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태양광을 모사한 D65 광원과 동일한 색온도의 LED6500K 광원 하에서 색보임 차이를 비교하고,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색채구별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두 광원 조건에서 Farnsworth-Munsell 100 색상검사를 실시하고, 산출된 TES(Total Error Score)를 광원, 연령,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TES는 LED6500K 광원에서 D65 광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30대에서 광원 변화에 크게 반응하였다. 연령에 따라 두 광원 모두에서 50~60대의 TES가 높았고, 동일 광원 내 연령 비교에서는 D65 광 원에서 증가폭이 더 컸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대부분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LED6500K 광원은 D65 광원에 비해 색보임 오류가 다소 크지만, 기존 실내 광원보다 우수하여 실내 환경 에 적합하다. 색채구별 능력은 연령 증가에 따라 저하되며, 청년층은 광원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 어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인구 집단의 색보임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고객 응대와 제품 진열뿐 아니라 안경사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one-related diseases (e.g., osteoporosis) represent a significant health challenge, prompting research for effective therapeutic agents, particularly from natural sources. The edible mushroom,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has attracted interest due to its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Cytotoxicity assays revealed no significant toxicity of the M. aitchisonii water extract (MAWE) up to 50 μg/mL. MAWE significantly promoted dose-dependent osteoblast differentiation with ALP activity and mineralization increase by 109.17 % and 23 %,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differentiation-only group. Moreover, MAWE significantly upregulated osteoblast-related gene expressions, including that of type I collagen (COL1A), osterix (Osx), and osteopontin (OPN). Furthermore, MAWE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AMPK phosphorylation. This effect was further confirmed by demonstrating that the AMPK inhibitor compound C suppressed AMPK phosphorylation, and subsequent MAWE treatment restored it. In summar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AWE possesses potent osteoblast differentiation-promoting efficacy, primarily through AMPK signaling pathway ac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