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발달연령 3세부터 6세에 해당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시선 추 적 장치(Eye-Tracker)와 시각장면디스플레이(Visual Scene Displays, VSD)를 활용하여 색 선호도가 시각적 매 끄러움과 시각적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23명과 일반 아동 28명으로 구성되었다. 시선추적장치(Eye- Tracker)를 사용하여 10가지 색 중 아동이 선호하는 색을 확인하였다. 시각적 매끄러움은 움직이는 목표물의 응시 오차값(mean squared error)으로 측정하였으며, 시각적 주의집중력은 다양한 색 단서(무단서, 선호색 단서, 비선호색 단서)가 제시된 장면에서 관심영역(Area of Interest, AOI)에 대한 응시 횟수로 측정하였다. 결과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경우, 선호색 단서를 제시했을 때 무단서에 비해 시각적 매끄러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50), 시각적 주의집중력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0). 이러한 차이는 일반 아동에게서 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 성별과 연령에 따라 색 선호도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선호색을 활용한 시각적 자극은 시각적 매끄러움과 시각적 주의집중력을 향 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아동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rapevine l eaf rust (GLR) c aused b y Phakopsora euvitis diminishes fruit quality and reduces yield in viticulture, making it one of the world’s most significant fruit crop threats. To develop GLR-resistant grape varieties, substantial efforts have been made to select rust-resistant genes and determine effective strategies f or achieving durab le resistance in grapevin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genetic resources resistant to GLR by investigating disease incidence in vineyards and symptom development in grapevines inoculated with pathogens. Fifty-seven genotypes from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itis acerifolia, V. aestivalis, V. amurensis, V. cinerea, V. coignetiae, V. flexuosa, V. labrusca, V. labruscana, V. rotundifolia, and V. vinifera were evaluated for rust disease incidence over four years (2021 –2024) at Yeunganm University. Three plants per genotype were potted and sprayed with a pathogen suspension to assess disease incidence on their adaxial leaf surfaces in a greenhouse. Variation in resistance to GLR was observed among genotypes within each species. Resistant genotypes of V. coignetiae exhibited no symptoms on their leaves, while severe infections were noted in the leaves of susceptible genotypes of A. brevipedunculata, V. amurensis, V. flexuosa, V. labruscana, and V. vinifera. None of the tested V. rotundifolia genotypes displayed yellow pustules and remained unaffected for three weeks after artificial inocul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V. rotundifolia and V. coignetiae as valuable genetic resources for breeding rust-resistant grapevines. Chlorophyll content was comparable across all uninfected genotypes. While resistant genotypes maintained relatively stable chlorophyll levels, the average chlorophyll content in the majority of susceptible genotypes was significantly lower following inoculation than before. This negative relationship indicates a general decline in photosynthetic capacity due to disease development in grapevines. Identifying resistant genotypes among both resistant and susceptible genotypes across different Vitis species provides crucial insights for developing new grape varieties with improved resistance to GLR.
목적: 색각이상이 없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magenta, pink, yellow, blue의 4종 크로마젠 안경렌즈 착용 시 색지각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안질환 및 색각이상이 없는 평균연령 23.6±2.9세의 교정시력이 1.0인 성인남녀 48명을 대상으로, 암실 환경 내 조명 부스에 내장된 D65 광원 하에서 Farnsworth-Munsell 100 hue 색상검사를 실시하였다. 미착용 조 건과 blue, yellow, magenta, pink의 4종 크로마젠 안경렌즈 착용 조건에서 색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 며, 총 오류값(total error score, TES)과 색상 계열별 오류값(error score, ES)을 측정하였다. 결과 : 사용된 4종의 크로마젠 안경렌즈는 미착용 조건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p<0.001), TES는 pink(82.5), magenta(68.4), yellow(62.4), blue(41.4), 미착용(31.4) 순으로 pink가 가장 높 게 측정되었다. ES는 크로마젠 렌즈의 분광투과율 특성에 따라 색상 계열별로 상이한 색지각 오류를 유발하였다. pink와 magenta 렌즈는 중파장 차단으로 Greenyellow∼Bluegreen 계열에서 높은 오류를 보였고, blue 렌즈는 상대적으로 낮은 오류를 나타냈다. 특히 pink 렌즈는 전반적인 오류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 Blue, yellow, magenta, pink 크로마젠 렌즈를 색각 정상인에게 처방 시, 색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침을 알 수 있었으며, 각 렌즈의 분광투과율 특성이 색지각 오류 양상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TES 및 ES 분석 결과, 광투과율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색지각 왜곡이 존재하였으며, 처방 시에는 파장별 투과 특 성과 함께 착용자의 연령, 주요 조명 조건, 작업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안경사의 색채 관련 교육 및 임상 컨설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태양광을 모사한 D65 광원과 동일한 색온도의 LED6500K 광원 하에서 색보임 차이를 비교하고,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색채구별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두 광원 조건에서 Farnsworth-Munsell 100 색상검사를 실시하고, 산출된 TES(Total Error Score)를 광원, 연령,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TES는 LED6500K 광원에서 D65 광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0~30대에서 광원 변화에 크게 반응하였다. 연령에 따라 두 광원 모두에서 50~60대의 TES가 높았고, 동일 광원 내 연령 비교에서는 D65 광 원에서 증가폭이 더 컸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대부분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LED6500K 광원은 D65 광원에 비해 색보임 오류가 다소 크지만, 기존 실내 광원보다 우수하여 실내 환경 에 적합하다. 색채구별 능력은 연령 증가에 따라 저하되며, 청년층은 광원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 어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인구 집단의 색보임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고객 응대와 제품 진열뿐 아니라 안경사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감염으로 발생하며, 소나무 숲 생태계에 심각한 환경 피해를 준다. 본 연구에 서는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제를 개발하기 위해 7가지 곤충병원성 곰팡이 추출물의 살선충 활성을 평가하였다. 곰팡이를 배양하여 추출물을 얻은 다음, 다양한 농도에서 96-웰 플레이트를 이용해 살선충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붉은자루동충하초(Cordyceps pruinosa)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84.7%의 가장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며, LC50 값은 0.130 mg/mL였다. 노린재포식동충하초(Ophiocordyceps nutans) 추출물은 76.2%의 치사율을 보였다. 나머지 5가지 곰팡이 추출물은 42.8%에서 62.0% 사이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동충하초류 추출물의 높은 살선충 활성 은 활성 화합물을 추가로 밝혀낸다면, 생물학적 살선충제로 개발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목적 : 동공 직경과 양안시기능이 양안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전신질환 및 안과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38명을 대상으로 완전 교정 후에 사위도와 조절력, 조절래그, 조절용이성을 측정하였다. 대비감도는 측정 장비(MonCV3, Metrovision, France)를 이용하여 양안으로 정적 대 비감도와 동적 대비감도를 측정하였으며, 공간주파수는 0.8, 1.6, 3.2, 6.4, 12.8, 25.6 cpd에서 측정하였다. 동 공 직경은 조도에 따라 100, 10, 1, 0 cd/m2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 원거리 사위도는 동적 대비감도 6.4 cpd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373, p=0.043), 외사위도 가 증가할수록 동적 대비감도가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절 기능은 양안 정적 대비감도와 동적 대비 감도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조도에 따른 동공 직경과 비교하였을 때 양안 정적 대비감도, 동 적 대비감도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최대 동공 직경과 최소 동공 직경의 차이에서는 정적 대 비감도와 동적 대비감도 모두 1.6 cpd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93, p=0.016), (r=-0.367, p=0.046). 따라서 동공 직경의 변화가 큰 경우 낮은 주파수에서 대비감도가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원거리 사위도가 크거나 명소시와 암소시에서 동공 변화도가 큰 경우 완전 교정하더라도 시력의 질이 떨 어질 수 있고, 야간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임상에서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1.0이 나와도 시력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대비감도 검사를 고려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is a key horticultural vegetable in East Asia, particularly in South Korea. It is an important ingredient i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like kimchi. With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al diversification, such as crop rotation, becoming increasingly relevant globally, examining the productivity of different Chinese cabbage varieties in new regions is crucial.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cultivating Chinese cabbage in Bolivia, where the highland regions present unique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tempera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grow five different Korean varieties of Chinese cabbage for three months in Sipe Sipe, Cochab amb a, w here t he KOPIA B olivia c enter is located, t o assess t heir a daptability to t he l ocal environment. A s a result, we i dentified two Korean v arieties a s the most s uitab le f or c ultivation i n Bolivia. We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further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ies for cultivating different Chinese cabbage varieties in Bolivia.
While potatoes are a representative crop in Bolivia, their cultivation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chemical pesticides. Some seed treatment chemicals used for seed potatoes in Bolivia can be highly toxic. Additionally, farmers face financial constraints that make it difficult to use these pesticide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applying plant ash to seed potatoes as an eco-friendly alternative for seed potato disinfection. We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seed tuber cutting in combination with the ash treatment. The potato variety used was “Jatun Puka,” a new variety developed in Peru that has been studied at the Bolivia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and Forestry Innovation (INIAF).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RCBD) with four repetitions in Sipe Sipe and Sapanani o f Cochab amb a, and Mairana of S anta Cruz. The r esults s howed that the e ffects of the ash treatment and tuber cutting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local environment of each region in Bolivia. The ash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s only in the Sapanani region, where the soil pH was low enough to fall within the optimal range for potatoes after the ash treatment. Generally, cutting seed potatoes had a negative effect on yield across all three regions, with the negative impact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humidity or precipitation of each area. However, considering the cost of seed potatoes per unit area, cutting them remains an adoptable optio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We hope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on eco-friendly potato cultivation in Bolivia.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진딧물 Phyllaphoides bambusicola Takahashi, 1921을 보고한다. 2023–2024년 야외조사 중 한국 서 부 지역의 왕대 일종(Phyllostachys bambusoides)에서 P. bambusicola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유시 성충의 상세한 형태 기재와 계측값을 제시하였으 며, 생체 및 슬라이드 표본 사진을 포함하였다. 관찰된 피해 정도로 보아 이 종은 대나무류의 주요 해충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감꼭지나방과는 뒷종아리마디에 위치한 긴 강모 다발을 특징으로 하며, 전 세계적으로 44속 408종 이상이 보고되었다. 이 중 가장 다양한 종 수를 포함하는 속은 Stathmopoda Herrich-Schäffer, 1853로, 유충 시기에 다양한 먹이원을 가진 240종 이상의 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성충 의 크기가 작고 종들끼리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분류학적 연구가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기록 2종, Stathmopoda atridorsalis Terada와 S. dorsioculella Terada를 한반도에서 최초로 보고한다. 각 종에 대한 진단, 기재,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보 고되는 종들을 포함한 한반도산 Stathmopoda 속 종의 앞날개에 기반한 검색표를 함께 제공한다.
본 연구는 학교운동장 굴취 토양(WSSPG)을 모래와 혼합 후 토양개량효과를 조사하여 잔디재배토양으로서 적합성을 조사 함으로써 천연잔디 운동장 조성 시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대조구(모래 100%), WSSPG 5% 처리구 (WSSPG 5% + 모래 95%), WSSPG 10% 처리구(WSSPG 10% + 모래 90%), WSSPG 15% 처리구(WSSPG 15% + 모래 85%), WSSPG 20% 처리구(WSSPG 20% + 모래 80%), WSSPG 30% 처리구(WSSPG 30% + 모래 70%), WSSPG 40% 처리구 (WSSPG 40% + 모래 60%)로 설정하였다. WSSPG 처리 후 pH, EC, CEC등은 증대되었고,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총공극 및 포화수리전도도는 감소하였다. WSSPG의 처리량과 토양인자간 조사에서 pH, EC, CEC 및 용적밀도는 정의 상관성 을 나타냈고,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총공극 및 포화수리 전도도는 부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할 때, WSSPG는 토양 화학성을 개선하나 물리성 개선은 미미하였고, WSSPG 처리 후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고려할 때, WSSPG의 최대 처리량은 약 5% 정도로 판단되었다.
Korea’s aging rural workforce has led to serious labor shortages in chrysanthemum production, where approximately 90%–95% of growers still rely on conventional soil-based methods. Although sensor-driven automated irrigation is emerging as a labor-saving, resource-efficient technology, its use in soil-grown floricultural crops remains limited. This study assessed the suitability of soil moisture sensors for automated irrigation in the standard-type chrysanthemum “Baekgang”. Plants were cultivated in two soil-based greenhouses in Busan.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air temperature, humidity, vapor pressure deficit,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were recorded. Soil conditions were measured using FDR sensors (VWC and EC) and matric potential sensors, installed at a depth of 5 cm. Flowering quality was evaluated after the first harvest. Despite similar atmospheric conditions, soil water dynamics differed notably between farms. VWC averaged 23% in Farm A and 26% in Farm B, with fluctuations of ~6% and ~7%, respectively. Matric potential varied more widely, with range values of 32.6 kPa in Farm A and 51.2 kPa in Farm B, which reflects greater sensitivity to soil moisture changes. Farm A maintained stable moisture and lower EC, whereas Farm B experienced over-irrigation due to a high EC level of 8.25 mS·cm-1. These differences significantly reduced flower quality in Farm B, producing smaller capitulum (flower head) and thinner peduncles compared with flowers from Farm A.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atric potential sensors provide higher-resolution soil moisture data compared with VWC sensors. Therefore, combining matric potential and EC sensors is recommended for precise irrigation management in soil-based chrysanthemum production.
While interleukin (IL)-1β is a well-established driver of periodontitis, the specific mechanisms by which the emerging pathogen Filifactor alocis induces this cytokine are largely unknown.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how F. alocis stimulates IL-1β in THP-1 macrophages, analyzing the response at the mRNA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cellular protein (Western blot), and secreted protei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levels. Our results show a clear, dose-dependent increase in all measures, confirming its potent effect. To explore the underlying mechanisms, we first tested the contribution of the NLRP3 inflammasome using the specific inhibitor MCC950. This inhibitor almost completely blocked (~90%) a control response but only partially inhibited (~50%) the F. alocis -stimulated secretion. A similar result was observed with the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which almost completely suppressed the control but only partially inhibited (~50%) the response to F. alocis . Moreover, we found a dominant role for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pathways. Specific inhibitors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nd c-Jun N-terminal kinase (JNK) significantly attenuated both IL-1β mRNA expression and protein secretion, whereas the p38 inhibitor had no effect. These findings collectively demonstrate that F. alocis robustly induces IL-1β via ERK and JNK signaling with only partial dependence on canonical NLRP3 inflammasome and caspase-mediated pathways. This unique pattern suggests the involvement of other complementary pathways, underscoring the complex inflammatory processes involved in F. alocis -induced periodontitis.
The prediction of satisfactory orthodontic treatment outcomes can be very challenging owing to the subjectivity of orthodontists’ judgment, along with the inherent difficulties when considering numerous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a deep learning-based method for predicting orthodontic treatment outcomes based on the image-to-image translation of dental radiographs using the Pix2Pix model. This proposed method addresses the aforementioned issues using a Pix2Pix-based prediction model constructed from adversarial deep learning. Patient datasets and prediction models were separated and developed for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reatments, respectively. The patients’ radiographs were pre-processed and standardized for training, testing, and applying the Pix2Pix models by uniformly adjusting the degree of blackness for the region of interest. A comparison of actual with Pix2Pix-predicted images revealed high accurac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8767 for 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s and 0.8686 for non-extraction treatments. The proposed method establishes a robust clinical and practical framework for digital dentistry, offer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sights for orthodontists and patien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regarding the functions of AI-based digital English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96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rst, a paired sample t-test was first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current implementation.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was then applied to identify priority item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followed visualize them. Finally, a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ost urgent needs. Results showed that among five categories—Diagnostic and Evaluation Functions, Support for Personalized Instructional Design, Adaptive Learning Support, AI Tutor and Assistant Teacher, and Dashboard and User Interface—the highest need was in Diagnostic and Evaluation Functions. Personalized Instructional Design and Adaptive Learning Support also showed high dema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I-based digital textbooks remain in a developmental phase, requiring further discussion on how to implement them effectively according to subject-specific needs.
본 연구는 장애인의 취미활동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8차 조사를 원자료로 활용하여, 등록 장애인 295명을 대상으로 매개효과 분석과 소벨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취미활동은 자기효능 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도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취미활동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 였다. 본 연구결과는 취미활동이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 서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에서 취미활동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실패의 부담감이 적은 취미활동 프로그 램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