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ccurrence of Laodelphax striatellus (SBPH) in Korea ranged 0.3-19.3 individuals in 2021, and 0.3-23.3 individuals in 2022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Nilaparvata lugens (BPH) was not observed in 2021, but N. lugens (BPH) showed the highest number(82.0 inds.) in late September of 2022. The occurrence of Sogatella furcifera (WBPH) was not severe during the study period. Compared to Korea’s situation, N. lugens (BPH) and S. furcifera (WBPH) in Asian regions showed high occurrence in Bangladesh and Sri Lanka. The results of the field survey could be confirmed with the occurrence pattern of about once or twice in their regions. Continuous monitoring is required for the best control of planthopper species in rice production regions of Asia. We anticipate that exchange of occurrence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 control cooperation system will improve rice productivity in Asian regions by preventing outbreak of planthopper species and reducing damages caused by the species.
        4,000원
        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미소 해충의 자동 영상 인지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화질에 따른 해충의 인지율을 조사하였다. 2. 곤충 영상은 스캐너를 이용하여 300, 600, 900, 1,200, 2,400, 4,800 dpi의 6단계 화질로 획득하였고 곤충 연구자에게 화질에 따른 인지율을 설문 조사하였다. 3. 나방류인 담배거세미나방과 배추좀나방의 경우 모든 dpi 에서 높은 인지율을 보였다. 4. 크기가 작은 포인세티아총채벌레와 담배가루이의 경우 모든 dpi에서 50% 미만의 낮은 인지율을 보였다. 5. 크기가 작은 총채벌레와 담배가루이 인지 시스템 개발에는 100 mm 매크로렌즈를 사용하거나 hand-held 형태의 디지털 현미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000원
        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로 인해 농경지의 병해충 발생 세대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린재류 등을 포함한 일부 해충의 경우에는 발생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볼록총채벌레, 붉은불개미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원산 외래해충의유입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외래종의 국내에서의 정확한 발생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해충의 발생지에서 기후노출지수(생육적온에 놓인 날의 횟수, 발생지역의 상대습도)와 해충의 고유생육 특성과 관련되는 민감도 지수(기주식물, 월동란밀도, 월동생존율 등) 그리고 돌발 해충의 발생시 방제할 수 있는 적응능력 등에 관한 자료를 취합하여 시군구별 이들 해충발생의 취약성(vulnerability)을 평가한다. 시군구별 이들 돌발해충의 발생 취약성 평가를 위한 실태조사(Surveillance)는 정점조사(Fixed plot survey)와 순회조사(Roving survey)를 실시하였고, 특정 지역에 특정 해충의 발생여부를 조사하는 일반실태조사(General surveillance)와 발생량 및 발생시기, 기주식물 등을 조사하는 특별실태조사(Specific survey)를 실시하였고 해충종별로 페로몬 트랩(pheromone trap), 황색끈끈이트랩(yellow stiky trap), 유아등 트랩(light trap) 등을 이용하여 발생여부 및 발생량을 조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는 외래 침입해충으로 조사가 시작된 2009년 이후 발생지역과 발생면적이 계속 증가하여 2018년에는 123개 시군구의 21,154ha에서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미국선녀벌레는 농경지와 그 주변 산림지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간 협업을 통해 농림지 동시방제를 5월하순경(부화약충 대상)과 7월 중순경(성충 대상) 2회 실시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미국선녀벌레의 기생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의 안정적인 도입과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생물적 방제원으로서 국내 정착을 위해 이탈리아 파도바대학과 국제협력사업을 2017년부터 수행하고 있다. 선녀벌레집게벌은 완주에서 월동이 가능하였으며 6월 초에 50%이상 우화를 하였다. 2018년도에 온실(완주)과 야외(수원, 태안)에서 증식하여 1,000여 개체 이상을 확보하였으며 도입천적의 안정적인 국내 정착과 확산 및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1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미교란(mating disruption, MD) 기술이 사과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복숭아순 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를 동시에 교미교란(simultaneous MD, SMD)하는 기술이 최근에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이 SMD 기술을 현장에 접목하는 데 필요한 요인들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SMD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각 처리 지점에 10 mg의 성페로몬을 여러 가지 밀도로 사과나무에 처리하였다. 처리된 세 농도 가운데 두 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MD 효과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SMD 효과는 왁스 및 polyethylene 제형 모두에서 나타났다. 두 사과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 농도로 3월 말에 1회 처리한 경우 수확기까지 복숭아순 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대해 효과적 교미교란을 유지시켰다. 인근 무처리 과수원에서 SMD 처리 과수원으로 이주하여 들어오는 교미된 암컷의 이입을 막기 위해 울타리 처리 기술이 적용되었다. 암컷 유인제를 개발하기 위해 6종류의 사과 과실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 가운데 terpinyl acetate (TA)가 선발되었다. 서로 다른 TA 농도 처리에서 0.05%가 성충 유인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TA와 설탕을 혼합한 것을 암컷유살제(female attract-to-kill technique, FAKT)라 명명하였다. 사과 과수원 가장자리를 따라 6 m 간격으로 FAKT를 설치한 울타리 처리는 교 미된 암컷을 포획하였고, 이들은 난황형성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난모세포를 지니고 있었다. FAKT가 가미된 SMD 처리는 높은 MD 효율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SMD 단독 처리에 비해 신초 피해를 현격하게 줄였다.
        4,300원
        1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작물 해충 발생 실태조사란 조사지역에서 특정 해충의 발생시기, 발생량, 주요 기주직물의 종류 등에 관해 작물 생육기를 중심으로 주기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기후변화에 따라 새로이 발생하거나 피해도가 증가하는 병해충의 카테고리는 비래병해충, 돌발병해충, 남방계 병해충 등이 있다. 병해충 발생 ‘영향평가’라 함은 기후ꞏ기상 인자가 안정화된 현재의 농업생산시스템(적지, 생산성, 병해충, 생물다양 성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영향값을 산출하는 것이다. 즉, 현재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값 차이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병해충 발생 ‘취약성’ 이란 기후변동과 극한현상을 포함한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 특정 경작지나 그 경작지 내의 농작물이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대처할 수 없는 정도를 말한다. 이번 연구는 영향평가 지표를 선정 및 이 기준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를 가지고 특정 지역의 특정 해충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하는 방법에 관해 논한다.
        1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좁은가슴잎벌레의 각 태별 발육기간은 25℃에서 알기간 6.8일, 유충기간 1령 2.4일, 2령 2.2일, 3령 5.4일, 번데기기간 4.1일로 알부터 번데기까지의 기간은 20.6일이 소요되었다. 유충 및 번데기 발육기간 중 생존율은 25℃에서 1령 유충은 87.5%이고 2령, 3령유충과 번데기는 83.3%가 생존하였다. 성충의 산란과 수명은 25℃에서 산란전기간 10.6일(6 ∼10일), 산란기간 130.6일(13∼269일), 산란수 566.4개(13∼1,237개), 성충수명 189.0일(25∼365일)이었다. 또 성충의 최대 산란기간이 10, 15, 20℃에서 각각 650, 682, 402일로 매우 길었으며 산란기간 동안 일정한 시기에 산란수가 없거나 급격히 낮아지는 기간이 나타나는 생리적 현상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추가 구명이 필요하다.
        1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ean bug is one of major hemipteran pests against the soybean, Glycine max in Korea. Gene expression regulation technologies such as RNA interference and gene editing have emerged as a next generation pest control strategy in agriculture. To search genes effective to feeding inhibition with exogenous dsRNA, a total of 26,761 transcripts were obtained from salivary glands of the bean bug and several target gene candidates such as GPCR, OBP, and CSP were profiled in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1st instar nymphs of the bean bug after hatching were highly attracted to water and absorbed about 701.5 ± 137.72 ㎍/individual/day, suggesting that it could be a practical way for RNA interference by feeding exogenous dsRNA dissolved in water. These preliminary results are expected to be helpful to investigate novel pest control strategy of R. pedestris in the future.
        1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춘천지역 농가 및 강원도농업기술원 내 시험포장에서 반촉성재배토마토(2~6월)에서 트랩을 이용한 주요 해충의 발생밀도와 천적 등을 이 용한 방제효과를 조사 하였다. 토마토 재배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약제와 유기농자재의 천적곤충에 대한 독성평가도 수행하였다. 반촉성재배 시 발생되는 주요 해충은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와 총채벌레류이었다. 온실가루이의 경우 4월 중순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5 월 중순 이후 발생이 증가하였고, 총채벌레류는 4월 상순 경 발생을 시작하여 6월 이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독성약제 선발시험을 통해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의 천적인 온실가루이좀벌과 미끌애꽃노린재에 대해 60% 이하의 독성을 보이는 살충제 1종(spiromesifen SC), 살균제 1종(cyazofamid SC) 및 님 추출물이 함유된 유기농자재 외 1종을 선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제시한 천적중심 관리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다면 토마토 반촉성 시설재배 시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6.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the physiological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of genetically modified (GM) pepper plant on non-target but three-trophically related insect species, we investigated behavioral responses of Aphis gossypii and Aphidius colemani in Y-tube olfactometer to the cucumber mosaic virus (CMV)-resistant transgenic pepper plant (H15 GM line) expressing coat protein gene of CMV and its wild type pepper plant (untransformed, susceptible to CMV pathotype II, P2377 inbred line) in relation to CMV infection. CMV-infected plants were prepared with the 30 min of inoculation by the winged A. gossypii viruliferous or mechanical inoculation using CMV-Fny, and with molecular diagnosis using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over 2 weeks after inoculation. In this study, time for attraction responses (attraction time) of A. gossypi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pepper strain, and the virus infection of plant. However, the attraction time of A. coleman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M plant and the non-GM plant. In addition, the attraction time of A. colemani to the GM pla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CMV infection. For further study,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by these plants were collected with an entrainment kit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on HP-1 column. The specific VOCs related to CMV infection were detected in the GM plant over 4 weeks after inoculation of CMV in this study. Thus, it is suggested that VOCs of the GM plant in this study may be produced more as a signal attracting A. colemani in relation to CMV infection.
        1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olatile and semi-volatile compounds of 5 accessions of domestic and 25 accessions of foreign aroma rice were extracted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um (GC-MS). A total of 158 volatile and semi-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30 accessions of aroma rice germplasm, including 32 alcohols, 25 acids, 25 ketones, 21 hydrocarbon, 18 esters, 16 aldehydes, 4 ethers, 5 amines, 2 phenols, 2 bases, and 8 miscellaneous compounds. By UPGMA/Neighbor-join tree analysis, the thirty aroma rice germplasm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major odor or aroma compounds. Group Ⅰ included Indica type of 'Basmati' varieties. GroupⅡ included Japonica type foreign aroma rice except WAR 16 (domestic aroma rice). GroupⅢ and GroupⅤ included Indica type of Basmati and non-Basmati varities. GroupⅣ included domestic aroma rice except WAR34 and WAR35(Basmati var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