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곤충 병원성 균주 Beauveria bassiana 배양액을배양일 수에 따라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항염증활성 및항암활성을 검정하여 천연 생리활성 물질 및 기능성 신소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1. 유리당은 Glucose, Maltose, Fructose 존재하였고 Glucose함량이 B. bassiana 15.2g·L−1으로 배양 3일 시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감소하였다. 2.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Formic acid, Lactic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 총 6종의 성분이 동정되었고,Citric acid 성분이 다량 함유되었으며 균주 중 B. bassiana.3일 배양액이 276.4mg·L−1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음.3. B. bassiana 균주 배양액은 총 16종의 아미노산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Glutamate 함량이 배양 3일 시 987.0pmol/µl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4. 무기성분은 Na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B. bassiana 15일 배양액이 179.5mg·L−1로 가장 많은 Na을 함유하고 있었다.5. B. bassiana 배양 5일 시 6.34±0.30ppm, 플라보노이드함량은 B. bassiana 배양 3일 시 1.09±0.05ppm, 배양 15일시 1.10±0.06ppm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6.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B. bassiana 배양 15일 시263.4±13.3µg·ml−1, SOD 활성은 B. bassiana 배양 15일 시93.7±16.6µg·ml−1, ABTS 활성은 B. bassiana 배양 5일 시99.7±1.2µg·ml−1으로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7. Anticancer activity 결과 A549 cell lines은 B. bassiana5일 배양액(163.8±4.1µg·ml), HepG2 cell lines는 B. bassiana10일 배양액(127.8±2.3µg·ml)으로 항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MCF-7 cell lines에 검정한 결과, B. bassiana 5일 배양액(129.1±6.8µg·ml)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대조구인Doxorubicin보다는 낮은 활성이 나타났다.
        4,000원
        2.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iomedicinal worth of different parts of Geranium sibiricum Antioxidant, anti-inflammato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of root and shoot of Geranium sibiricum were determined. Methanolic extracts of root and shoot parts of Geranium sibiricum ha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range of 40-50 jlg mL·1, and shoot extract was best in this regard. Likewis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was in the range of 60-100 jlg mL-1 and root extract of Geranium sibiricum seemed more useful with 87.38% higher anti-inflammatory activity than shoot with 63.63% activity. Regarding cytotoxicty test against two cancer cell line i.e. SK-Hep1 (liver) and HeLa (uterus), the methanolic extracts of shoot and root of Geranium sibiricum showed the highest toxicity with IC50 values of 10-30 jlg mL-1 and root extract proved more beneficial in this regard. In conclusion, methanolic extract of shoot of Geranium sibiricum had higher antioxidant while root extract had higher anti-inflammatoty and anticancer activities.
        3,000원
        3.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gnificant variations occur in pigmented rice germplasm with respect to their antioxidant potential.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exotic rice germplasm collected from different parts of the globe. Grain samples of exotic rice germ plasm (21 0 accession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countries of Asia, America and Europe and their ground grain samples were extracted with 80% methanol at 30 oc using sonicater for 30 minutes to estimate thei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Rice germplasm had tremendous variations with respect to total polyphenols (0.0800.71 mg g- 1) and falvonoid contents (0.091 00.413 mg g" 1 ) and antioxidant activity (18096%). Rice cultivars with red and black seed coat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owing to significantly higher polyphenols and falvonoid contents in their grains. Therefore rice cultivars with red and black seed coat color should be included in breeding rice genotypes with higher nutritional value.
        4,000원
        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약용식물 중 산형과 식물 18종 32점에 대한 항산화 및tyrosinase 저해 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형과 식물 15종의 32점은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실험재료로 사용되어졌다. Bupleurum falcatum L.(Shoot), Torilis japonica D. C. (Whole)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Foeniculum vulgare Gaeriner (Flower) 는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고도의 유의한 부의상관관계를 보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간에는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항산화 활성 함량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간에는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 중 Foeniculum vulgare Gaeriner (Flower)는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식물들에 대한 추출용매 및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효율을 검토하고, 추가적인 생리활성 능력을 검정하는 등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풀과 허브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항암,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검정한 결과, lemon balm의 leaves 추출물에서 629.48±0.90 mg GAE/g DW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고, rosemary의 whole 추출물에서 22.45±0.81 mg CE/g DW 로 가장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Rosemary(whole)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21.78±0.68 μg/ml로 대조구인 ascorbic acid(66.49±0.56 μg/ml)보다 3배 정도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Sage의 whole로부터 얻은 메탄올 추출물은 암세포에 세포독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은섬유아세포에서는 독성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정한 결과, sage의 whole (56.23±0.21 μg/ml)과 root(63.36±0.69 μg/ml)로부터 얻은 추출물은 대조구인 arbutin(69.56±0.15 μg/m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이들 식물들에 대해 추출용매 및 추출온도 등추출조건에 따른 최적 추출효율을 검토하고, in vivo 실험을 통해 생리활성 능력을 검정하는 등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