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1

        2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웨스턴 온타리오 어깨 불안정 지수(Western Ontario Shoulder Instability Index: WOSI)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측정 속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번역은 번역과 역번역 과정을 포함하는 다수의 문헌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행되었다. 연구대 상자는 한국어판 WOSI (K-WOSI)와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for Koreans (K-QuickDASH)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K-WOSI는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같은 대상자에게 반복 측정되었다. 연구자 는 측정결과를 활용하여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동시타당도, 바닥 및 천장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16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총점 분석 시 내적일치도(Cronbach’s alpha = 0.97)와 검사·재검사 신뢰 도(Pearson’s r = 0.86,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 0.92)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평가의 하위 영역 간의 신뢰도 분석 시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K-WOSI와 K-QuickDASH의 상관성이 높았 으며(Pearson’s r = 0.88), K-WOSI의 바닥 및 천장 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K-WOSI가 어깨가 불안정한 환자들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평가로 확 인되었다.
        4,600원
        2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 대응과 새로운 소득작물로 아열대작물이 도입되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그린빈은 아메리카 중남부가 원산지인 콩과 작물로 미성숙 꼬투리를 다양한 요리에 이용하는데 최근 수요가 증가하면서 재배면적 이 확대되고 있다. 새로운 작물이 도입됨에 따라 안정재배를 위한 방제 대상 해충을 설정하기 위하여 재배시기별 해충 종류와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4월 중순에 파종한 그린빈에서는 생육초기부터 총채벌레 발생이 많았으 며, 5월 하순 이후 발생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7월 상순에 파종한 그린빈에서는 8월 하순부터 아메리카잎굴파리 피해가 증가하여 9월 상순에 피해엽률이 50% 이상으로 발생이 심하였으며, 응애류와 총채벌 레류 발생이 많은 경향이었다.
        2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총채벌레가 매개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로 고추 등 여러작물에서 심각 한 피해를 준다. 노지고추에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발생 경감을 위한 총채벌레 방제시기를 설정하고자 시기별 총채벌레 발생량과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2023년 전북 익산 노지 고추포장 에서 청색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총채벌레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4월 상순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여 5월 하순과 6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반면 고추 꽃에서는 정식 2주후부터 꽃당 10마리 이상 관찰되었다. 토마토반점 위조바이러스병은 정식 30일 이후 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노지고추에 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경감을 위하여 총채벌레 방제를 활착 이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 되었다.
        2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차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유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내 진화속을걷 는정원과 부추속전문전시원에 식재된 울릉산마늘의 화분매개곤충을 조사하였다. 2023년 5월 22일부터 6월 2일 까지 꽃이 70% 이상 개화하였을 때 포충망을 활용하여 8일간 곤충을 채집하였고, 각 전시원 별 식생(피도), 기후 (온도·습도·조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진화속을걷는정원에서 피도 60% 온도 26.4℃, 습도 31.5%, 조도 40953.6lx, 화분매개곤충 20과 450개체, 부추속전문전시원은 피도 90%, 온도 25.6℃, 습도 31.6%, 조도 6387lx, 화분매개곤충 15과 196개체로 나타났다. 온도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화속을걷는정원이 채집된 곤충의 다양성과 방문 빈도가 높았다. 시간대별 곤충의 방문 빈도를 비교해본 결과 온도와 조도는 개체수가 증가할 때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2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왕담배나방은 기주범위가 넓은 다식성으로 토마토, 옥수수, 담배, 해바라기, 땅콩, 면화, 콩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며, 장거리 이동성 해충으로도 유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월동번데기의 성충으로 우화모델(2종)를 작성하고 포장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월동 번데기는 휴면을 종료한 후 안점소실 과정을 거쳐 정상의 번데기로 이행되고 비로소 성충으로 우화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첫 번째 모형(모 형 1)은 2단계 휴면후발육 우화모형으로 안점소실에 필요한 적산온도 59.9DD (발육영점온도 15.9℃)와 번데기 발육완료에 필요한 192.3DD (발육영점온도 10.2℃)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 모형(모형 2)은 온도자극 우화모형으 로 17.63℃의 온도자극 이후에 번데기 발육을 개시하는 모형이었다. 적산온도는 단순 평균온도법과 사인곡선법 으로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포장자료와 비교 결과 모형 1에 사인곡선법을 적용했을 때 실측치와 편차가 3일보다 작거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사인곡선법을 적용한 모형 2는 3~6.5일의 편차가 있었다. 평균온도법을 적용한 경우 두 모형 모두 실측치와 편차가 증가하였다. 모형을 활용하여 예측 우화시기와 트랩유살자료를 비교하여 왕담배 나방의 비래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2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ccurrence level of Metcalfa pruinosa, Halyomorpha halys, and Spodoptera litura was investigated in persimmon tree and bean cultivation fields in 14 cities and counties of the Jeonbuk region in June and July. Metcalfa pruinose was visually inspected, while Halyomorpha halys and Spodoptera litura were investigated by installing pheromone traps and counting the number of captured individuals once, seven days after trap placement. Metcalfa pruinose nymphs occurred in eight cities and counties, which showed an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Halyomorpha halys nymphs had higher occurrences in the plains, with an average count of 5.5. The average count of Spodoptera litura was 26.7, which was lower than the previous year.
        2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포도 과원에서 보고된 장님노린재에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가 있으며, 포도 신초를 가해해 잎 이 자라면서 구멍이 나고, 포도알을 흡즙해 포도알 표피를 코르크화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애무늬고리장님노 린재는 약충은 3~4mm, 성충은 4~5mm 정도이며, 몸 색깔은 엷은 녹색을 띄고, 다리(설상부) 끝이 검어 초록장님노 린재와 구분된다. 조사지점에서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만 채집되었으며, 나무당 0~4.8마리가 발견되었다. 4월 하순 상대습도 40% 이상이고, 일평균기온이 13℃ 이상 10일 정도 경과하였을 때 알에서 부화해 신초를 가해 하기 시작했다. 5월 하순부터 성충이 되며, 포도원 살충제 살포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였다가 7월 초경에 초목성 식물에서 포도원으로 들어와 새로 나오는 포도 부초를 가해하였다. 방제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무게가 차이가 났는데 잎전개기, 꽃송이분리기, 착과기 3회 방제시 수량감소율이 1%인데 비해 잎전개기에만 방제시 3.5%, 꽃송 이분리기에만 방제시 7.9%, 무처리구에서는 15.6%로 방제 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감소량이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또한 충랑은 2018년에 품종등록된 3배체(캠벨얼리×고처) 포도로 신품종 연구가 필요한 품종이다. 연무늬들명나방 (Syllepte pallidinotalis)은 캠벨얼리와 신품종 충랑에서 잎의 가장자리를 말고 그 속에서 잎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잎에 피해가 관찰되었다. 연중 포도원에서 연무늬들명나방의 밀도는 7월 중순과 9월 하순에 2번의 peak를 보였 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2령이 되면 잎을 말고 안에 숨기 때문에 잎을 말은 이후 약제 살포시 잎 안에 잘 뭏지 않아 방제가가 떨어졌다. 특히 생물농약인 비티제를 이용해 방제를 할 경우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에 살포 했을 때 93.5%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5월 하순이나 7월 초순 방제할 경우 73.9, 43.6%로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따라서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 8월 하순에 방제를 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2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열대거세미나방이 2019년 국내에 첫 비래한 이후 매년 비래하고 있으며 옥수수 등에서 피해를 주고 있음에 따라 전북지역 주요 옥수수 재배지역에서의 열대거세미나방 발생양상과 약제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2022년 도에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성충유인량을 조사한 결과 7월 1일 첫 채집되었으며 8월 중순이후 채집량이 증가 하여 9월 중순과 10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11월 상순까지 유인되었다. 2022년과 2023년에 식용 옥수 수 재배지역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유충 피해 조사 결과 6월 수확하는 옥수수에서는 열매피해가 없었으나 9월에 수확하는 옥수수에서는 피해열매율이 30% 이상인 포장들이 관찰되어 재배시기에 따라 피해 정도 차이가 매우 큰 경향이었다. 옥수수 포장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유충 방제를 위해 2~3령기에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를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결과 처리 7일 후 방제효과는 91.7%로 높았다.
        3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olden apple snails(GAS) are native to warm regions such as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Southeast Asia, and were first introduced as a high-protein food. GAS are omnivorous and have a habit of eating plants submerged in water, so they have been used for eco-friendly weed control in rice fields since 1992. When the GAS was first introduced,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impossible to overwinter in Korea. However after 2000, overwintering individuals were founded and damage to rice occurred and the development of means to control GAS has been required.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iveness of an eco-friendly pest control agent using Styrax japonicus that grow naturally in Korea. As a result of exposing GAS to S. japonicus fruit powder, a 100% molluscicidal effect was confirmed at 66.7ppm. To investigate the duration of effect, treatment was performed at the same concentration and molluscicidal effect of more than 90% was up to 3 days after treatment. The killing effect of each part of the S. japonicus was compared, and the seed extracts showed no killing effect at all concentrations, while the sarcocarp extracts showed a 100% killing effect up to 33.3ppm, and the fruit extracts showed a 100% killing effect up to 200ppm.
        3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 2022년 제주도 애월읍 일대에서 콩 해충으로 알려진 콩은무늬밤나방(Ctenoplusia agnata) 성충이 검거세 미밤나방(Agrotis ipsilon)의 성페로몬 트랩에 대량으로 포획되었다. 검거세미밤나방 트랩은 목적 해충에 대한 포획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세 구성 성분, (Z)-7-dodecenyl acetate, (Z)-9-tetradecenyl acetate를 3:1 비율로 고정하고 (Z)-11-hexadecenyl acetate를 0, 1, 6, 10, 15로 각각 비율을 달리한 미끼를 사용하였다. 각 조성별 콩은무늬밤나방 성충 포획수를 비교한 결과, (Z)-11-hexadecenyl acetate가 첨가되지 않은 트랩에서 주당 평균 약 17.96마리로, 가장 많은 수의 개체가 포획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Z)-11-hexadecenyl acetate가 가장 많이 함유된 트랩에서 주당 평균 약 2.5마리로 가장 적은 개체가 포획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Z)-11-hexadecenyl acetate의 비율이 증가할 수록, 포획되는 콩은무늬밤나방의 개체 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거세미밤나방 미끼의 주성분인 Z)-7-dodecenyl acetate는 기존의 콩은무늬밤나방 유인 성분 중 하나이기도 하여 해당 성분의 구성비가 유인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추후에 해당 트랩들과 시판 중인 콩은무늬밤나방 성페로몬 트랩을 설치하 여 포획 양상을 비교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3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sticides are indispensable in contemporary agriculture but are mainly attributed to honey bee population decli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pproximate physiological response to pesticides, honey bees were exposed to seven pesticides (Acetamiprid, Imidacloprid, Flupyradifurone, Carbaryl, Fenitrothion, Amitraz, and Bifenthrin), and expression changes of the genes categorized into four physiological functions (insecticide targets, immune-, detoxific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esponse-related gene) were analyzed in the head and abdomen of honey bee exposed to pesticides using quantitative PCR. Based on the heat map analysis, immune-related genes seem to be more up-regulated by pesticide exposure in head than abdomen. Among detoxification genes, only cytochrome P450 families were up-regulated in head. Interestingly, regardless of the insecticide target, expression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beta 1 and Acetylcholinesterase 1 were notably induced by pesticide exposure in head. Heat map analysis expressing the transcription profiles of various genes in the head and abdomen of the honey bee exposed to various pesticides can be used to diagnose pesticide damage in honey bees in the future.
        3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dult of honey bee, Apis mellifera, performs an age-dependent division of labor with nurse bees and foragers. Foragers fly outside the hive to collect pollen and nectar, while nurses feed and care for the larvae and queen inside the hive. Foragers are considered to be frequently exposed to agrochemicals, although nurses, stayed inside the hive, are potentially exposed to pesticides through application of miticides and pesticidecontaminated food provided by forager. Therefore, physiological effects of pesticides to nurses should be elucidated to understand the adverse effects of the chemicals on entire honey bee colon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changes of the genes associated with labor division (task genes) and the nursing behavior of nurse bees fed four pesticides: acetamiprid (ACE), carbaryl (CB), imidacloprid (IMI), and fenitrothion (FEN). When nurses were exposed to ACE, IMI, and FEN, expression levels of task genes were up- and down-regulated, and their nursing behaviors were also suppressed and enhanced, respectively. CB did not alter the gene expression levels, however increased nursing behavior. These suggest the potential of pesticide that breaks the balance of labor distribution in honey bee colony.
        3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2007, diamide insecticides have been widely used in Korea to control various types of lepidopteran pests including Spodoptera exigua. For nearly a decade, diamide resistance in field populations of S. exigua across 18 localities has been monitored using bioassays. Based on the LC50 values, some field populations showed a high level of resistance against chlorantraniliprole, although regional and temporal variations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resistance at a molecular level, mutations (Y4701C, I4790M, and G4946E) were examined in the ryanodine receptor (RyR), which is the primary mechanism underlying diamide insecticide resistance. As a result, only I4790M mutation was found in most of field populations. As resistance levels varied significantly despite the uniform presence of the I4790M mutation, we considered the presence of another resistance factor. Further, the I4790M mutation was also found in S. exigua specimens collected prior to the commercialization of diamide insecticides in Korea as well as in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SA. This finding led us to hypothesize that the I4790M mutation were predisposed in field populations owing to selection factors other than diamide use. For further clarification, we conducted whole-genome sequencing of S. exigua (449.83 Mb) and re-sequencing of 18 individuals. However, no additional non-synonymous mutations were detected in the RyR-coding region. Therefore, the high level of diamide insecticide resistance in Korean S. exigua is not caused by mutations at the target site, RyR, but is attributed to other factors that need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studies.
        3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elicoverpa assulta (Lepidoptera: Noctuidae) exhibits a specialized herbivorous diet, primarily targeting select Solanaceae plants. Despite its significant economic impact as a pest, causing substantial harm to crops like hot pepper and tobacco, it has received comparatively limited attention in research compared to its generalist counterparts, H. armigera and H. zea.We introduce a chromosome level genome assembly using a Korean H. assulta (Pyeongchang strain, K18). This assembly was achieved through a combined approach utilizing Nanopore long-read sequencing (approximately 78X coverage) and Illumina NovaSeq short-read sequencing (approximately 54X coverage). The total assembled genome spans 424.36 Mb, designated as ASM2961881v1, comprises 62 scaffolds, with 98.7% of the genome contained within 31 scaffolds, confirming the insect's chromosome count (n = 31). The completeness of the assembly is reflected in BUSCO assessment, with values reaching 99.0%, while the repeat content accounts for 33.01%, and 18,593 CDS were annotated. Additionally, 137 genes were identified within 15 orthogroups that have rapidly expanded in H. assulta, while 149 genes in 95 orthogroups have rapidly contracted. This genome draft serves as a valuable resource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specialist's biology, enabling research into host-range evolution, chemical communication, insecticide resistance, and comparative investigations with other Heliothine species.
        39.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tensive research and testing continue to be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vaccines targeting zoonotic diseases such as brucellosis.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the DapB as a recombinant protein vaccine to effectively combat Brucella abortus 544 infection in BALB/c mice was evaluated. Western blotting assay results showed that recombinant protein DapB reacted with Brucella-positive serum, indicating its potential immunoreactivity. In vivo results showed that the peripheral blood CD4+ and CD8+ T cell pop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apB-immunized mice group aft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blood colle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PBS. Additionally, at the fourth blood collection, an increase in CD4+ T cell activation was observed in three vaccination groups compared to PBS negativ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of DapB in stimulating cellular immunity. Fourteen days after infection, the bacterial load in the spleen was evaluated. The reduction in bacterial replication in the spleen by both DapB and RB51 highlights their protective efficacy against Brucella infection.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ongoing efforts in developing effective vaccines against brucellosis and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4,000원
        40.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hermoelectric effect, which converts waste heat into electricity, holds promise as a renewable energy technology. Recently, bismuth telluride (Bi2Te3)-based alloys are being recognized as important materials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room temperature to 500 K. However, conventional sintering processes impose limitations on shape-changeable and tailorable Bi2Te3 materials. To overcome these issues,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is being adopted. Although some research results have been reported, relatively few studies on 3D printed thermoelectric materials are being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utilize extrusion 3D printing to manufacture n-type Bi1.7Sb0.3Te3 (N-BST). The ink is produced without using organic binders, which could negatively influence its thermoelectric properties. Furthermore, we introduce graphene oxide (GO) at the crystal interface to enhance the electrical properties. The formed N-BST composites exhibit significantly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higher Seebeck coefficient as the GO content increases. Therefore, we propose that the combination of the extrusion 3D printing process (Direct Ink Writing, DIW) and the incorporation of GO into N-BST offers a convenient and effective approach for achieving higher thermoelectric efficienc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