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ssessed the utility of netted melon ‘Top Earl’s’ and cantaloupe melon ‘Alex’ as functional fruits by analysing their moisture content, vitreous sugar, folic acid, citric acid, and beta-carotene level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used to analyse the free sugar, folic acid, citric acid, and beta-carotene levels. The moistur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op Earl’s’ and ‘Alex.’ The glucose, sucrose, and fructose contents were three, two, and one-and-a-half fold higher in ‘Alex’ than in ‘Top Earl’s.’ Moreover, citric acid was approximately three times higher in ‘Alex’ than that in Top Earl’s.’ However, the fol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Top ‘Earl’s’ than ‘Alex,’ and the amount was 124 μg / 100 g FW and 112 μg / 100 g FW respectively. ‘Beta-carotene was undetectable in ‘Top Earl’s,’ whereas it was 1000 μg / 100 g FW in ‘Alex.’ β-carotene, a substance that is converted in the body into vitamin A and acts as an antioxidant,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healthy foo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antaloupe melon ‘Alex’ has a higher free sugar content and functional ingredients, such as antioxidants, including citric acid and beta carotene, than the netted melon ‘Top Earl’s.’
        4,0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alaenopsis ‘KS Little Gem’ is a new cultivar with superior ornamental qualities. Newly produced cultivars are often studied to determine the optimum growing conditions, as production management practices vary within species. We focused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carbohydrate content of ‘KS Little Gem’ plantlets. Two-month-old plantlets were subjected to different temperatures (20, 25, and 30°C) and fertilizer rates (0.33, 0.5, and 1 g・L-1) inside a growth chamber. Data were collected from leaves and roots regarding their growth, fresh weight, sugar content, and starch cont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emperature significantly affected leaves and roots parameters, fresh weight, and carbohydrate content of the plantlets. However, fertilizer rates alone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growth and carbohydrate content of plantlets. The highest leaf and root growth, root fresh weight, and leaf carbohydrate content were observed in plantlets subjected to 25°C. In addition, ‘KS Little Gem’ plants grown under 30°C had significantly inhibited growth and reduced carbohydrate content in both the leaves and roots.
        4,000원
        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품종 Phalaenopsis ‘SM 5616’은 2003년 경북대에서 Doritaenopsis ‘Sogo Vivien’과 Phal. ‘Zuma’s Pixie’를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개체 중에서 선발한 적색 소형 다 화 분지성이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에 걸쳐 실생 300 개체를 양성하여 이들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03-05-61’을 선발하였다. 2006년과 2007년에 1차, 2차 특 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SM 5616’으로 명명하였다. ‘SM 5616’은 화색이 화사하고 선명한 적색(71A)이며, 화형은 안아피기로 안정되어 있다. 꽃의 길이 와 폭은 각각 4.3cm, 4.6cm로 소형이다. 복총상화서로 볼륨 이 있으며 소형 캐주얼분화에 적합하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 각 13.2cm, 7.2cm이며 엽형은 난형으로 수평이다. 기내증식 율이 높고 변이가 거의 없으며 영양생장 우수하여 재배관리가 용이하다. Phal. ‘SM 5616’은 2011년 12월 21일 국립종자원에 품종등록(등록번호 제3824호)하여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 고 있으며 현재 상미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4,000원
        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접란 신품종 ‘화수 511’은 2000년 상미원에서 Phal. Happy Valentine을 양친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F1개체 중에서 육성하였다. 2001년 ~ 2003년에 걸쳐 실생개체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00-05-11을 선발하였다. 2004년과 2005년에 1차, 2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화수 511’로 명명하였다. 신품종 ‘화수 511’은 화색이 진분홍(PN78A)이며, 화형은 안아피기로 꽃의 길이와 폭은 각각 7.8cm, 9.5cm로 대형이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25.7cm, 8.7cm이며 엽형은 반직립이다. 기내증식율이 높고 식물체가 강건하고 생육이 빠르기 때문에 재배가 용이한 품종이다. 2008년 7월 8일 품종등록(등록번호 제2357호)하여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4,000원
        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형 다화 분지성의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호접란 ‘KSVivien’은 2004년 강산난원에서 Dtps. ‘Sogo Vivien’과‘Brother Little Hatter’을 각각을 모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F1개체 중에서 선발한 소형 다화 분지성의 신품종이다. 2005~2006년에 걸쳐 실생개체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KS-507-9를 선발하였다. 2007년과 2009년에 각각 1차, 2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KS Vivien’으로 명명하였다.‘KS Vivien’은 화색이 연분홍(2N81B)에 줄무니가 있는스트라이프계통이며, 화형은 앉아피기로 꽃의 길이와 폭은 각각 4.0, 4.3cm로 소형이다. 화서의 형태는 분지하는복총상화서이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9.9, 6.4cm이며엽형은 좁은 도난형의 반직립이다. 기내증식율이 높고 식물체가 강건하고 생육이 빠르기 때문에 재배가 용이한 품종이다. 2010년 11월 11일 품종등록(등록번호 제3377호)하여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4,000원
        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양한 인공 배양토를 조합한 배지를 사용하여 이 에 따른 실내식물의 생육반응을 알아보고 실내 벽면녹화에 최적 의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벽면녹화의 경우 식물의 수직식재, 식재공간의 협소 등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배지가 가볍 고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은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 용된 배지의 물리성과 화학성의 측정 결과로부터 벽면녹화에 적 합한 배지는 고형율이 가장 낮고 최대용수량이 가장 높으며 CEC가 비교적 높은 배지3으로 판단되었다. 무늬산호수의 경우 엽수를 제외하면 초장, 엽수, 엽장, 엽폭, 측지수 등의 생육은 배 지 간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 인 생육상황과 배지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배지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오색마삭줄의 경우 무늬 산호수와 마찬가지로 초장, 엽수, 엽장, 엽폭, 측지수 등의 전반 적인 생육상황과 배지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배지3 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금사철의 경우는 무늬산호수와 오색 마삭줄과는 달리 초장, 엽수, 엽장, 엽폭, 측지수 등에서 전반적 으로 생육이 양호한 배지8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배지에 따라 식물의 생육반응이 다른 것은 각 식물의 생육 습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식물별 적합한 토 양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벽면녹화용 식물에 대해서 적합한 토양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에틸렌 작용 억제제 중 하나인 1- methylcyclopropene(MCP)이 알스트로메리아, 금어초, 다알리아 및 나리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4종의 절화에 1-MCP 250, 500, 750 ppb를 각각 12시간 처리하였다. 알스트로메 리아의 경우 개화소요일수는 대조구와 1-MCP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절화수명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2일 이상 연장되었으며, 250 ppb 처리구가 17.1일로 가장 길었다. 금어초는 잔여소화율이 대조구 와 비교하여 1-MCP 모든 처리구에서 높아졌다. 그러 나 절화수명은 대조구와 처리구 사이에 유의차가 없었 다. 다알리아의 절화수명은 1-MCP 처리시 대조구보다 2일 정도 연장되었다. 수분흡수량은 절화수명과 반대 양상을 나타내었다. 나리의 절화수명은 대조구 12.6일 과 비교하여 모든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수분흡수 량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할 때 1-MCP 750 ppb 처리 구에서 약 3 mL 더 많았다.
        4,000원
        1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halaenopsis cultivar SM 6310 was bred b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The new cultivar SM 6310, showing the phenotype of yellow colored mini type characteristics, was introduced by artificial crossing of Phalaenopsis ‘Brother Gold Miss’ and Phalaenopsis philippinensis. An elite individual number ‘03-06-31’ later named as ‘SM 6310’ was selected among 250 individual progenies for more than 2 years(2004-2005) intensive selection process covering excellent vegetative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In year 2006-2007, the 1st and 2nd characteristic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tability and uniformity test. The ‘SM 6310’ shows that flower color is bright clean yellow (RHS#:12B) and flower shape is small type with size of 5.8 and 6.1cm in flower length and width, respectively. ‘SM 6310’ is regarded as raceme flower type suitable small flower pot market. The leaf of ‘SM 6310’ is rowing horizontally and about 15.6cm in length and 7.1cm in width. This cultivar also possesses no genetic variation, fast invitro propagation and easy growing due to vigorous growth habit. This ‘SM 6310’ is registered (Reg.#:3825) to Korea Seed & Variety Service (KSVS) in 21 December, 2011 and PBR (plant breeder's right) is currently controlled by Sangmiwon Orchid Company, Korea.
        1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halaenopsis cultivar Hwasu 3551 was bred b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which produces young plants through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 new cultivar Hwasu 3551, showing the phenotype of pink colored large stripe type characteristics, was derived from crossing between Phalaenopsis Minho Princess and Minho Stripes. An elite individual number '03-35-51' later coined as 'Hwasu 3551' was selected among about 300 individual progenies for more than 2 years intensive selection process covering vegetative and flowering distinctiveness. In year 2006-2007, the 1st and 2nd characteristic analysis were carried out through performance and uniformity test. The Hwasu 3551 shows that flower color is bright clean pink (RHS#RP69D) and flower shape is formal type with size of 7.4 and 8.8cm in flower length and width, respectively. Hwasu 3551 is regarded as raceme flower type suitable large flower pot market. The leaf of Hwasu 3551 is rowing horizontally and about 22.3cm in length and 9.4cm in width, respectively. This cultivar also possesses no genetic variation, fast invitro propagation and easy growing due to vigorous growth habit. This Hwasu 3551 is registered (Reg.#:2917) to Korea Seed & Variety Service (KSVS) in 1st December, 2009 and PBR (plant breeder's right) is currently controlled by Sangmiwon Orchid Company, Korea.
        13.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동생활시설에서 거주하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가 자아존중감 및 작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예치료대상자는 제주시 용담동 J시설에 거주하는 지적 장애인 대조구 8명, 실험군 8명이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09년 3월부터 2009년 7월 중순까지 주 1회 2시간씩 총 20회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평가 결과 대조군의 경우 실험 전 13.25점에서 실험 후 13.12점으로 0.13점 감소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대조구와는 반대로 실험 전 12.25점에서 실험 후 14.87점으로 2.62점이 증가하였으며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원예활동 평가 결과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 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운동지각능력이 통계적으로 고도로 유의하게(P<0.01) 향상되었다.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의 경우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공동 생활시설 내 지적 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 및 작업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5.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ahwang is an excellent chipping cultivar with yellow flesh, short oval tuber shape and mid-early maturity. Its yields were a little higher than Atlantic through the regional trials with five locations. It has a lower incidence of internal brown spot comp
        16.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innamjag is a round, smooth, white-skinned, and fleshed potato cultivar with erect plant shape and early maturity. It has excellent table quality. Its yields are high, especially with prominent marketable yield compared to Superior, a leading potato cul
        17.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st of recommended potato varieties in Korea are white skin colored. Purple skinned potatoes have been recognized as being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gastric disease. A new variety “Jaseo” has dark purple skin and white flesh colors, and attractive r
        1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problem of the Korean rice improvement program is narrow genetic background of genepool used as crossing parents. Although some successes have been reported for introduction of genes from the germplasm of distant genetic relationship such as in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