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62

        1.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monella는 전 세계적으로 위장관 질환을 일으키는 주 요 식중독 원인균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닭고기에서 분리된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ovar Enteritidis (S. Enteritidis) IJCS4-13 균주에 대해 WGS를 이용한 유전체 분석을 진행하였다. 해당 균주의 유전체는 4,678,812 bp 크기의 원형 염색체 (G+C 함량 52.17%)와 59,372 bp 크기의 플라스미드 (G+C 함량 51.96%)로 구성되어 있었다. 유전체 분석 결과, 총 147개 의 병원성 관련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이들 유전자는 부 착, 침입, 대식세포 내 생존, 스트레스 적응 등 다양한 병 원성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균 주는 다수의 병원성 인자를 보유하고 있어 높은 독력 잠 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보고한 유 전체 정보는 S. Enteritidis의 병원성 메커니즘 규명 및 식 품 매개 감염병 관리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3,000원
        2.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어는 동아시아 요리의 고급 원료로 상업적 가치가 높 은 수산자원이나, 야생 복어의 테트로도톡신은 치명적인 식중독 사건을 꾸준히 유발하고 있다. 자주복은 한국, 일 본, 중국에서 인기 있는 복어 종으로, 테트로도톡신이 없 는 복어 생산을 위해 양식되는 주된 어종이다. 따라서 양 식 자주복과 자연산 자주복의 구별은 식품 안전과 규제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시장에서 판매되는 100개의 자주복 제품을 대상 으로 ‘양식 및 자연산’ 여부를 PCR 기반 방법을 이용하 여 확인하였으며, PCR 결과를 제품의 표시사항 정보와 비 교하였다. PCR 분석에는 자연산 자주복과 양식 자주복의 유전적 다양성 차이를 보이는 6개의 마커를 이용하였다. PCR 분석 결과 모든 양식 자주복 제품에서는 6개 마커에 서 모두 완전한 증폭 패턴을 보였으나, 자연산 자주복 제 품에서는 0 - 5개 마커에서 만 무작위 증폭 패턴을 나타냈 다. 따라서 6개 유전 마커의 증폭 패턴을 이용한 분석법 은 향후 자주복 제품의 허위표시 모니터링 및 테트로도톡 신 유무의 신속 검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본 연구 결과는 현행 복어 종 판별을 보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4,800원
        3.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avonoids extracted from the roots of Petasites japonicus were evaluated for their cytoprotectiv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The MTT assay confirmed that cell viability remained above 95% across concentrations up to 12 μg/mL, indicating no cytotoxicity. The extract demonstrated stro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reaching 86.7% at 12 μg/mL, which is comparable to vitamin C. ROS scavenging activity also increased with dosage, showing significant suppression at concentrations of 6 μg/mL and above, thus effectively mitigating oxidative stress. Collagen synthesis assays revealed an initial decrease at low concentrations, followed by a clear recovery and significant enhancement at higher doses (10–12 μg/mL). Additionally, the extract inhibited collagenase activity, with notable suppression occurring at concentrations above 10 μg/mL, suggesting protective effects against collagen degradation. Elastase activity was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chieving over 60% inhibition at 10–12 μg/mL. These results imply that flavonoids have dual functions: they stimulate collagen production while suppressing the enzymes that degrade collagen and elastin. The stro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these flavonoids likely contributes to their protective effects on dermal structure and function. Collectivel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flavonoids as promising natural ingredients for anti-aging cosmetics and skin health application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