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판매되고 있는 사슴벌레종[넓적사슴벌레(Dorcus titanus), 참넓적사슴벌레(Serrognathus consentaneus), 남방넓적사슴벌레(D. titanus jejuensis, 가칭), 애사슴벌레(D. rectus) 및 왕사슴벌레(D. hopei)]과 부산 지역에서 채집한 넓적사슴벌레 12개체와 경남 의령군에서 채집한 1개체의 미토콘드리아 DNA 중 cytochrome oxidase I(COI) 를 이용하여 계통을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NCBI에 기등록된 북한, 일본,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및 태국의 넓적사슴벌레의 COI 서열을 이용하여 추가 분석하였다. 먼저 판매되고 있는 사슴벌레종은 넓적사슴벌레, 남방넓적사슴벌레 및 참넓적사슴벌레의 group I과 애사슴벌레 및 왕사슴벌레의 group II로 구분되었다. 부산지역 및 의령에서 채집한 넓적사슴벌레의 경우 COI 및 COII로 분석 결과 북한에서 기보고 된 3개체를 포함해 유전적 변이에 있어 큰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한반도와 일본 일부지역에서 높은 상동성을 확인하였는데 그 외 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넓적사슴벌레와는 다른 그룹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 서식 사슴벌레 종의 유전적 분석과 함께 외래 유입종을 판별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xalic acid has a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High producer of oxalic acid was isolated, and then named as Aspergillus niger F22. Oxalic acid production was investigated under various temperatures from 20 – 33oC and rotational speeds in 5 L jar fermenters. Yield of oxalic acid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at 23oC, showing the yield of oxalic acid of 8.7 g/L, whereas oxalic acid production was least at 33oC. At 20oC, the yield was lower than that of 23oC. At a rotational speed of 300 rpm, serious oxygen depletion was present from 48 - 72 h, resulting in low productivity of 26.2 mg /L·h. When a rotational speed was set at 600 rpm, dissolved oxygen tension was over 40% and oxalic acid production increased up to approximately 55%. Viscosity during the culture differed with temperatures. Viscosity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temperatures. When A. niger F22 was cultured at 23oC, viscosity was 810 cP, which was favorable for oxalic acid production.
        8.
        200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로 2호기 해체과정에서 발생한 방사화된 수조 콘크리트 내의 깊이에 따른 및 의 방사능 분포를 고온연소로와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로 2호기 해체과정에서 발생된 콘크리트폐기물의 핵종재고량 평가에 활용하기 위하여 및 측정결과와 감마방출핵종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및 의 검출하한값은 0.048 및 0.028 Bq/g이다. 연구로 2호기 수조 콘크리트 내의 및 의 깊이별 방사능 분포는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및 의 비방사능은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의 비방사능과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000원
        9.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단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X-ray는 연속적인 에너지 분포를 가지지만 저에너지 광자의 경우에는 영상 형성 보다는 환자피폭에 더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저에너지 광자를 제거하기 위해 임상에서는 알루미늄 필터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빔 경화 현상으로 인한 영상 품질에 악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필터에 의한 산란 선량이 의료 영상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영상의 대조도 저하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상대 표준 편차 및 산란 열화 인자를 평가 지표로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70 kVp 이상의 전압에서 진단 영상을 확보 시 NCRP에 의해 권장되는 2.5 mmAl를 기준에서 전방산란율 분석 결과 0.69 %, 산란 열화 인자 분석 결과는 0.005, NNPS 분석 결과 3.59 mm2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알루미늄 필터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산란 선량이 의료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정량적으로 검증하 였다.
        1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의료분야에서는 방사선 차폐체로서 납(Pb)이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납은 무게가 매우 무거워 납 치마 등의 방호복은 장시간 착용이 어려우며, 인체에 치명적인 납 중독의 위험이 상시 가지고 있다는 문제 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납을 대체 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납의 대체물질로써 대표적인 바륨(Ba)과 요오드(I) 등은 우수한 차폐능을 가지고 있지만, 30keV 근처의 에너지 영역에서 특성 X선을 방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환자나 방사선 종사자의 경우 차폐체를 인체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차폐체에서 발생되는 특성 X선이 인체에 직접 조사되어 방사선 피 폭을 증가시킬 위험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바륨(Ba)과 요오드(I)등에서 발생되는 특성 X선을 제거하기에 적절한 이중구조 차폐체를 방사선 수송코드 중 하나인 FLUKA 수송코드를 개발하여 선행연구로서 진행된 MCNPX 시뮬레이션과 비 교 분석하여 이중구조 차폐체의 차폐율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MCNPX와 FLUKA를 이용하 여 황산바륨(BaSO4)과 산화비스무스(Bi2O3)로 이루어진 다양한 두께조합의 이중구조 차폐체를 설계하였으 며, IEC61331-1에 제시된 모식도를 기하학적으로 동일하게 시뮬레이션 상에 구현하였다. 또한, 120 kVp 의 연속 X선 스펙트럼에 대한 차폐체의 투과스펙트럼과 흡수선량을 납과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0.3 mm-BaSO4/0.3 mm-Bi2O3 와 0.1 mm-BaSO4/0.5 mm-Bi2O3 구조에서는 33 keV와 37 keV의 특 성 X선을 모두 흡수하였으며, 90 keV 이상의 고에너지 X선에 대해서도 납과 거의 유사한 차폐효율을 보였 다. 또한, FLUKA의 수송코드는 33 keV 이하에서는 cut-off 가 발생하여 저에너지 X선 광자에 대한 전산모 사에 제약이 있지만, 40 keV 이상의 고에너지 영역에서 MCNPX와의 상대오차가 6 % 이내로 신뢰성이 매 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다엽콜리메이터를 부착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의 빈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정교한 방사선 수술은 소조사면 내에 고선량의 방사선이 집중적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정확한 정도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PIB(Particle in Binder) 방식 중 침전법을 이용하여 400 ㎛ 두께의 요오드화납(PbI2)과 요오드화수은(HgI2) 광도전체 센서 시편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의 전기적 특성은 암전류, 출력전류, 응답특성 및 선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HgI2 가 우수한 신호발생량과 선형성을 보였다. 끝으로, 두께에 따른 HgI2 센서의 신호반응 특성 결과, 400 ㎛ 두께에서 신호발생효율이 가장 높았고, ±2.5 % 이내의 우수한 재현성을 보였다.
        1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rrect development of male gametophytes (pollen grains) in flowering plants is essential for proliferate in gamete production. Here we have taken a map-based cloning approach using Arabidopsis male gametophytic mutant, named gemini pollen3 (gem3)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key gene that is expressed gametophytically for the completion of microgametogenesis focusing on genes which control cell division and cell fate determination. Previously reported gem1 and gem2 mutant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gem3 that are disturbed at asymmetric division and cytokinesis at pollen mitosis I (PMI) in Arabidopsis. However, gem3 was mapped to a different genetic locus, and pollen developmental analysis revealed that gem3 exert an effect at meiosis and mitosis causing complete sterility. We also discovered that gem3 homozygous lines produce aberrant pollen grains, arising from incomplete cytokinesis during male meiosis with sporophytic phenotypes of twisted-shape leaves, large flowers. This mutation shows reduced genetic transmission of gem3 allele through male gametophyte. In previous results, the gem3 locus was confirmed by mapping to the region located on chromosome 5. To further confirm strong candidate gene, we performed sequencing and genetic complementation analysis. Currently, we are performing functional studies of the gem3 gene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molecular mechanisms that control asymmetric division at meiosis and mitosis during pollen development.
        1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rphometric changes in the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and the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were observ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growth. Yolk length, yolk height, and yolk volume in the two species decreased within 9 days post-hatching (DPH) (p<0.05). The body lengths and body heights of both species increased gradually to 150 and 130 DPH, respectively (p<0.05).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most extension of the head and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ectoral fin, the anteriormost extension of the head × the verticality position of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rimary dorsal fin rays, and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rimary dorsal fin ×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ectoral fin were greater in the Korean bullhead than in the Ussurian bullhead (p<0.05). However, the relative sizes of the head region, pectoral fin, ventral fin, and anal fin were greater in the Ussurian bullhead than in the Korean bullhead (p<0.05), and relative body depth and the size of the outer-mandible barbel were greater in the Korean bullhead than in the Ussurian bullhead (p<0.05). The growth curves of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both speci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