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상병균(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하는 과수 화상병은 주로 사과, 배 등의 장미과 식물에서 발병한다. 과수 화상병은 국내에서 금지 병원균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5년 경기도 안성의 배과수원에서 최초 발견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근본적인 방제약제가 없는 상황으로 발생지는 매몰이 최선의 방법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년을 기준으로 충북지역의 과수 화상병 발생 원인 분석을 통하여 발생 경로 차단을 위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다. 1. 충주시 등 3개 시군의 전체 221농가 141ha에서 과수 화상병이 발생하였으며, 세부적인 연도별 발생현황은 2015년(2농가 1ha), 2018년(74농가 51.5ha), 2019년(145농가 88.9ha) 로 나타났다. 2. 과수 화상병의 발생시기는 주로 5월부터 8월 사이로 나타났으며, 특히 6월(73.8%)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7월 (17.2%), 5월(7.6%), 8월(1.4%)순으로 나타났다. 3. 과수 화상병 발생 의심 신고 후 확진 매몰까지 소요기간은 11.9일이었고, 발생에서 매몰까지의 기간은 최단 5일에서 최장 19일로 조사되었다. 4. 병원균의 최초 발생지로부터의 확산 거리는 평균 21 km로 나타났으며 가장 먼거리는 음성군 비산면으로 34 km였다.
        4,000원
        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the setting of control timing, the number of overwintering eggs on host plants and population density of Metcalfa pruinosa nymphs and adults was surveyed in a sesame fields. According to a survey of the overwintering eggs density of M. pruinosa on host plants, they were many in the order of Mugunghwa trees, Oak trees, and Acacia trees. Examined sesame branches within the 50cm was not found population densities of M. pruinosa nymphs and adults, and it was also very low in the sticky trap. The peak density of the adult was highest at 0.13 per trap on 11 after being first investigated on July 3 in a string wrap survey, and then decreased. In a sesame fields, it is judged that the control of the M. pruinosa is due to be 35 days after the end of the insect hatching, and that distribution of host plants is more important in the outside region than inside region.
        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concerns about the pursuit of well-being culture and interest in safe food has increased and demand for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re increa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 of diseases and pests and to select effective organic materials for control of diseases and pests in organic watermelon. The watermelon was damaged by diseases and pests such as Didymella bryoniae, Podosphaera xanthii, Aphis gossypii, Tetranychus urticae, thrips, Spodoptera exigua, and Spodoptera litura. Among them, powdery mildew and cotton aphid are major disease and pest in organic watermelon. The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and cotton aphid initiated in the middle of May in Chungju and Eumseong. The control efficacy for eleven organic materials against powdery mildew was evaluated. As the results, the symptoms of plant disease were effectively reduced by more than 85% in the treatments of materials such as sodium bicarbonate 80% and sulfur 80%. The treatment of TFM-6 (insect repellent 2%+paraffin oil 68%) and TFM-7(cinnamomum ext. 10%+derris ext. 20% + citranella oil 30%) showed by more than 80% in control efficiency against cotton aphid. T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ject of RDA.(Project No.: PJ0125302018)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the setting of control timing, the number of overwintering eggs on host plants and population density of Metcalfa pruinosa nymphs and adults was surveyed in the three peach orchards. According to a survey of the overwintering eggs density (∅2~3㎝, 20㎝ branches) of M. pruinosa on host plants, 221.8 in Mugunghwa trees, 189.3 Oak trees, and 152.7 Acacia trees, and 57.0 Peach showed the number of eggs laid. Examined peach branches within the 50cm (∅1~5cm) was not found population densities of M. pruinosa nymphs and adults, and it was also very low in the sticky trap. The peak density of the adult was highest at 5.4 per trap on August 7 after being first investigated on July 16 in a string wrap survey, and then decreased. In the peach orchard, it is judged that the control of the M. pruinosa is due to be 20 days after the end of the insect hatching, and that distribution of host plants is more important in the outside region than inside region.
        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1인 가족 증가 및 핵가족화로 인해 미니수박에 대한 소비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미니수박에 대한 표준재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재배유형에 따른 재식거리가 미니수박의 생육, 수량성, 과실특성과 라이코펜 및 당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식 30일 및 90 일후 생육은 재배유형별로 재식거리가 클수록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수확기의 후기생육은 포복형 재배보다는 아치형이나 ∩자형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주당 착과수는 재 배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단위면적당 수량은 밀식재배가 가능한 ∩자형이 아치형과 포복형에 비해 50% 이상 높았으며, 당도가 다소 증가하였다. ‘Minimi’의 과실당 종자수는 대과종인 ‘삼복꿀’과 비슷하였으나, 종자 100립중은 ‘삼복꿀’의 1/3크기로 작았다. 라이코펜 함량은 ‘삼복꿀’보다 ‘Minimi’에서 30% 이상 높았고, 당성 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미니수박의 재배방식은 ∩자형 지주재배가 포복재배나 아치형에 비해 단위면적당 수량과 품질이 높았으며, 재식거리는 120×40cm에서 수광량, 생육, 수량 및 품질 등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4,000원
        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control strategies effectively using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and natural enemy when cultivating autumn-type leaf perilla and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densities of seasonal major pests such as Tetranychus urticae (two-spotted spider mite, TSSM), Broad mite (Polyphagotarsonemus latus), Aphis egomae, and Pyrausta panopealis. TSSM showed the occurrence in the seedling stage from August to the end of September and controlled using EFAM in the nursery. Broad mites had a low occurrence in October, December, and the following year showed the density of two or more leaves per leaf from February. Aphis egomae was locally prevented around the area of occurrence, and it showed more than five per leaf in October. Pyrausta panopealis seemed to occur from August to September. Aphis egomae is control using high-toxic EFAM before the overwintering and prevents it from using banker plants planted barley in the winter. Pyrausta panopealis is protected by biological pesticides in August registered in the leaf perilla.
        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ighty kinds of pesticides registered in the peach and leaf perilla were assessed the efficacy against the 4th nymph stage of citrus flatid planthopper. Plant of Sharon, host plant preferred by citrus flatid planthopper, was cut from 5 to 7 cm and dipped 10 seconds into recommended concentrations of pesticides, respectively, and then dried naturally for the 30 minutes. New shoot of Plant of sharon treated pesticides and 10 to 15 final nymphs of citrus flatid planthopper put together in the 50㎖ tube and the number of live nymphs was investigated after 48 hours. Pesticides showing mortality over 90% were seven, namely, bifenthrin EW, Rhamda-cyhalothrin EC, Clothianidin SC, Benfuracarb SG, Chloropyrifos WP, Bifenthrin+methoxypenozide SC, Chloropyrifos+imidacloprid WP. When the forest surrounding the peach and leaf perilla was occurred and damaged by citrus flatid planthopper, the use of these pesticides is judged to be effective in the control of this pest.
        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재배지에서 수용성 규산칼륨 처리가 수박의 생육, 수량, 양분흡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용성 규산칼륨을 무처리, 1.63mM, 3.25mM, 6.50mM의 4수준을 두어 토양관주 처리하였으며, 처리시기는 착과전 2회와 착과후 4회로 총 6회를 7일 간격으로 처리하였다. 시험후 토양화학성은 수용성 규산처리에 따라 pH, EC 유효인산, 치환성 K, Ca, Mg, NO3-N은 증가하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수확 기 수박 생육 특성 중 경경, 생중 및 건물중은 수용성 규산칼륨 처리에서 두껍고 무거웠으며, 만장과 절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박 수확기 잎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 함량은 수용성 규산칼륨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N은 감소하고 P와 K는 증가하였으나 Ca 과 Mg는 차이가 없었다. 생육단계별 엽록소함량은 착과 전에는 수용성 규산칼륨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착과후 및 수확기로 갈수록 수용성 규산칼륨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엽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흰가루병 발생정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용성 규산칼륨 수준이 높을수록 발생정도가 낮았다. 수박의 과중은 수용성 규산 칼륨 처리에 의해 0.1~0.5kg/개 무거워졌으며, 당도는 0.5~0.6 oBrix 정도 높아졌고, 상품수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2~4% 증수되었다. 이상의 결과 시설수박 재배지에 수용성 규산칼륨 처리는 양분흡수 증가, 수박 상품수량 증가 및 흰가루병 발생 억제로 시설 수박재배에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안정생산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