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L.)는 구북구(Palearctic region)에 널리 분포하는 다식성 곤충으로서 국내에서는 콩, 단감, 유자 등 다양한 작물의 해충이다. 이 종은 다른 노린재과(Pentatomidae) 곤충과 마찬가지로 수컷이 집합페로몬 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수컷의 집합페로몬 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고상미량추출(SPME) 방법을 이용하여 수컷과 암컷 성충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을 포집하여 화학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컷 특이적인 휘발물질로서 α-bisabolol, α-bergamotene, β-bisabolene을 동정하였고, 3가지 성분이 100:15:5 비율로 존재함을 밝혔다. 야외에서 알락수염노린재 수컷과 암컷 성충 모두가 주성분인 α-bisabolol을 처리한 트랩에 유인되었다. 나머지 2가지 성분(α-bergamotene과 β-bisabolene)의 경우, 그 자체로는 유인 효과가 없었으나 주성분인 α-bisabolol에 추가되면 보강효과가 발휘되었다. 곤충에서 α-bisabolol이 동정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며, 이번에 밝혀진 알락수염노린재 집합페 로몬은 이 해충의 발생예찰과 친환경 방제에 유용할 것이다.
        5.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tudy on the long-term change of water quality, water analysis was conducted at 16 sites surrounding the Kumho river system for 11 times from September 1990 to August 1993. Analytical items for the study of water quality are as follows; water temperature, pH, COD, BOD, DO, SS, electrical conductivity, NH_3-N, NO_2^- -N, NO_3^- -N, PO_4^3- -P, total-P, hardness, oil and grease, ABS, phenol, zinc, chromium, cadmium, manganese, iron, lead and color. The long-term change of water quality in the Kumho river for the period studied was found that the values of water temperature, electrical conductivity, phenol, NO_2^- -N and NH_3-N were increasing and those of COD, BOD, SS, oil and grease, ABS, NO_3 -N, PO_4^3- -P, copper, zinc, chromium, cadmium, manganese and lead were decreasing, while those of pH, hardness, iron and manganese were stea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