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장미 ‘Feella’는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분홍백색의 스탠다드 장미이다. 분홍색이며 대형계인 ‘Nobless’를 모본으로 하 고, 중형계이며 적색으로 다수성 품종인 샤샤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2006년에 교배하여 실생을 양성하고 2009년부터 2010년까지 3회의 특성검정과 품종평가회를 실시한 결과, 절화특성 이 우수한 JR0657-35(Chonnam D1-65) 계통을 선발하였다. 화 형과 화색이 예쁜 ‘Feella’의 수량은 124.0본/m2/년으로 절화장이 71.4cm, 꽃 크기가 10.0cm, 꽃잎 수는 83.5매이며 절화수명은 10.2일이었다.
        3,000원
        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온상승억제 효과는 차광망(50%) +냉각수순환 평균 18.8oC(최고 23oC)가 가장 좋았으며, 차광망(50%) +지 하수순환 23.2oC(28.5oC), 차광도포제(30%)와 차광망 (50%)이 각각 24oC(최고 30oC) 순으로 나타났다. 고온기 근권냉각수 순환 효과가 가장 큰 모데나 품종은 절화장이 95.9 cm, 생체중이 67.0 g으로 가장 좋게 나타났다. 처리별 수량증가는 차광망(50%)처리에 비해 차광망(50%) +냉 각수순환이 121%로 가장 많았고, 차광망(50%) +지하수 순환, 차광도포제(30%)는 각각 59%와 65% 증가하였다. 하우스내부 야간온도를 8oC로 관리하였을 때 근권온수 순환이 평균 18oC 유지하여 무처리에 비해 약 8oC 정도 지온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절기 지하부 온수순환처리에 의한 알스트로메리아 생육은 아스펜, 모데나, 샤넬 품종에서 절화장, 생체중 등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보르도 품종은 절화장이 다소 작게 나타났다. 근권온수 순환처리가 생육을 증가시킨 결과로 아스펜 등 4품종 모두에서 꽃목길이, 꽃목경경, 꽃수 및 꽃무게 등절화품질 또한 증가하였다. 생산량 또한 크게 증가하여 모데나 품종에서 38%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아스펜, 보르도, 샤넬 순이었다.
        4,000원
        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직삽 양액재배에 의한 ‘신마’품종의 절화품 질 향상시키고자 양액 pH조정 비료종류와 모수포 관리 및 지베렐린처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모 수포 관리에 따른 절화장은 무처리(관행) 103 cm에 비해 모수포관리(온도,일장) 처리가 114 cm로 가장 컸고, 꽃 잎수도 무처리(관행) 259개/송이에 비해 모수포관리(온도, 일장) 처리가 298개로 가장 많았고, 절화중은 모수포관리 (온도,일장) 처리가 102g/본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엽록 소(SPAD-value)는 영양관리(몰비아 500배)처리가 5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베렐린처리 농도와 살포시기에 따른 절화장은 무처리(관행) 103 cm에 비해 지베렐린 1,000배 개화 60일전 처리가 121 cm로 가장 컸고, 꽃잎수 도 무처리(관행) 259개/송이에 비해 지베렐린 500배로 개화60일전 처리가 308개로 가장 많았고, 절화중 2,000배 개화60일전 처리가 110.7 g/본 가장 무겁게 나타 났다. 하지만 꽃목길이는 관행(무처리) 3.5 cm에 비해 500배 개화45일전 처리 10.4 cm와 1,000배 개화45일전 처리가 9.7 cm로 도장하는 경향이었다.
        4,000원
        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직삽 양액재배에 의한 ‘백마’ 품종의 줄기공 동화를 경감하고 절화품질 향상시키고자 양액 pH조정 비료종류와 에세폰 살포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양액 pH조정 비료종류에 따른 pH 경시적 변화는 수산화 칼륨 처리에서 pH 5.65에서 시작하여 큰 변화 없이 안정 적으로 유지되었다. 화아분화기 이후 양액 pH조정 비료 종류에 따른 절화장, 엽수, 절화중, 및 꽃잎수는 수산화 칼륨 처리가 가장 좋았다. 중탄산칼륨처리는 경경이 두 껍고 내벽이 두꺼워 동공의 크기와 면적이 가장 적었으나, 생육과 절화품질이 가장 좋은 수산화칼륨 처리구에서는 동공이 다소 큰 경향이었다. 화아분화기 이후 양액 pH 조정에 따른 양분 흡수변화는 중탄산칼륨 처리는 전질소, 인산, 칼륨 및 칼슘의 흡수가 가장 적게 일어나 순환식 양액탱크내 잔류량이 가장 많은 반면 수산화칼륨의 경우 전질소, 인산, 칼륨 및 칼슘의 순환식 양액탱크내 잔류 량이 적어 식물체내로 일정하게 흡수되도록 하여 생육 및 절화품질을 향상시킨 것으로 생각되었다. 에세폰 엽면 살포의 농도와 시기에 따른 생육은 관행(무처리)에 비해 500배 처리에서는 생육억제가, 1,000배와 2,000배 처리에 서는 생육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꽃잎수는 관행 302매에 비해 1,000배 개화 45일전 처리가 331개/송이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에세폰 처리에 따른 줄기동공은 관행에 비해 2,000배 개화 30일전 처리가 크기 1.0mm, 면적이 7% 정도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화 ‘백마’ 양액 재배시 화아분화기 이후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양액 pH 를 안정화시키고 에세폰 2,000배액을 개화 30일전 처리 하여 줄기동공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생육 및 절화품 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6.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arvae of Asian rhinoceros beetle, Trypoxylus [Allomyrina] dichotoma (Coleoptera: Scarabaeidae) feed on decaying organic matter and can be found in compost heaps or old dead logs. Mass rearing of this insect with a sawdust-based diet has made it popular commercial pet in many countries of Asia. Recently, lignocellulose, or biomass has been focused as renewable and sustainable resources for energy and many chemical products. It is well-known that gut symbiotic microbes in consortia are inevitable for the lignocellulose digestion in many insects. The cellulase and xylanase activity of the crude extracts from each gut contents and tissues, feces, and blood as a control from Asian rhinoceros beetle were analyzed with the overlaid agar-plate assay and spectrophotometric reduced sugar determination. In the plate assay, the highest activity of cellulase and xylanase was observed from midgut tissue extracts, and next from midgut contents, and minor activity from feces. Whereas no enzyme activity was detected from the samples from blood, crop, and hind gut. Similar results were confirmed from the reducing sugar assay with substrates of Avicell and xylan from birchwood, respectively. Further research on the biochemical and genetic property of symbiotic microbes and their enzymes relating on the lignocellulose degradation is planned.
        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정육묘시 삽목용토, 셀크기 및 시비체 계가 국화묘의 생장과 정식 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하추국 정운을 공시하여, 상토 는 TKS1, 훈탄, 훈탄+코코피트, 산흙(관행)과 플러그 트레이 크기를 72구, 128구, 200구로 하여 유묘의 생 육을 조사하였다. 양액농도 처리는 EC 0.9, EC 1.8, EC 2.6dS·m-1, 관행(요소 0.3%)로 하여 삽목 후 10 일부터 1, 3, 5회로 엽면살포 하였다. 상토의 종류에 있어서 묘소질은 훈탄+코코피트(1:1, v/v) 상토에서 가 장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이 후의 생육에 있어서도 가 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판용 상토인 TKS1에서는 초기 생육은 다소 도장되는 경향이었다. 어린 묘와 수확 전 식물체의 생육은 72구 플러그 트레이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그 이하의 크기(128과 200구) 트레이에서는 초장 및 생체중이 감소하는 경향 이었으나, 정상묘의 생산에는 문제없었다. 삽목에 의한 국화 플러그묘 생산에 있어 양액농도와 처리횟수가 많 을수록 초장 등 생장이 늘어났으나, 0.9dS·m-1는 생장 이 너무 더디었고, 2.6dS·m-1는 과번무 등 농도장해를 보여, EC 1.8dS·m-1와 5회 처리가 가장 양호한 것으 로 나타났다.
        4,000원
        12.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장미 "레드참" 품종은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적색 스탠다드 품종으로 수세가 강하고 동계생산성이 높은 적색 "First Red"를 모본으로, 적색이며 화형이 예쁜 "Cardinal" 를 부본으로 하여 2003년에 인공교배하였다. 화형과 화색이 예쁘고 수량성이 우수하며 가시가 적은 1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3회에 거쳐 특성 및 생산력검정을 실시하여 스탠다드 대형계 품종으로 화색이 적색이며 가시가 적고 흰가루병에 강한
        1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ale pink colored standard rose (Rosa hybrida Hort.) cultivar, 'Fine Pink' was developed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tion Services (JARES). Seedling and line selection were conducted in 2003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ee times from 2004 to 2006. 'Fine Pink' was obtained by crosse between 'Nobless' and 'Yvessaaintlaurent'. It shows a red group color (RHS No. 56C), very weak fragrance, and standard flower with good harmony between ray floret and flower center. It has a characteristic of straight stem. The average yield during 2004-2006 was 113 stems/m2. It has 10 days vase life and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This cultivar was registered as a commercial cultivar in 2007. It is suitable for greenhouse in all regions in Korea and will be released to farmers in 2009.
        1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light pink colored standard rose (Rosa hybrida Hort.) cultivar, 'Top Pink' was developed by the cross between 'Nobless' and 'Belami'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tion Services (JARES) through seedling and line selection in 2003, and characteristic evaluation during 2004-2006. 'Top Pink' shows a Red group color (RHS No. 49A), strong fragrance, and standard flower with good harmony between ray florlet and flower center, and straight stem. The yield was 131 stems/m2 averaged over three years (2004-2007). It showed 10 days vase life and was resistant to powdery mildew. This cultivar was registered as a commercial cultivar in 2007. It can be cultured in greenhouses in Korea and will be released to farmers in 2009.
        1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dark pink colored standard rose (Rosa hybrida Hort.) cultivar, 'Global Pink' was developed by the cross between 'Nobless' and `Belami'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tion Services (JARES) through seedling and line selection in 2003 and characteristic evaluations during 2004~2006. 'Global Pink' showed Red purple group color (RHS No. 65B), very weak fragrance, and standard flower with good harmony between ray florlet and flower center. Its yield was 134 stems/m2 averaged over three years (2004-2007). It showed 10 days vase life and was resistant to powdery mildew. This cultivar was registered as a commercial cultivar in 2007. It can be cultured in greenhouses in Korea and will be released to the farmers in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