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nca alkaloids from plant Vinca minor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ir effects of tyrosinase inhibition, stimulation of ROS generation and increasement of cell migration activity. The methanolic crude extract and the water-soluble fraction exhibited IC50 value of 3.1 mg/mL and 2.1 mg/mL. Vinca minor extract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ROS levels in HaCaT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reatments of Vinca minor extract led to increase wound closure when compared with non-treatment. Low dose (0.1% or 0.3%) of extracts have not significantly affected,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s. By contrast, 0.5% extract have dramatic effect on wound healing activity of keratinocytes. Effects of Vinca minor extract in a filter-based cell mobility assay appear similar to that of wound closure assay, which suggests that the Vinca minor extract have wound healing effects on skin.
        4,000원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adhesion effect of various kinds and contents of polymeric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s (pMDIs) on adhesion performance, wood adhesives (A-1~5)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As results, when the amount of pMDI increased in adhesives, the dry tensile strength was found to be proportionally increased sustaining at around 16.0~21.6 kgf/cm2. The polyurethane (PU) resin, which used M11S as a source of pMDI showed the best wet tensile strength at 11.9 kgf/cm2 and cyclic boil tensile strength at 8.1 kgf/cm2, which satisfied the requirement of over 7 kgf/cm2. Thermal properties of the rice powder (RP) based polyurethane resins were characteriz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 Thermal stability of polyurethane resins increased to 250℃ with adding pMDIs. The more pMDI (M5S) was added to adhesive, the higher thermal stability of the resin was observed by TGA.
        4,000원
        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빈카마이너 L.의 알칼로이드는 HPLC의 PDA 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표준시료인 빈카민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플라보노이드류를 포함하여 추출물에서 9개 이상의 화합물에 대한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을 얻었다. 추출방법에 따라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얻고 이를 DPPH 라디칼 소거법에 의해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 물과 열수 추출물 모두 비교군인 케르세틴과 비타민 C 대비 약 14~15%의 항산화 효과를 보여 추출법에 상관없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4,000원
        4.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외선과 유사하게 열에 의한 콜라겐 분해와 비정상적인 탄력섬유의 축적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열노화라 칭한다. 두날리엘라 살리나는 녹조류로 베타카로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열에 의해 유도된 피부노화에서의 효능은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두날리엘라 살리나 에탄올 추출물의 항-열노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열을 가한 피부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MMP-1과 type I procollagen 발현을 ELISA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열에 의해 증가된 MMP-1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 키며, type I procollagen 단백질 발현량은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콜라겐 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HSP47 mRNA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 한,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염증매개인자(TGF-β, IL-12 등)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다음으 로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탄력섬유의 구성성분인 tropoelastin과 fibrillin-1 단백질 발현과 MMP-12 발현 조절을 통해 열에 의해 유도된 일광탄력섬유증을 조절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열에 의해 유도된 피부열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