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콩 콤바인 수확 시 수확장애와 종실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잎과 줄기의 노화 지연에 관한 연구로 2015~2016년도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경남 밀양시 소재)의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대원콩과 풍산나물콩을 사용하였으며, 6월 9일에 고휴 2열로 휴폭 110 cm, 주간거리 40 cm, 1주 2본 재배하였고, 콩 꼬투리를 0~50%범위에 수준별로 제거하여 성숙기 생육특성과 잎과 줄기의 건물중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원콩과 풍산나물콩 모두 종실비대시 콩 꼬투리 제거가 생육특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제거 비율이 높아질수록 성숙기가 지연되었다. 2. 콩 꼬투리 제거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종실 무게도 증가하였는데 꼬투리의 제거비율이 대원콩은 20%, 풍산나물콩은 30% 이상일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다. 3. 꼬투리 제거비율이 높아질수록 잎과 줄기의 건물중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종자에 축적되어야 할 잉여 동화 산물이 잎과 줄기에 축적된 결과로 보여진다. 4. Sink/source 감소폭은 대원콩 20% 제거 시 0.18, 풍산나물콩 30% 제거 시 0.42로 이전 처리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잎과 줄기의 성숙이 불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2.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tato tuber moth (PTM,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is a serious pest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plants in the field in regions with warm temperate to tropical climates, and of tubers stored under ambient temperatures post-harvest. Although PTM can be a minor to serious pest depending on the area and year, this pest is getting more and more serious to potato fields in Korea according to accidental surveys. Son (1979) represented 12.5℃ of average annual temperature as northern limit of distribution where corresponding to Youngdeog, Dalseong, Boseong and Jindo regions. Soon after, Choi and Park (1980) reported that the northern limit of PTM distribution coincided with -8℃ isotherm for average annual minimum temperature of January. In recent years, concerns on PTM occurrence and damage to potato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resulted in global warming. We carried out an extensive survey of PTM distribution using sex pheromone traps at 24 sites across the nation in 2009.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northern limit of PTM distribution climbed to southern Gyeonggi and middle Gangwon regions from Gyeongbuk and Chungbuk regions indicated by Choi and Park (1980). Hereafter, we are trying to investigate why drastic going northward of PTM happened in Korea. Here is one presumption that a sudden rise in average temperature has occurred during 30 years, from 6.34℃ in 1973 to 7.62℃ in 2007, especially around Daegwallyeong area where is a typical highland with 800 m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