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이앙후에 발생되는 잡초를 조사하여 벼와의 경쟁적 영향을 해석함에 있어 가장 적은 노력으로 전체잡초발생상태를 대표할 수 있는 최소표본크기(minium quadrat size)와 최소표본회수(minimun quadrat number)를 초종일표본변적(species-area) 및 초종일표본회수(species-quadart number) 관계식에 의해 조사하였다. 1. 초종일표본면적, 또는 초종일표본회수 관계식에서 다같이 표본면적, 또는 표본회수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얻어지는 초종증가는 처음에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서서히 증가속도가 완만해지며, 어느 한계점을 지나면 더 이상의 초종증가는 없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적인 곡선을 보였다. 2. 표본추출면적, 또는 표본 추출회수를 10% 증가시킴에 따라 얻어지는 초종 증가율이 10%되는 관계를 고려한 최소표본추출 회수는 3회였다.
        2.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식생분석법(vegetation analysis)에 많이 이용되는 4가지 분석방법 즉, List quadrat 방법, Clip quadrat방법, Point quadrat방법, Line intercept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1. 분석 방법별로 얻어지는 초종수에 있어서는 List quadrat방법이 14종으로 가장 많았고, Line intercept방법이 8종으로 가장 적었다. 한편 Clip quadrat방법과 Point quadrat방법은 다같이 12종씩 기록되었다. 2. Clip quadrat방법은 여뀌바늘(Ludwigia prostrata Roxb), 벗풀(Sagittaria trifolia L.)등과 같이 수분함량이 비교적 적은 초종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높은 우점도(Importance value)를 보이는 경향이며 반면 올미(Sagittaria Pygmaea Miq.) 또는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Burm. f)〕와 같은 수분함량이 높은 초종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낮게 우점도를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한편 Line intercept 방법은 벗풀(S. trifolia)와 가래(Potamogeton distinctus Benn.)등과 같이 넓은 잎을 가진 초종에 대해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3. 본 시험에 사용된 4가지 방법중에서 어느 방법을 선택하더라도 별다른 큰 문제점을 야기 시키지는 않았으나 작업과정중의 노력절감, 시간절약 또는 우점초종의 초종수 및 우점순위 등을 종합적으로 볼 때 Point quadrat방법이 가장 바람직하였고, Line intercept방법이 가장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3.
        198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잡초군락형별(피, 물달개비, 피+뭍달게피 군락형), 질소시비종(0.80, 160kg/ha)에 따른 수도재식거리 (10 10cm, 20 20cm, 30 30cm)가 잡초와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78년에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기(IRRI) 시험포장에서 포장실험으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의 우점도는 질소시용량에 따라 차리가 있었는데 질소시용량이 증가될수록 물달개비의 우점도는 높아졌으나, 피와 방동산이과 잡초는 감소되었다. 2. 재식거리 10 10cm구에서는 잡초발생 억제효과가 질소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저하되었으며, 30 30cm 다비구(160kg/ha)에서는 전혀 잡초억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재식거리 10 10cm구에서는 제초구와 무제초구간의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재식거리 20 20cm 와 3030cm구에서는 무제초구에서 현저한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는데, 그 정도는 30 30cm구에서 더욱 컸다. 4. 잡초와의 경쟁에 의한 수도수량감소는 수량구성요소중 수수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었다. 5. 잡초발생량과 수도수량감소율과의 상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그 정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컸다.
        4.
        198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앙답에 분포되여 있는 잡초군락형 종류와 잡초군락형별, 잡초발생과 수도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1978~1979년에 걸쳐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시험포장에서 포장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제미작연구소 시험포장에 분포되어 있는 잡초군락형은 8개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군락형은 1)물달개비, 2) 피, 3) 물달개비-피, 4) 피- 물 달개비, 5) 물달개비-올챙이고랭이, 6) 강피-매자기, 7) 강피, 8) 물달개비-피-바람하늘직이 - 매자기 군락형이였다. 2. 이앙답에 발생되는 잡초의 우점도는 벼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변화되었다. 즉, 피의 우점도는 벼출수기까지 증가하다가 이후부터는 감소되었으며, 물달개비와 강피의 경우 벼성숙기까지 계속 증가되었다. 한편 매자기의 우점도는 이앙후 40일경에 최대식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되였다. 3. 잡초군락형별 잡초발생과 벼 수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잡초와의 경쟁력은 잡초군락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잡초발생량이 1m2 당 100g 일 때, 벼수량감소는 강피-매자기군락형에서 42%, 피군락형에서 10%, 물달개비, 물달개비-올챙이고랭이군락형에서 각각 15%, 물달개비-피-바람하늘직이-매자기 군락형에서 21%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