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mmalian fertilization is a complex cascade process consisting of sperm migration through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physiological changes to sperm such as sperm capacitation and acrosome reaction, and sperm-egg interaction in the oviduct in vivo. On the other hand, in vitro fertilization (IVF) is a process by which egg cells are fertilized by sperm outside the body: in vitro. IVF has been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 reproductive biotechnology for human and animals. The discovery of sperm capacitation in 1951 promoted the development of IVF technology. In the initial stage of IVF, sperm capacitation in preincubation medium was shown to be essential to fuse with eggs. Besides, sperms should detour some of the in vivo regulations for IVF. This review introduces a general mammalian fertilization process, including sperm capacitation, removal of cumulus matrix, acrosome reaction, and sperm-egg fusion and focuses on the roles of key biochemical molecules, signal mechanisms, and genes involved during IVF and novel results of sperm-oocyte interaction elucidated in various gene-knockout mice models.
        4,000원
        2.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wo Korean words, Solon-Tang and Su-Ra-Sang, are generally assumed as the names of Mongolian foods which seem to have been used in Korea due to the influence from the enhanced close relationships between Mongolia and Koryo. This indicates that the two words have very important meaning in st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culture in the central asia in those days and the terminologies used in the palaces in the eras of Koryo and chosun and so have attracted continuously the related scholars‘ attention. 1. The theory of folk etymology; it is originated from its cooking that first they cut meat into small pieces and put them into a cauldron and boil sulrong sulrong (which means such boiling state in that its water bubbles up) for a along time. 2. Early of the chosun time, the king himself comes to 'Sun-Nong-Dan' where he teaches the people how to farm and hold a large festival and after that they boil the cow meat soup and feed the people around there. At that time, they name and call the kuk-bub (soup with rice) which they eat at the 'Sun-Nong-Dan' 'Sun-Nong-Tang'. 3. The India Sanskrit Sura, a kind of liquid (in which component that have someone who takes it drunken) which gods enjoy themselves over, comes into the palace on the latter half of Koryo time via Mongolia and affects and becomes the Korean words. 4. The Mongol Suru or Sulru which is a cooking in that they boil meat putted in plain water comes into Korea under the special historic relation between Mongolia and becomes Solon-Tang. For the details of the above mentioned theories, we will fully discuss the origin through studying concretely the related books and mutual comparing history, linguistic periods and phonetic changes accordingly and the changes in meaning and vocabulary forms here.
        4,000원
        3.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생산되는 아열대 마의 저장성을 향상 시키고자 저장기간 동안 발생되는 주요 병원균을 분리동정하여 병원성을 확인하고, 큐어링 처리 조건별로 부패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아열대 마 저장중 부패를 일으키는 주요 병원균은 Penicillium sclerotigenum와 Penicillium polonicum으로 확인되었고 P. sclerotigenum이 좀더 병원성이 강하였다. 수확도중 절단된 부위는 큐어링 하기전 반드시 매끈하게 잘라야만 정상적인 유상조직층이 형성되었다. 괴근 절단면을 상대습도 95%에서 3일간 23℃, 28℃ 그리고 33℃로 큐어링 처리하여 유상조직층을 관찰한 결과, 23℃ 처리구는 괴근육과 표피층의 색농도가 비슷하여 확인이 어려운 반면, 28℃ 이상 처리구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0.5 mm 이상의 유상조직 형성율도 28℃ 처리에서 93%, 33℃ 처리에서 96%로 양호하였으나 23℃처리구에서는 52%로 낮게 나타났다. 상온에서 바람이나 햇볕을 이용하는 관행적인 큐어링 처리구는 유상조직층 형성이 미미하였다. 저장고안의 상대습도에 따른 병원균의 감염은 습도가 40%와 60%로 유지되었을 경우 감염비율이 낮았고 큐어링 처리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저장고내 습도가 80%인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균이 급격히 증식하였다. 저장온도 16℃에서 상대습도 60%를 유지하여 180일 후 처리별로 부패율을 조사한 결과, 절단된 괴근을 햇볕이나 바람에 의해 큐어링된 관행적인 처리구는 43%였으나, 28℃ 이상에서 큐어링하여 유상조직층이 형성된 괴근은 18% 이하로 나타났다. 건전한 괴근도 관행처리구에서 25%의 부패율을 보인 반면 28℃ 이상에서 큐어링된 괴근은 10% 이하로 나타났다. 중량감소율도 관행처리구에 비하여 강제 처리구가 중량이 1~6%정도 덜 감소하였다.
        4.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국화는 수명이 1-2주이며, 최대 3-4주까지 유지되고 수확 후 호흡증대와 노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지 않는 non-climateric 식물로서 에틸렌에 대한 감수성이 낮은 작목이다. 절화는 주로 잎이 위조, 황화되고 수분의 이동이 방해되어 엽록소가 퇴화되고 잎의 노화가 촉진되어 개화되지 못하므로 품질이 떨어진다. 절화의 수명은 품종, 수확전 재배조건, 수확 후 온도, 습도, 광, 수질 등 외부요인 및 기질의 공급, 체관 및 물관의 흡수력 유지, 에틸렌과 같은 호르몬, 효소활성 변화 등의 내부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국화 품질지표는 꽃과 줄기가 구부러짐이 없고 절간간격 및 잎 크기의 상하가 일정하며 균형이 잘 잡힌 것이어야 하며, 화형, 화색이 품종 본래의 특성을 갖추고 모두 양호하여야 하며 병해충 피해가 확인되지 않으며, 절화 수확시기가 적기인 것이여야 한다. 스탠다드 국화는 꽃봉오리가 5-6cm일 때 수확하고, 스프레이 국화는 40% 개화상태인 2-4개의 봉오리가 균일하게 개화하면 수확한다. 이 때 토양 기부에서부터 10 cm 위로 잘라 목질화된 줄기를 제거하며 줄기 아래쪽의 잎을 1/3정도 제거하여 수분흡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확 후 절화를 등급별로 나누게 되는데 절화의 길이와 무게, 꽃의 개화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스탠다드 국화는 병해충이 없고, 줄기가 구부러짐이 없고, 잎 크기가 균형이 잘 잡히고 절화장이 80 cm, 절화줄기 1개의 무게가 70 g이면 가장 우수한 1등급이며, 스프레이 국화는 절화장과 절화무게가 각각 70 cm, 60 g이고, 개화는 2-4륜이 개화하고, 병해충이 없는 깨끗한 상태인 경우가 1등급이다. 절화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물올림과 동시에 전처리제를 사용하는데, STS, GA, BA, 1-MCP, Chrysal, 살균제, sucrose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절화의 호흡감소, 부패감소, 변색지연, 증산억제를 위해 예냉을 5~7℃에서 4시간 이상 하는 것이 좋다. 절화국화는 PE필름으로 포장해서 상자에 넣으면 2℃에서 2주간 저장이 가능하고, 습식에서는 3주간 저장이 가능하다. 포장이 끝난 국화는 저온차량를 이용하여 수송 상차 및 하역비 절감을 위해 2상자씩 묶어 출하한다. 소비자가 신선한 꽃을 오랫동안 감상하는 위해 HQS, 탄산수, sucrose 등을 이용하여 수확 후 후처리를 한다. 절화 국화의 소비 및 이용을 다변화하기 위해서는 유통 품목과 품종의 다양화, 유통체계의 정비, 산지 생산자-소매자-소비자의 정보교류 등이 필요할 것이다.
        5.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분할마를 심은지 30일 후에 3, 5, 7, 9, 12g씩 분할한 절편의 발아율은 60.3, 80.5, 85.3, 98.6 및 99.3%를 나타냈다. (2) 하우스재배에서 분할 절편에 따른 괴경 비대는 3, 5, 7, 9, 12g에서 66, 87, 98, 120, 140g을 나타냈다. (3) 노지재배에서 분할 절편에 따른 괴경 비대는 3, 7, 12, 18, 23g에서 35.2, 124.7, 142.7, 174.8, 200,7g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