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유통 중인 견과 종실류의 잔 류농약 실태를 조사하고자 온라인 또는 유통매장을 통해 131건을 수거하여 조사하였다. 총 14품목의 견과종실류 를 수거하였으며 339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 131건 중 총 8건에서 검출되었으며 범위는 0.01 mg/kg-0.07 mg/ kg 수준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시료 8건 중 7건이 잔류 농약 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으로 판정되었으며 부적합 7건 중 6건은 수입농산물에서 판정되었다. 중국산 호박씨 의 경우 PLS가 적용된 피라클로스트로빈이 5건 검출되 었으며 범위는 0.02 mg/kg-0.04 mg/kg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도산 참깨와 국내산 참깨에서도 펜디메탈린, 보스칼리 드, 비펜트린이 각각 0.04 mg/kg, 0.05 mg/kg, 0.06 mg/kg 으로 검출되어 부적합 수치를 보였다. 또한 검출된 8종 의 농약에서 EDI/ADI (%) 값이 0.002%-0.372%으로 낮 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유통매장 및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과일류 18품목과 박과과채류 2품목 114건의 시료를 구입하였다. 과피와 과육을 분리한 후 GC-NPD, GC-ECD, GC-MSMS, LC-MSMS를 이용하여 341종 잔류농약 분석 을 진행했다. 과일 전체(과피+과육)를 분석했을 때 48건의 시료에서 검출이 되었고 부적합은 없었으며 0.0025- 0.1663 mg/kg의 검출범위를 나타냈다. 과피에서는 85건에 서 0.0026-4.7185 mg/kg의 검출범위를 보이며 분리 전과 비교했을 때 높은 검출량을 보였다. 과육에서는 8건의 검 출이 있었으며 검출범위는 0.0021-0.0993 mg/kg 로 나타났 다. 대부분의 과피에서 농산물의 잔류허용기준 이하의 농 약이 검출되었고 키위 과피에서 기준 0.05 mg/kg인 deltamethrin이 0.1020 mg/kg의 검출량을 보였다. 잔류허용 기준은 과일 전체에 대한 기준이기 때문에 섭취에 부적합 한 것은 아니지만 더욱 안전하고 건강한 과피 섭취를 위 해 세척 후 과일 그대로를 섭취할 것을 권장하며 과피와 과육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4,200원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VR에 대한 의식을 바탕으로 VR을 활용한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을 위한 교육환경을 확보하고자, 총 105명의 학습자들의 VR에 대한 인식, VR의 체험요소, VR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을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조사결과, VR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교육적 성과와 몰입도가 높을 것으로 (p<.01), 학력이 높을수록 VR 활용 피부미용 체험요소인 일탈성, 인지성,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상관관계에서는 VR이용 스킨케어 경험요인이 높을수록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기대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VR을 활용한 피부미용 교 과목 개발과 교육이 빠르게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VR 활용 피부미용 교과목 개발과 운영 후의 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미용전공자들의 VR 체험을 기반으로 한 미용교육이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에 미 칠 기대의식을 바탕으로 VR을 기반으로 한 미용 교과목 개발과 교육환경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총 106명 의 학습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VR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에 관한 인식,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조 사결과, 학점이 높을수록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p<.01). VR 기반 미용 교과목개발에 대한 인식은 VR기반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의 하위요인별 전문지식(r=.683, p<.001), 실 무능력(r=.676, p<.001), 산업관련인식(r=.54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지식, 실무능력, 산업관련 인식이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용교육환경에서 전공자들의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교과목 운영에 대한 기대를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표 본의 범위를 확대한 연구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근시도에 따라 나누어 동공크기에 의한 굴절이상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경원을 방문하여 i.profilerplus(Zeiss, Berlin, Germany) 검사를 시행 받은 18~56세의 성인 73명 (7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를 경도 근시, 중등도 근시, 그리고 고도 근시로 분류하였다. 각 근시 그룹에서 동공크기(5, 3 mm)에 따른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여 각 근시 그룹에서 동공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는 5 mm에 비해 3 mm일 때 경도 근시(–1.99±0.76 D와 -1.68±0.72 D), 중등도 근시(–4.24±0.97 D와 -4.04±0.90 D), 그리고 고도 근시(-8.06±1.51 D와 -7.95±1.40 D)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경도와 고도 근시에서는 구면수차와 수직코마수차가 동공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등도 근시에서는 구면수차가 동공크기에 따른 평균 구면렌즈 대응치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근시도에 따라 동공크기가 변화할 경우 고위수차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경사는 근시안의 경우 야간시에서 흐린 이미지로 인한 불편함의 가능성이 있음을 이해하고 안경처방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드름을 가지고 있는 중국인 20-30대를 대상으로 여드름에 대한 인식과 관리 방법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총 600부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560부 중 27부를 제외한 5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중국인의 여드름 발생원인 인식, 관리인식, 악화요인 인식 차이 분석 결과 ‘관리인식’ t=3.380, ‘악화요인 인식’ t=2.314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여드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30대보다 20대가 여드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인의 연령에 따른 여드름에 대한 인식과 관리 방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대의 변화에 따른 여드름 관리 인식과 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고 한국인과 중국인의 여드름 인식에 대한 차이 비교, 추후 여드름 피부의 효과적인 관리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500원
        7.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D 대학을 중심으로 DEU-GRIT 검사를 활용하여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전공 분야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대학 생활 적응의 중요한 영역인 학업, 사회, 정서, 진로 적응의 수준을 기반으로 군집화된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DEU-GRIT 검사 규준을 바탕으로 대학 신입생 중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하위 규준집단을 따로 분류하여 이들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 적응 수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 적응과 정서 적응 수준에서 과학기술 전공 분야 학생이 인문사회 전공 분야 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생활 적응의 4개 영역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을 한 결과, 군집 1은 모든 영역의 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군집 3은 모든 영역의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집 2는 정서 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군집 4는 정서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DEU-GRIT 검사의 하위 규준집단에서는 학업 적응과 사회 적응 수준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서 높았으며, 대학 생활 적응 전체 및 학업 적응과 정서 적응 수준이 인문사회 전공 분야 학생보다 과학기술 전공 분야 학생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 규준집단의 대학 생활 적응의 4개 영역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 한 결과, 하위 규준집단 군집 1은 정서 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하위 규준집단 군집 2는 정서 및 진로 적응 수준은 낮고 학업 및 사회 적응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규준집단 군집 3은 모든 영역 수준이 낮았으며, 하위 규준집단 군집 4는 사회 및 정서 적응 수준이 낮고 학업 및 진로 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신입생의 사회 및 정서 적응 측면에서 성별에 따라 맞춤화된 심리상담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하며, 전공 분야에 따라서는 취업 전망에 대한 기대의 높고 낮음에 따른 상대적 정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하위 규준집단의 대학 생활에서 정서 및 사회 적응은 대학 생활 적응의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도 시사한다.
        5,200원
        8.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s of GoogLeNet, VGGNet, and Alexnet were evaluated to select the best deep learning based image analysis mothod that can detect pavement distresses of pothole, spalling, and punchout on expressway. Education data was obtained using pavement surface images of 11,056km length taken by Gopro camera equipped with an expressway patrol car. Also, deep learning framework of Caffe developed by Berkeley Vision and Learning Center was evaluated to use the three CNN models with other frameworks of Tensorflow developed by Google, and CNTK developed by Microsoft. After determing the optimal CNN model applicable for the distress detection, the analyzed images and corresponding GPS locations, distress sizes (greater than distress length of 150mm), required repair material quantities are trasmitted to local maintenance office using L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ICT center in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 GoogLeNet, AlexNet, and VGG-16 models coupled with the Caffe framework can detect pavement distresses by accuracy of 93%, 86%, and 72%, respectively. In addition to four distress image groups of cracking, spalling, pothole, and punchout, 22 different image groups of lane marking, grooving, patching area, joint, and so on were finally classified to improve the distress detection rate.
        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노숙인에 대한 안경지원이 시각상태와 시각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7년 1월부터 9월까지 재활 및 자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노숙인 102명을 대상으로 시력검사를 실시하였고, 안경지원 전후의 시각상태(원거리 및 근거리) 및 시각관련 삶의 질(사회적 기능, 정신건강, 사 회적 역할, 의존성)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최저 및 최고 점수를 각각 0과 100으로 변환하 여 점수가 높을수록 시각상태와 시각관련 삶의 질이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시력은 원거리보다 근거리가 낮았고, 불편한 시각상태는 일의 성취에 제한을 준다는 의 견이 많았으며, 시각상태가 좋을수록 시각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안경지 원의 결과로, 의존성과 사회적 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원거리 시각상태, 근거리 시각상태, 사회적 역할, 정신건강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 노숙인에 대한 안경지원은 시각상태와 시각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므로, 노숙인의 자활 및 자립 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10.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oasted peanuts and the antioxidative effect of peanut oil added with sesame oil. Saltiness of roasted peanut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t content. In terms of color value, L and b values decreased as increasing concentration increased, whereas 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t content. Overall, sensory evaluations proved that roasted peanuts with 15% added salt was preferred over other samples. For peanut oil added with sesame oil, acid values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whereas samples made with sesame oil had lower values than the control group. Peroxide values increased rapidly for 21 days and then decreased. The acid and peroxide values were lower in peanut oil added with 50% sesame oil compared to peanut oil added with 30%, 10%, and 70% sesame oil, as well as the control. The TBA values of peanut oil made with 50% and 30% sesame oil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70% and 10% sesame oil. According to the Rancimat method, PS-50% (524 min) and PS-30% (453 min)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as compared to the control (280 min), PS-70% (445 min), and PS-10% (291 min) samples.
        4,000원
        1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노숙인의 시각기능과 시각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여 노숙인의 시각 상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15년 6월부터 7월까지 서울과 대전의 쉼터 노숙인 147명(남성 129명, 여성 18명)을 대상으로 한 국어판 NEI-VFG-25을 이용하여 노숙인의 시각기능과 시각과 관련된 삶의 질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147명의 대상자 중 18명은 연령을 공개하지 않아 관련된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설문의 결과는 최저 및 최 고 점수를 각각 0과 100으로 변환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시각기능이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노숙인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전반적인 시력은 각각 29.08점과 56.31점이었다. 시각기능과 관련 하여 원거리 시력은 59.96점, 근거리 시력은 52.39점, 눈 통증은 60.99점, 색각은 71.40점, 주변부 시력은 62.24점이었고, 시각관련 삶의 질과 관련하여 사회적 기능은 67.89점, 정신적인 건강은 56.72점, 역할의 제 한은 43.60점, 의존성은 70.77점이었다. 시각과 관련된 삶의 질은 시력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p<0.05), 나이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결 론: 노숙인의 시력은 근거리가 가장 낮았고, 현재의 시각상태는 일의 성취에 제한을 준다는 의견이 많 았다. 노숙인의 시각관련 삶의 질은 시력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으므로 시력관리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도 움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800원
        1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opic familiarity can be associated with, and can also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testlet effect often found among items sharing a common passage in reading comprehension tests, particularly by using the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Theory (MIRT) bifactor model as the main data analytic schem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item scores collected from 830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a 8-passage, 32-item reading comprehension test (4 items per passage) and a 40-item self-reported topic familiarity questionnaire (5 items per passage).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that (a) the bifactor model best fit the test data; (b) the self-reported topic familiarity score was not correlated with the testlet factor score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c) the overall topic familiarity sco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eneral reading ability score, however. Implications of these major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usefulness of the bifactor model and the nature of testlet effects in reading tests, along with avenues for further investigation.
        7,700원
        13.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age of hybrid, the fashion industry has created multiple patterns of hybrid fashion due to mixed styles and genres. Fashion mixed with tradition and future and various cultures is emerging as a trend so that Asian cultures a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Samsung Design Net. 2014). Korean images also change every year into a new type of cultural hybrid. This study aims to present esthetic and trendy hybrid outer wear designs applicable to the fusion of tradition and present and the west and the east as well as diverse life styles for the major target of consumption, the senior generation with young sense. This study conducted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The theoretical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illustrations using Sumuk technique and of senior outer wear through the precedent study and literature. In the empirical study, fashion illustrations were ma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illustrations with Sumuk technique, and then fabric was made through digital printing. By doing so, hybrid outer wear designs for the senior generation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 outer wear, and the real artwork was mad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illustrations using Sumuk technique are the hybrid expression where the spirit of inner feeling of oriental thinking, implications of symbolism and metaphor through blanks and lines, and fortuity of ink blurs and lines are recreated in a modern way through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hybridity of multi-cultures and heterogeneous factors, expandability of blurring boundary, human-oriented playfulness, and sensibility of inner expression. Second, outer wear for the senior generation puts the most emphasis on aesthetic factors including designs, styles, youth, and complement of figure, followed by symbolism such as convenience of dressing or undressing, comfort, functionality of flexible size, trend, express of individuality, and dignity. In addition, this generation prefers outdoor wear for social, cultural, and casual activities and demand hybrid city wear designs adding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wear that is highly worn for various city life styles. Third, the design motifs of fabric made by digital printing of Sumuk technique-based digital fashion illustrations include traditional ornaments of Joseon Dynasty such as norigae(Korean traditional ornaments worn by women), binyeo(Korean traditional ornamental hairpin), and ddeoljam(ornamental hairpin), mix traditional and Korean spirit with modern sensibility, and connote esthetic beauty of ornamental effects for women’s beauty and symbolism of lucky signs and wishes. Fourth, senior outer wear was designed using the made fabric. Work 1 arranged prints with the motif of traditional norigae in a spaced pattern. Hybrid outer was designed with comfortable, light, and reversible functions by using A line silhouette considering the senior generation’s figure, single buttons for easy clothing change, and outdoor wear materials and highlighted the utilization of city wear. Work 2 used border pattern of fashion illustration prints that use binyeo as its motif, and it was designed for social and cultural life styles with the fusion of tradition, which uses tent silhouette durumagi(traditional Korean outer coat) and composition lines that are plane and straight lines, and modernism. It highlighted functionality by using zippers and single buttons for each clothing changing and outdoor materials. Work 3 arranged fashion illustrations made by the motif of ddeoljam in a spaced pattern. This is a balloon silhouette considering the senior generation’s figure and a urban, modern design with unbalanced hem line with asymmetry of light and left. A zipper was attached, and a light and flexible outdoor material was used to emphasize its functionality. Work 1, 2, and 3 made the fabric of cultural hybrid sense using Sumuk technique-based digital fashion illustrations and used the design considering the senior generation’s figure and an outdoor material, and expressed easy clothing change and design of city wear. This is a hybrid senior fashion design expressing the fusion and coexistence of traditional and modern beauty, Korea’s oriental beauty and modern western beauty, and outdoor wear’s functionality and city life styl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nvigoration of the senior fashion market that is newly emerging and the development of high-value added products as it presents hybrid outer wear adding functionality applicable to various life styles for the senior generation with the young sense.
        1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ynamics of predator-prey systems are strongly affected by the strategic behavior of both predator and prey. Thu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tegic behavior and the species survival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system resilience and stability. In the present study, we constructed a spatially explicit lattice model to simulate integrative predator (wolf)-prey (two rabbit species)-plant relationships. Wolves have only the hunting strategy, while rabbits have the hunting-escaping strategy. When a rabbit simultaneously encounters its predator (wolves) and prey (plant), either hunting or escaping should take priority. Hunting priority is referred to as hunting preferred strategy (HPS), while escape priority is referred to as escape preferred strategy (EPS). These strategies are associated with some degree of willingness to either hunt (H) or escape (E). One rabbit species takes HPS (HPS-rabbit) and the other rabbit species takes EPS (EPS-rabbit).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predicted population density for wolves, rabbits, and plant with changes in the value of H and E.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EPS-rabbit had a greater chance for survival than HPS-rabbit regardless of the initial density of EPS-rabbit, and the chance was optimized at the appropriate values of E and H. In addition, we briefly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our model as a tool for understanding behavioral strategies in specific predatorprey interactions.
        15.
        2013.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 brevis HY7401, L. helveticus HY7801 및 B. longum HY8004의 복합유산균 R&B Balance®의 대장염 개선 효과를 DSS 처리 마우스에서 평가하였다. R&B Balance® 섭취에 의해 대장길이 축소, MPO 활성과 같은 대장염 증상이 감소하였으며, 분변내 chondrointinase 활성과 분변 유전독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RFLP pattern의 군집 분석 결과, DSS-유도 대장염 마우스의 미생물총은 정상적인 마우스와 다르며, R&B Balance®의 투여는 장내 미생물총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R&B Balance®는 DSS로 유도된 대장염 동물에서 대장염 증상을 개선해주고 분변 내 독성 효소나 유독한 대사산물을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대장염을 개선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대장염 동물의 장내 미생물 다양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출생률ㆍ사망률의 하락은 고령화 추세의 직접적 요인이다. 출생률ㆍ사망률의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소득 수준과 보건ㆍ위생 수준의 향상 외에도 인구 조정 정책이 있다. 1970년 이후부터 개시되었던 인구 조정 정책은 출생률의 하락을 가져옴과 동시에 고령화 추세의 가져왔던 정책적 요인이 되었다. 특히, 1980년 이후 실시되었던 계획 출산 정책은 고령화를 촉진시킨 요인이 되었다. 계획 출산 정책에 따른 고령화는 불가피한 추세이지만, 문제점은 고령화의 속도, 현재의 조건 및 지역 간 불균등성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에서는 고령화 추세가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왔기 때문에 경제 발전 수준이 낮은 상태에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는 점이다. 선진국은 경제 발전이 높은 상태에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지만, 중국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무렵에 1인당 GDP가 아직 낮은 수준에 불과하였다. 또한, 고령화와 지역 간 격차와의 관련성도 관심을 가질 부분이다. 먼저 동부에 비해 서부의 노년 인구의 비율이 낮지만, 유소년 인구 비율은 높다. 또한, 총부양비에서 서부지역은 전국 평균보다 대체로 높다. 이로 보건대, 서부 지역이 동부 지역보다 소득 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더 무거운 부양 부담을 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6,400원
        18.
        200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numerous government institutions and information service organizations have shown interests in employing ISO 9001 Quality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their organizational performances. However, due to the gap between the system requirements and the process oriented goals in reality, they have not been able to merit from the ISO 9001 system.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rocess oriented approach for implementing ISO 9001 system in information service organizations. This approa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pproaches in that it utilizes process mapping and 3-color improvement strategies. The proposed approach is illustrated using the K information service organization case study.
        4,000원
        19.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에 특별한 식이 요법이나 정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폐경 전 성인여성이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 결과는 폐경 전 성인여성의 건강 및 운동실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발생하게 되면 치료나 완치가 어려운 골다공증 예방교육을 조기에 실시하고 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30대 평균 연령은 35.44세, 신장은 30대 평균 158.89 ㎝이고, 40대 평균 연령은 41.89세, 40대 평균 신장은 160.78 ㎝를 차지했다. 신체 조성에서 근육 량, BMI, 체지방률의 평균은 30대에서 높았고, 골무기질,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중, 체지방량, 허리둘레의 평균은 40대에서 높았다. 요추골밀도 및 대퇴골밀도는 30대가 40대보다 높았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연령별 복합운동에 의한 30대 신체조성은 근육량, 골격근량, 제지방량은 증가하였고, 체지방량,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감소하였다. 40대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증가 하였으며,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는 감소하였다. 3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고, 4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 각 부위,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다. 사후분석 결과에서 신체조성의 변화는 복합운동 후 근육량, 체중, 체지방량, BMI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골밀도의 변화에서 요추골밀도는 요추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퇴골밀도는 대퇴삼각과 대퇴전체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2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항염증 및 미백 소재를 찾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6가지 한약재 추출물(유자, 상백피, 오미자, 율무, 당귀, 고삼)을 Streptococcus thermophilus에 의해 발효한 발효분말의 미백 및 항염증 효과를 피부섬유아세포에 대한 피부독성, 산화질소 생성, tyrosinase 활성, 멜라닌 형성의 저해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발효물은 37 ℃에서 2일 동안 Streptococcus thermophilus에 의해 발효한 후, 동결건조에 의해 발효분말을 제조하였다. 발효분말은 피부섬유아세포에 대해 500 μg/mL의 농도에서 cytopathic effect reduction 방법을 사용하면서 측정하였을 때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발효분말은 Griess reagent system을 사용하면서 산화질소 생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발효분말은 tyrosinase 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가 농도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발효분말은 배양액으로부터 멜라닌 생성에 대해 유의적인 저해를 나타내었다(p < 0.05). 그러므로 이러한 자료로부터 발효분말은 항염증 및 미백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을 위한 효과적인 성분으로써 사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