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함에 따라 농업 분야도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참여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빗모형을 이용하여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참여요인을 분석하였다. 2019년 기준 농업분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률을 평가한 결과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프로빗 모형분석 결과, 경지 규모가 클수록, 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도가 높을수록, 저탄소농업 지원정책에 참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과 2030 감축로드맵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영농경력이 많을수록, 지원정책 참여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저탄소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저탄소농업 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차별화 전략과 타켓팅 전략이 필요하다.
        4,000원
        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주 목적은 친환경농산물가공식품 구입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개별 특성과 이 식품의 소비확 대 정책 선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친환 경농산물 가공식품 소비실태를 조사하였고, 실증 분석을 위해 다항로짓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 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인증제도 관리가 강화될 때 소비를 늘릴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인증마크를 확인하는 응답자, 상대적으로 건강에 유익할 것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인하될 때 소비를 늘릴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친환경가공식품 가격이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 친환경 가공식품의 안전성에 만족하는 응답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 가공식품 구매를 효과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개별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4,000원
        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co-efficiency which is calculated by dividing economic productivity by the environmental load was made by synthesizing eco and efficiency from ecology and economy, proposed by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2000. Eco-efficiency by connection of resource efficiency with resource intensity is used as an indicator for evaluating green growth for minimizing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achieving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by means of efficient use of resources. This research analyzes eco-efficiency with the case of organic agriculture promoted as a key green growth p이icy. Thirty questionnaires for farmers producing organic rice in Hongseong-gun, Choongcheongnam-do were used for the analysis. Eco-efficiency was measured by means of the amount of used nitrogen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income, and was represented that organic a9끼culture was 32.0 higher than conventional agriculture. The analytical result of technical efficiency,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 showed that it is 0.765 which has a possibility of 21% in management improvement, and higher eco-efficiency was with higher technical efficiency. The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an organic agriculture cont꺼butes to green growth more than conventional agriculture. In addition, higher technical efficiency groups exhibited higher eco-efficiency ind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