goods with radioactivity are regulated. However, since most consumer goods distributed in Korea have no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the amount of radia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adiation for safety regulation. Among these consumer goods, GTLS (Gaseous Tritium Light Source) contains gaseous tritium (tritium, written as 3H or T), which is a radioactive material. The gaseous composition ratio in GTLS was analyzed using a precision gas mass spectrometer (Thermo Fisher, model MAT 271). As a result of GTLS analysis, the H2, HD or H3 +(T) or 3He, HT or D2 or He, DT, and T2, which correspond to the mass-to-charge ratio (m/z) 2 to 6 and the air components were detected. In addition, substances corresponding to m/z=24 and m/z=21 were also detected. These were compared with pure CH4 and those fragmentation patterns. The ratios of CT4 (m/z = 24) to CT3 (m/z = 21) and CH4 (m/z = 16) to CH3 (m/z = 15) were compared and they agree within the measurement uncertainty. We also performed additional experiments to separate the water component in the GTLS sample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the m/z = 21 to m/z = 24 region is tritium compounds based on H2O. Despite the removal of the water components, peaks were detected at m/z=21 and m/z=24.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component of m/z = 24 in the GTLS sample was CT4.
        13.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Kori Unit 1 and Wolsong Units 1, commercial reactors in South Korea, were permanently shut down due to the expiration of their design lifetime. Therefore, nuclear power plants that have been permanently shut down must be dismantled, and the site must be finally released after removing the remaining radionuclides. Domestic regulatory standards for site remediation should not exceed 0.1 mSv per year based on effective dos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preliminary Derived Concentration Guideline Levels (DCGL) to prove that the conditions are me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put factor considering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of Kori Unit 1 was investigated, and the preliminary Derived Concentration Guideline Level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60Co, 134Cs, and 137Cs, which are gamma-ray emitting radionuclides, had similar values to DCGL of previous studies A and B. However, 63Ni, a beta-rayemitting nuclide, was 5.94×104 Bq·g−1 in this study and 8.47×101 Bq·g−1in previous study B, resulting in a difference of about 700 tim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90Sr, this study and previous study A were derived similarly, but this study was 5.34×101 Bq·g−1 and previous study B was 1.18×10−1 Bq·g−1, resulting in a difference of about 450 times. This difference is judged to be because, unlike this study using only the industrial worker scenario, in the case of previous study B, the resident farmer scenario was mixed and used, which considers the internal exposure caused by ingestion of food produced in the contaminated area.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CGL according to the change of geological factors of the sit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amma-ray-emitting nuclid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considering the intake of food affects the DCGL of beta-ray-emitting nuclid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duct future studies applying intake input factors that meet domestic conditions.
        1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03년 무름병에 비교적 강하고 화색과 화형이 우수하고 장미 분홍색을 가진 Zantedeschia rehmanni × hybrid ‘Super Gem’과 연한 노랑색 품종 Z. × hybrid ‘Black Magic’을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하여 인공 교배 하였다. 2006년에 개화특성을 검정하여 화색과 화형이 좋은 ‘GZ0616’를 선발하였으며, 2007년에 포장 재배하여 자구 증식률, 초장과 초세 등 1차 특성검정 후 2차 선발하였다. 2013부터 2015년까지 특성검정과 재배시험을 통하여 균일성과 안정성이 인정되어 ‘강교C4-6호’로 최종 선발되었으며, 2017년 2월에 ‘립스마일(Lip Smile)’로 품종등록 되었다. 화포 외부의 주 색은 연노랑바탕 적자색(Y2C+RP79C)이며, 화포 높이는 8.5cm, 폭은 6.2cm로 대형화이다. 개화소요일수는 64.3일, 초장은 66.0cm, 괴경은 80.0g이다. 기호도 평가에서도 ‘Captain Rosette’와 유사하였으며, 절화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4,000원
        1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upper thoracic mobilization on cervical alignment in stroke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stroke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and a cervical curve angle (four-line Cobb's method; FLCM) less than 40°. The intervention, central posterior-anterior (PA) mobilization, was applied to the T1-T4 vertebrae (upper thoracic spine) following the Maitland concept. This mobilization was applied thre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In the results, the cervical curve angle (FLCM) increased for both subject 1 and 2. However, Jochumsen method score was decreased in subject 1, while it was increased in subject 2.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upper thoracic mobilization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cervical curve angle but not on Jochumsen method sc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 mobilization on the upper thoracic spine could correct cervical curve angle measured by FLMC in stroke patients with FHP.
        3,000원
        1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understanding of water vapor sorption and equilibrium in food samples is crucial in the formulation of foods and in their storage stability. In this study, the moisture sorption isotherms of yacon powder was measured by using gravimetric method at 25℃, 35℃, and 45℃ under the relative humidity ranging from 11% to 75%, and nine different isotherm models were used to fit the experimental data and to analyze water vapor sorption on yacon powd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water vapor sorption for yacon powder followed a type III shape over the humidity range. The BET monolayer moisture contents valu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values predicted by the GAB model. The monolayer moisture content increased slightly as temperature increased. The surface areas for monolayer moisture sorp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blanching reduced these values. Through quantifying the relative percentage error (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standard error (SE), and root mean square (RMS) of the isotherm models relative to data, Halsey model was identified to be the best-fitting isotherm to describe the water sorption process in yacon powder.
        20.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dose-response the effects of nano-encapsulated conjugated linoleic acids(CLA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profiles. A fistulated Holstein cow was used as a donor of rumen fluid. Nano-encapsulated CLAs(LF, 5% of nano-encapsulated CLA-FFA; HF, 10% of nano-encapsulated CLA-FFA; LT, 5% of nano-encapsulated CLA-TG; HT, 10% of nano-encapsulated CLA-TG) were added to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experiment. In the in vitro ruminal incubation test, the total gas production on incubation with nano-encapsulated CLA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ime, compared with the control(p<0.05). The tVFA concentrations on addition of LF and H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p<0.05). Thus, nano-encapsulated CLAs might improve the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ithout adverse effects on the incub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population of Butyrivibrio fibrisolven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ruminal biohydrogenation was increased by adding HT, while decreased by adding LF at 12 h incuba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nano-encapsulated CLA-FFA could be applied to enhance CLA levels in ruminants by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CLA without causing adverse effects on ruminal fermentation profiles considering the optimal dosage.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