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0

        2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밤과 호두는 중요한 임산 자원으로써 최근 복숭아명나방의 피해가 증가하여 재배자들이 경제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부여군에 위치한 밤과 호두가 서로 인접한 재배지역의 밤나무와 호두나무 116그루를 무작위로 선정하고 각 나무별로 2개의 가지를 선정하여 복숭아명 나방의 피해율을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4회 조사하였다. 그 결과 6월, 7월, 8월의 복숭아명나방 피해과는 통계적으로(p<0.05) 호두재배지역에 집중 분포를 보였으며, 9월의 경우는 임의 분포하였다. 6월부터 8월까지는 호두 재배지역에서만 복숭아명나방의 피해가 나타나 조사지역에서 복숭아명나방 피해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25). 그러나 9월은 밤 재배지역에서 복숭아명나방 피해가 발생하고 호두 지역에서는 새로운 피해가 나타나지 않아 통계적으로 8월 이전과는 공간적 상호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0.025<p<0.975). 이러한 결과로 월동세대는 호두에서 산란하여 피해를 야기하고 이후에 발생하는 세대는 밤에서 피해를 야기할 것으로 추정된다.
        2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은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붉은매미나방과 주요 해충으로 경제적으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밤 재배단지에서 2년 동안 갈색날개매미충의 공간적 이동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부여에 위치한 한 밤 재배단지에서 대략 30m 간격으로 임의로 밤나무를 선정, 표지한 후 GPS를 이용 좌표를 구하고 나무당 50cm 가지 2개에 존재하는 갈색날개매미충 알, 약충, 성충의 밀도를 육안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SADIE를 이용해 공간적 상호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알, 약충, 성충 2년 동안 지속적으로 양의 공간적 상호관계를 보였고, 약충 시기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25). 이는 넓은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이 발육단계에 상관없이 특정 지역에서만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정 지역에 집중적인 방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된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 전략이 제안되었다.
        2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 다양한 작물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는 미국선녀벌레는 나무 표피에서 알 상태로 월동하고, 부화한 약충은 이동하여 주로 초본 식물을 가해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국선녀벌레 약충의 부화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4지역(서울, 연천, 수원, 예산)에서 월동난이 있는 가지에서 부화하는 약충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부화 모델을 개발하였고, 각 조사 지역에 투명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떨어지는 약충의 수를 조사하여 그 경향을 분석하였다. 미국선녀벌레의 월동난 부화 모델은 약충의 부화시기를 잘 설명하였고(r2=0.98), 5월말에서 6월 초에 50%정도의 부화가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화한 약충의 지표면으로의 이동은 부화 직후 1령 시기에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들은 미국선녀벌레의 부화시기와 기주를 찾아 이동하는 시기를 바탕으로 한 방제 전략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s a pest that sucks a plant's phloem, excretes nectar and infects tomatoes with TYLCV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causing severe economic damage. In order to explore the cause for occurrence of areas where the genetic structure of B. tabaci MED (Mediterranean) was rever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B. tabaci MED populations from tomato greenhouses in some areas where their genetic structure was reversed between two years 2016 and 2017. As a result, the genetic structure of B. tabaci MED populations was found to be close between populations of the nursery and the greenhouses where tomato seedlings were supplied from that nursery, even if greenhouses were located far away each oth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causes for occurrence of abrupt reverse of genetic structures of B. tabaci MED populations observed in some areas throughout the country.
        2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rtificial light is frequently used for plant growth and pest attraction traps in greenhouses. In addition, natural enemies may utilize this artificial light for colonization in greenhouses. Orius laevigatus is a biological control agent of whiteflies and thrips. The Y-tube selection test was conducted against O. laevigatus for 11 wavelengths (365, 385, 395, 405, 410-420, 420-430, 440-450, 490-500, 520-530, 590-595 and 620-630 nm) of LED and white light (5000k) for a control . One pipe of the Y-tube was allocated for insect entrance and other two pipes of the Y-tube were installed transparent sticky trap along with white LED and test wavelength, respectively. At least, three replications were conducted for each wavelength and 40 to 60 individuals of O. laevigatus were used for each replication. Attraction rate of 365 to 405 nm wavelength was above 50 % and highest at 385 nm (83.7 %). Attraction rate of 490 to 630 nm was below 20 % and lowest at 620-630 nm (1.4 %). The results indicate that O. laevigatus attracted most to 385 nm wavelength and this light may be useful for using O. laevigatus in green hous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using selected LED wavelength.
        2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은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붉은매미나방과 함께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고 있는 해충으로 2017년 부여 남면 일대에서는 이들 해충에 의해 밤의 상업적 수확을 전혀 할 수 없었던 농가들도 발생하였다. 이에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 전략 중 하나의 정밀방제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부여에 위치한 한 밤 재배단지에서 대략 30m 간격으로 무작위로 밤나무를 선정, 표지한 후 GPS를 이용 좌표를 구하고 나무당 50cm 가지 2개에 존재하는 갈색날개매미충 알, 약충, 성충의 밀도를 육안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SADIE를 이용해 공간적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 알, 약충, 성충 모두 90% 유의수준에서 공간적 상호관계를 보였다. 이는 넓은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이 발육단계에 상관없이 특정 지역에서만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정밀방제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된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 전략이 논의되었다.
        2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 2009년에 처음으로 보고된 미국선녀벌레는 지난 9년 동안 전국 단위로 확산되어 왔다. 많은 연구자들은 미국선녀벌레가 도로변 주변의 수목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인위적인 요소들에 의해서 퍼져나갔을 것으로 추정하여 왔지만, 실증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요소에 의한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미국선녀벌레가 처음 발견된 지점을 기준으로 매년 새로 발견된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계산한 거리는 연도를 기준으로 회귀방정식을 통해 그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이용되었다. 또한 MaxEnt 프로그램으로 2013년의 발생 분포 지점과 인위적인 분산요소 중 하나인 교통량, 개체군의 정착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기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포 모델에서의 각 변수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미국선녀벌레의 확산은 개체군 성장에 따른 단순 확산이 아닐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교통량의 미국선녀벌레의 분포확산에 대한 기여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미국선녀벌레와 향후 침입할 가능성이 있는 외래종들을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밤은 임산물 중 가장 중요한 품목 중 하나이며, 최근 복숭아명나방에 대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상태이다. 2017년 11월 21일, 부여군에 위치한 밤 주산단지 내 밤나무 50그루를 무작위로 선정하고 각 나무별로 땅으로 낙과한 밤송이 5개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복숭아명나방의 피해과와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복숭아명 나방과 그에 의한 피해과 수는 통계적으로 집중분포를 보였으며, 밤알 수는 임의 분포하였다. 복숭아명나방은 밤알 수와 9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역 상관관계를 보여 상대적으로 큰 밤알이 선호됨을 알 수 있었고 피해과 수와는 정 상관관계를 보여 피해과가 많으면 개체수도 많이 존재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복숭아명나방의 방제전략을 구축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다.
        2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mblyseius eharai is a native predatory mite in Korea and a candidate of biological control agent to control spidermites. To evaluate the predation ability of A. eharai, its functional response was tested at 10, 30, 50, 70 and 130 larvaeof Tetranychus urticae. A. eharai showed the Type 2 functional response. The attack rate of female and male A. eharaiwas 0.109 and 0.019, respectively. The handling time of female and male was 0.164 h and 0.234 h, respectively. Theattack rat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s at 95% confidence interval. However, handling time was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comparison with Neoseiulus californicus, attack rate and handling time of A. eharai werebetter than N. californicus. These result should be helpful for evaluation of A. eharai for a biological agent against T.urticae.
        3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his gossypii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polyphagous aphid species and found throughout the world. This pestinduce plant deformation and transmit viruses by feeding the host plant. In Korea, A. gossypii has been occurred in manycrops, however,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is pest has not been revealed. In this study, we used eight microsatellitemarkers to analysis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A. gossypii in Korea. We collected A. gossypii specimens frompepper greenhouse in 2016 (18 sites) and 2017(15 sites). As a result, two genetic cluster (△K=2) showed in structureanalysis. As we compared the cluster result between 2016 and 2017, several populations appeared opposite clustering groupeven the samples were collected in same site and crop. Therefore, more samples are required from different greenhouse(same host) to identify the accurate genetic cluster of province in Korea. From this study, the genetic variation revealedfrom A. gossypii and this information may develop sustainable management of A. gossypii.
        3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ffects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ovipistion of Amblyseius eharai, were examined at 11 constant temperatures (18.0, 20.1, 21.6, 24.0, 24.1, 27.4, 28.6, 30.2, 32.0, 33.2 and 35.9 °C), and six constant temperatures (18.0, 21.6, 24.1, 27.4, 30.2 and 33.2 °C) by using Tetranychus urticae as prey. Developmental rates were fitted with a nonlinear Briere 1 model, which estimated optimal temperatures for the development as 30.6 °C for total immature stage. In a linear model, the lower thresholds and thermal requirements (DD) were 13.2 °C (71.94 DD) for total immature stage. Fecundity was well described with the Extreme value function, which indicated optimal temperatures for the oviposition as 24.3 °C. Overall, findings herein provide comprehensive data and explanations on th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and oviposition of A. eharai, and prove the probability of A. eharai as a good biological agent for T. urticae in early or late crop seasons, and/or at low temperature cultivation farm lands.
        32.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의 온도발육모형은 해충의 발생예찰모형을 비롯한 개체군모형에서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본고에서는 곤충의 온도의존적 비선형 발육 모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모형의 종류를 크게 경험모형과 생물리적 모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수식의 유사성 내지 기원에 대한 유연관계에 따라 세분하였다. 발육률 곡선의 형태적 묘사에 적합한 수식을 적용하는 경험모형은 Stinner-계열, Logan-계열, 수행모형, 그리고 베타 분포모형으로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촉매반응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생물리적 모형은 Eyring-모형, SM-모형, SS-모형, SSI-모형으로 이어지는 단계통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각 모형의 개발과정과 형태적합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5,200원
        3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mblyseius eharai is a good candidate for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major agricultural pest mites such as twospotted spider mites, rust mites, etc. in orchard systems. A. eharai is a native predatory mite of East Asia, and is one of the abundant predatory mites in orchards in Korea. However, ecological studies on this species including its reproductive ability have not been studied yet. Thus, in this study,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al rate of adult A. eharai, and three major oviposition related models were studied using six constant temperatures (18.0, 21.6, 24.1, 27.4, 30.2 and 33.2 ℃) with Tetranychus urticae as prey.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al rate, survival rate and oviposition rate of A. eharai adults were well described with a non-linear equation (r2=0.99), a reverse sigmoid function (r2=0.94), and a Weibull function (r2=0.98), respectively. The fecundity was fitted with an Extreme value function (r2=0.99) and the highest in 24.3 ℃.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to verify the abilities of A. eharai as a bio-control agent in the fruit trees.
        3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ies was conducted to compare functional diversity of terrestrial arthropods in commercial apple orchards under conventional and organic practices. We collected terrestiral arthropods using pitfall traps in four conventional and seven organic apple orchards from April to October, 2012-2014. Sampled arthropods were identified at the species level and then classified three functional groups (detritivores, herbivores and beneficial arthropods included pollinators, parasitoids and predators). Biodiversity was analyzed with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shannon index for each group and compared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orchards. In results, species richness of detritivores and benefical arthropods were higher in organic orchards than in conventional orchards (detritivores: t=-2.68, df=9, P=0.03; beneficial arthropods: t=-3.98, df=9, P=0.003). Organic orchar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abundance of beneficial arthropods (t=-3.33, df=9, P=0.008) and higher shannon index at detritivores (t=-2.36, df=9, P=0.04) than conventional orchards. However, all biodiversity indices of herbiv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orchards at 95% confidence level.
        35.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서식처 파편화에 의한 생물다양성 감소를 막고 서식처간 연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건설되는 생태통로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생태통로 내부의 식재 및 식생 유지·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내부 식생 구조 차이에 따른 생물 이동 영향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성 딱정벌레류를 이용하여 동일한 농업-산림 경관에서 육교형 생태통로 상부 식생이 나지 및 초본으로 이루어진 생태통로(나지/초본형)와 관목림이 우거진 생태통로(관목형)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 하순부터 9월 초순까지 생태통로 및 인접한 산림을 따라 함정트랩을 설치하여 33종 4,207개체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를 채집하였다. 지표성 딱정벌레류의 우점종과 지점별 개체수 및 종수는 생태통로 내부의 식생이 복잡한 관목형이 나지/초본형에 비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종 구성은 나지/초본형 생태통로의 종 구성은 인근 산림 지역 및 관목형 생태통로에 비해 다른 특징을 보였다. 이와 유사하게 생태통로 내부의 식생 관리 여부는 토양습도와 교목층 울폐도에 영향을 주었고, pH, 초본층 피도 및 교목층 울폐도는 함정트랩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생태통로 내부의 식생이 복잡해지 면 산림에 서식하는 지표성 딱정벌레류의 산림 패치간 이동 역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생태통로의 생태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통로 가장자리에는 관목 또는 교목을 식재하여 은신처 및 이동통로로 제공하고, 중앙부에 는 대형 포유동물이 이동하기 용이한 나지 형태의 통로를 제공하는 형태로 개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4,600원
        3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oltinism could be used as an index assessing the global warming effects on insect phenology. In many cases, however, the voltinism could not be defined explicitly as a numerical scale especially when it should be calculated over the various climatic conditions. In addition, calculation of insect voltinism is much difficult when only a small portion of its population emerge as adults in the late season. In this study, a degreeday model, a simplified phenology model and a population model for the peach fruit moth, Carposina sasakii, were used to predict their voltinism. To evaluate the model performance, we assumed a continuously host providing system.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in Suwon in 2015, and 2℃ increase in the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were used to describe current and future climate conditions, respectively. The merits and limits for three models for evaluating insect voltinism are discussed.
        3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large number of transgenic crop varieties expressing the Bt (Bacillus thuringiensis) insecticidal proteins have been commercialized in 13 countries since 1996. Although the use of these insect-resistant Bt crops can increase crop quality and yields, concerns remain about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such crops on ecosystems. Transgenic soybean containing cry1Ac gene have been developed to control Lepidopteran pests of soybean and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is soybean could affect non-target arthropods, which play a major role in ecological functions in agricultural ecosystems. In the present study, we first measured the levels of Cry1Ac protein in Bt soybean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soybean and then we compared the community structure of arthropods occurred in fields of transgenic and wild-type soybean. The levels of Cry1Ac protein in transgenic soybean leaves ranged from 252.9 to 604.5 μg g-1 DW. Multivariate analyses (PerMANOVA and NMD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non-target arthropod community was affected by sampling date but not by soybean geno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genic soybean expressing Cry1Ac protein may not adversely affect such non-target arthropod communities.
        3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many habitat corridors have been constructed in Korea, but the effect of corridor types, i.e. overpasses and underpasses, on arthropods was poorly examined. Therefore, we compared the effect of habitat corridor types in terms of abundance, species richness, and composition of carabid beetles. As a result, 3,737 ground beetles belonging to 60 species were collected by pitfall trapping across the northwestern forest–habitat corridor–southeastern forest transects in 2015.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of total carabid beetles in underpass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verpasses. And species composition of underpasses corrido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other habitats, such as overpasses and forests. Although more sampl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rridor types, the current underpasses may be unfriendly structures to movement of ground dwelling arthropods as well as carabid beetles.
        3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Fabricius))는 콩과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국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발견된다. 톱다리개미 허리노린재는 성충 수명이 길고 발육기간이 짧아 야외에서 여러 세대가 혼재되어 발생하고 있어 각 세대를 구분하기 어렵다. 특히, 제2세대 성충 의 발생시기는 콩의 착협기와 일치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어, 제1세대 성충의 방제는 제2세대 밀도를 감소시켜 콩과 작물의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 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충기간의 광주기가 성충의 체색변이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이용하여 야외 포장에서 월동세대와 제1 세대의 발생시기를 구분하였다. 또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개체군 모형을 수립하고 적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여름형 성충의 비율이 20% 이 상 되는 시기를 제1세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의 발생시기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제2세대 성충의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방제시기를 결 정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전자변형 작물이 절지동물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은 유전자변형 작물의 주요한 환경위해성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PO (protoporphyrinogen oxidase) 저해 제초제 내성 유전자변형 벼가 절지동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절지동 물의 다양성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절지동물은 야외포장에서 벼의 생육기간 동안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유전자변형 벼는 채 집된 절지동물군집의 다양도 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다변량분석(PerMANOVA, NMDS) 결과에서도 절지동물군집 구조는 채집시기에 따라 달랐지만 벼의 유전형(유전자변형 또는 비변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