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2.
        202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적외선 열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2년생 ‘유미’ 복숭아나무의 토양수분 수준에 따른 엽온 및 CWSI를 분석하여 수분스트레스 측정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엽온은 대기온도와 유사한 일변화를 보이며 낮 시간대에는 대기온도보다 높은 양상을 보였다. 엽온은 전일(24시간) 기준으로 대기온도(r2 = 0.95), 일사량(r2 = 0.74), 상대습도(r2 = -0.88)와 모두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났다. 또한 토양수분장력은 낮 시간대(11~16시)에 엽온(r2 = -0.57), 엽-대기온도차(r2 = -0.71), CWSI(r2 = -0.72)와 높은 부의상관을 나타냈다. CWSI와 엽온, 엽-대기온도차의 상관계수는 24시간 기준으로 매우 높았고(r2 = 0.90, r2 = 0.92), CWSI와 토양수분장력의 상관분석에서 24시간 기준으로는 상관관계가 낮았으나(r2 = -0.27), 낮 시간대(11~16시)에는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다(r2 = -0.72). CWSI (y)와 토양수분장력(x)의 상관관계 결정계수(r2)는 11~12시간대에 가장 높았으며(r2 = 0.68), 이때 회귀식은 y = -0.0087x + 0.14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토양수분스트레스 시점인 -50 kPa에 해당되는 CWSI는 0.575로 계산된다. 따라서 적외선 열 영상 장치를 이용한 엽온 및 CWSI는 토양수분장력에 대해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복숭아나무의 수분스트레스 진단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복숭아 주간부 동해 예방을 위한 피복재의 보온성을 평가하기 위해 백색부직포, 황색일반지, 방수패드로 만들어진 피복재의 물리적 특성 및 보온성을 평가하고 실제 겨울철 복숭아 주간부 보온효과를 구명하여 피복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세 피복재 중 2겹방수패드 처리가 보온율과 열저항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2겹방수패드 처리의 주간단열효과는 14.09oC 만큼 온도상승을 차단하였고, 야간보온효과는 7.23oC 만큼 온도하강을 차단하여 보온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방수패드 재질을 보온피복재로 개발·보급할 경우 복숭아 주간부 동해 피해를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 Y자 수형에서 기존 나무를 갱신할 때 고접갱 신을 통해 조기에 수형을 완성하고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접목위치별 활착률은 원가지 내측에 접목하는 것이 80% 로 외측의 73.3%에 비해 다소 양호하였고, 접목활착 후 발아된 신초의 기부직경은 내측이 36.2mm로 외측의 19.6mm에 비해 훨씬 굵게 자랐으며, 신초길이 역시 내측에 접목한 것이 220.3cm로 외측의 166cm에 비해 신초발육이 양호하였다. 고접갱신지는 개식수에 비해 수폭, 기부직경 및 결과지수 등에서 수체생장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폭은 개식묘의 436.3cm에 비해 394.7cm 에 불과하였고, 수고는 고접위치를 감안하면 고접갱신지가 1m 정도 낮았다. 수형구성을 위한 노력시간은 고접 갱신지는 49.9시간/10a이었고, 개식묘는 51.5/10a로 두 처리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고접갱신수의 경우 중간대목 품종의 관리시간 25.7시간/10a를 더하면 노력 시간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형구성을 위한 노력요소 중 적심>유인>도장지 제거 순으로 많았다. 3년 간 누적수량은 처리 당년은 고접갱신수와 개식수 모두 생산량이 없었고 2년차는 고접갱신수의 생산량이 908kg/ 10a로 개식수 395kg/10a보다 훨씬 많았으나, 3년차에는 개식수의 수량이 고접수를 능가하였다. 그러나 고접수의 경우 중간대목 품종의 생산량을 합치면 개식수에서처럼 생산량의 공백 없이 매년 2,000kg 전후의 생산량을 유지할 수 있었다. 고접갱신 후 수량에 대한 손실보전을 위해 중간대목 품종을 3년에 걸쳐 연차적으로 갱신할 경우 과실수확을 위한 노동력, 과실봉지비, 농약비 및 수확, 선별 비용이 상대적으로 증가 되었지만, 수량증가와 더불어 개식에 따른 묘목비, 장비임대, 굴취비 및 지주시설 보수비용 등이 절감되어 매년 약 299만원/10a 정도의 소득적 이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엽 후 10일이 경과하면 잎의 위치별 엽내 엽록소 함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엽 후 10일이 경과 되지 않은 잎의 엽록소 함량은 전엽 경과일수가 적을수록 낮았다. 동일한 잎의 위치에서 전엽 후 경과일수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경시적 변화는 전엽 직후에 2.56μg/ cm2에서 12일째에는 6.35μg/cm2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 약 2개월간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였는데 엽록소 함량이 가장 높은 시기는 전엽 후 11주째로 9.03μg/cm2 이었다. 엽면적은 전엽 직후부터 전엽 후 10일까지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잎의 광합성률은 전엽 후 30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여 전엽 30일 후에 13.8μmol/m−2/sec−1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이후에는 잎의 광합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졌다. 전엽 후 1 주와 4주의 광도에 따른 광합성률은 두 시기 모두 PPFD 600μmol/m−2/sec−1까지는 PPFD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률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 PPFD 1,200μmol/m−2/sec−1 까지는 완만한 증가율을 보이다 그 이상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전엽 후 1주와 전엽 후 4주간에는 전엽 후 4주가 전엽 후 1주에 비해 PPFD 증가에 따른 광합성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CO2 농도별 광합성률은 600ppm까지는 농도가 높을수록 광합성성률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차광시간별 엽내 sucrose 함량은 1시간 까지는 차광처리구와 무처리 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시간부터는 차광처리에서 sucrose 함량이 감소하였다.
        4,000원
        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GA 2.5% 도포제 처리가 자두 과실의 생리적 낙과 억제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포모사’ 과실에 대한 GA 도포제 처리는 과실의 생리적 낙과를 경감시켰으며 수정 후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생리적 낙과방지 효과가 높았다. ‘포모사’ 품종에 GA 도포제를 처리하고 착과율을 조사한 결과, 착과 율은 만개 후 3일 처리에서 61%, 만개 후 13일 처리에서 15%로 무처리 5%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GA 도포 제 처리구에서 착과율 증가는 ‘하니레드’, ‘추희’ 품종 에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한, GA 도포제 처리는 과실의 비대 및 과실 성숙에 영향을 주었다. GA 도포제 처리구에서 ‘포모사’ 과실의 비대 양상을 조사한 결과, 만개 후 80일까지는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만개 후 80일 이후에 대조구에 비해 과실 무게가 높게 나타났다. GA 처리된 ‘포모사’ 과실은 과중이 약간 높고, 당도, 산 함량 및 경도는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포모사’ 과실에서는 수확기 직전 즉 만개 후 85일경에 sucrose 함량이 증가하는데 GA 처리는 sucrose 함량 증가시기를 앞당겼다. 이를 종합하면, GA 도포제 처리는 자두에서 과실 생리적 낙과를 경감시켰으며 또한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고 성숙기에 과실 비대를 촉진하였다.
        4,000원
        7.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 group 1),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group 2) and combined training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group 3) with scapula adductor muscles on scapula movement, upper limb function and gait in fifteen subjects stroke patients. The training was thirty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obtained result as follow, upper limb func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2(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groups. The change of weight bearing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groups(p<.05), and increase of gait velocity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group(p<.05). In conclusion, when applied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combined training to the scapular adductor muscles, it was oberved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hat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w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among the three methods applied to the scapula adductors.
        4,000원
        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 week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ferential Current(IC) and Kaltenborn-Evjenth Orthopedic Manual Therapy(KEOMT) on functional constipation. Interventions were applied to spinal segments between T9-L2 which provides innerva˗ tions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Subjects(n=24) were randomly allo˗ cated to two treatment groups: the IC group or the KEOMT group. Results for the IC therapy demonstrated significant decrease with the colonic transit time(CTT) as well as scores on the constipation assessment scale(CAS). The frequency of defecations per week had increased significantly(p<0.05). The KEOMT displayed decreased CTT in the left colon region. The scores on the CAS were reduced and frequency of defecations per week had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This study not only showed that both modes of therapy improved symptoms of constipation, but also optimized gastrointesti˗ nal content movement, eventuating in a more normalized CTT. In conclusion, both the IC therapy and the Kaltenborn-Evjenth Orthopedic Manual Therapy have shown to b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functional constipation.
        4,000원
        9.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Tetranychus urticae pesticid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tranychus urticae biopesticide using the plant extract. Tested extracts were fig leaf extract, viburnum erosum extract; besides Sophora flavescens Ait extract, Derris root extract, Tobacco leaf extract, and they were proved to be the caricidal effect of two spotted spider mite adults by spraying on the French bean leaf inoculated for Tetranychus urticae with each concentration; 500ppm, 200ppm, 100ppm, 50ppm. In the control treatments, caricidal effect was compared with only ‘Eungsami’ (500ppm, 200ppm, 100ppm, 50ppm), of which the main ingredient as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 is, and distilled water. The caricidal effect of tested extracts to the two spotted spider mite adult was the highest in the Sophora flavescens Ait extract and Tobacco leaf extract over 90%, and comparatively low in the Derris root extract. When the caricidal effect of ‘Eungsami’ was compared with two spotted spider mite adults with each concentration, ‘Eungsami’(500ppm) and Tobacco leaf extract(500ppm) were very excellent as each 95.5%, 98.7% in treated concentration. The effect of Sophora flavescens Ait extract was also high as 96.5%. In the low concentration(50ppm), Sophora flavescens Ait extract was 45.8%, Tobacco leaf extract was the most effective as 53.8%.
        10.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pricot (Prunus armeniaca L.) cultivars show a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GSI) system, like other fruit species of Rosaceae family. Thu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ir S-genotypes in order for stable fruit set in commercial cultivation. S-genotypes of apricots were determined by PCR and test crosses. Three sets of consensus primers designed from Prunus S-RNases were used to amplify fragments containing the first and second S-RNase intron, respectively.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3 PCRs, we could identify SI genotypes of 33apricot cultivars. Several cultivars such as 'Heiwa', 'Yamagata No.3' and 'Shinsuoomi' had the self-compatible (Sc) allele. Self-pollination tests revealed that cultivars with Sc allele were self-compatible. Cross-pollination tests confirmed that there was cross-incompatibility between the cultivars with the same S-genotypes. These results might be very useful for growers for effective pollination and for breeders using these in cross breeding programs.
        12.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pyeongbyeo is an anther culture derived Japonica rice (Oriza sativa L.) cultivar from the cross between Hitomebore and Hwajinbyeo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3. This cultivar has a about 126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The short and round grain shape of Hopyeongbyeo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Amylose content of rice grain is about 17.8% and high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Nampyeongbyeo. This cultivar shows resistant to bacterial blight pathogenes of K1. The milled rice yield of Hopyeongbyeo is about 5.13MT/ha at ordinary transplanting culture in the local adaptability test. Hopyeongbyeo would be adaptable for the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15.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kjeon’ rye (Secale cereale L.)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NCES). It was released in 2001 because of its excellent earliness and yield potential. ‘Okjeon’ was developed from an open pollination with 20 rye lines in 1984. Subse
        16.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fficient system of rice microspore culture could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rice. The microspores were isolated by mechanical or shed methods. The number of microspores per 100 anthers isolated at uninucleate stage was higher than (or similar to) those at binucleate stage in isolation method with pestle or spatular, but microspore divisions were not easily observed on both stages. On the other hand, pollen division in shed pollen culture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at uninuclear than at binuclear stage. Cold pretreatment at 10~circC for 10 days resulted in the best multicellular division to produce microcalli at 12.5% efficiency in shed microspores. Heat shock at 33~circC for one hour before or after pollen shedding enhanced cell division and callus formation. Out of twelve green regenerants, two were haploids and ten were diploids based on the chromosome analysis of root tips. The size of stoma was 12m m in haploids and 15 ~mu~textrmm in diploids deter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