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eparately cultured follicular oocytes collected from individual ovaries of slaughtered Korean native cows and examined both the embryonic development rate and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the meat yield and quality grades of the source beef carcass. Oocytes from meat yield grade B cows exhibited a higher fertilization rate and embryonic developmental rate to the eight-cell stage than oocytes from grade A or C animal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te of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among meat yield grades A, Band C. The oocyte cleavage rate and development rate to the eight-cell stage from meat quality grade 3 cattle was higher than grades 1++, 1+, 1 and 2 (p<0.05). Embryos derived from grade animals displayed a development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of 19.4%, which was also higher than all other meat quality grades (p<0.05). Transplantation of in vitro-cultured oocytes from meat yield grade A ovaries led to a higher pregnancy rate (64.2%) than in vitro-cultured oocytes from meat yield grade B ovaries (56.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regnancy or abortion rates. In conclusion, embryonic development rate and pregnancy rate has a close relation to meat quality grades of the source beef carcass, this results is to give information for the Korean native cows improvement of breed.
        4,000원
        2.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지난 10여년에 걸쳐 미국에서 수행된 소년미결구금제도의 개혁에 관해 고찰하고 있다. 미국에서 소년미결구금제도의 개혁에 관한 논의를 추동시킨 현실적인 문제점은 소년미결구금시설의 과밀화였다. 과밀수용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점에서 출발하기는 하였지만, 개혁안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소년에 대한 미결구금은 예방적 목적뿐 아니라 소년의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치료적 미결구금이라는 개념과 함께 미결구금이 단지 폐쇄적인 미결구금시설이라는 장소를 지칭하는 제한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소년의 보호감독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점진적인 제재와 보호감독을 제공하는 과정으로서의 미결구금이라는 개념이다. 이에 따른 실제적인 개혁방안들은 폐쇄적인 시설구금에 대한 다양한 대안프로그램들의 마련과 미결구금의 남용을 억제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입소정책의 마련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러한 개혁방안들을 수행한 지역에서는 재판불출석률과 재범률이 증가하지 않으면서도 폐쇄적인 시설 구금률이 감소하면서 비용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미국의 소년미결구금제도의 개혁과 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얻게 된 경험과 교훈은 높은 구속률과 미결구금의 남용이라는 우리가 처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5,800원
        3.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머니와 유아 간의 일상적 내러티브 대화에서 자녀의 일상적 내러티브를 이끌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어머니의 대화방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4,5세 48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48명으로 총 48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어머니의 대화방식은 ‘정교한 방식’과 ‘반복적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정교한 방식의 요소는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 이고, 반복적 방식의 요소는 반복 진술, 반복 질문, 문장 완성형 진술 및 질문, 기억자극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 대화방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대화방식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대화방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교한 방식은 각 하위요소인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대화방식 중 정교한 방식에서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의 요소 모두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이 4수준에 이르기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4수준이 넘어서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