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bout the freezing methods and several methods of cryopreservation. Hypothermic preservation has been used to complement the embryo freezing technology. There is a study to show the successful results for long-term hypothermic preservation. For that reason, FBS and BSA are commonly added to the culture medium to support embryo development.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hypothermic preservation method at 4℃ according to embryonic developmental stages for Hanwoo embryos and evaluated the effect of FBS and BSA on Hanwoo embryos as a supplemental reagent in hypothermic preservation medium after recovering preserved embryos from hypothermic preservation. The present study reported that survival and hatching rates of embryos at morula stage following storage at 4℃ is Day 7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compared than those of other groups (p < 0.05). As a result, the survival and hatching rates of embryos at the blastocyst stage following storage at 4℃ result is showed that significantly higher (p < 0.05) survival rates than those of other groups an Day 6. The result showed that hatching rate at Day 6 and 7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05)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result regarding the survival and hatching rates of bovine embryos following storage at 4℃ for 72 h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BSA are shown The results showed that survival rate of 1% BSA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compare with control (FBS) group.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hatching rate of control (FBS) and 1% BS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compared with other groups. In conclusion, our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hypothermic preservation did not effect on the survival and hatching rates of embryos after recovering. In addition, the supplementation of BSA in preservation medium showed no difference in the embryo developmental competence after hypothermic preservation compared to FBS treatment. With that, BSA can be an alternative reagent for the hypothermic preservation medium as an energy source and pH buffer.
        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허리노린재과(Coreidae)에 속하는 Leptoglossus gonagra (가칭: 기장허리노린재)는 북미 원산으로 현재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동남아시아 등 폭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가해하는 광식성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2016년 부산시 기장면의 호박 재배지에서 약충과 성충이 확인되었으나, 이듬해에는 현장조사에서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MaxEnt 모형과 세계적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L .gonagra의 서식 및 생존과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및 국내 서식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위치자료는 GBIF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DISCOVER LIFE 웹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총 99지점을 이용하였고 환경변수로는 WorldClim의 생물기후 (bio)를 19개를 활용하였다. 예측 모델은 평균 AUC 값 0.928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등온성(bio3)과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bio18), 기온의 계절성(bio4), 가장 습한 분기의 강수량(bio16)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다. 고온다습 한 열대성 기후 지역에서 출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생태원에서는 2016~17년에 걸쳐 한반도의 남부지역에 해당되는 충청ꞏ전라, 경상 지역에서 외래생물 전국 서식실태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중 외래곤충 현황에 대한 결과이다. 2016년 충청ꞏ전라권역 65개 시ꞏ군에서 총 8목 20과 28종의 외래곤충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 2종의 미기록종(Hindoloides bipunctatus, Salurnis marginella)이 확인되었다. 해당 권역에 분포하는 외래곤충 중 갈색날개매미충은 48개 시ꞏ군으로 가장 많은 지역에서 서식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꽃매미(41), 등검은말벌(35), 버즘나무방패벌레, 해바라기방패벌레(30), 미국선녀벌레(27) 순이 었다. 2017년 경상권역 43개 시ꞏ군에서 총 6목 24과 32종의 외래곤충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 1종의 미기록종(Dentatissus damnosus)과 2종의 미접종(뾰족부전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이 확인되었다. 해당 권역에 분포하는 외래곤충 중 남방노랑나비가 37개 시ꞏ군으로 가장 많은 지역에서 서식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꽃매미(36), 해바라기방패벌레(35), 등검은말벌(31), 돼지풀잎벌레(30) 순이었다. 남부지역 총 133개 시ꞏ군에서 꽃매미가 가장 많은 지역(77)에서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다음으로 갈색날개매미충(70), 등검은말벌(66), 해바라기방패벌레(65) 순이었다.
        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시설안전공단은 국민과 국가 주요 시설물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정밀안전진단 등 시설안전 및 건설공사 안전관리 등 건설안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점검 및 진단의 부실 예방 및 보고서의 내실화를 위하여 ‘02년도부터 시특법에 평가제도가 도입된 후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평가대상은 시특법 제11조의2에 따라 제출된 1·2종 점검 및 진단 실시결과를 동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라 선정하고 있다. 본 고는 교량 시설물의 보고서 평가사례를 제시하여 점검·진단 시 간과하기 쉬운 사항들을 실시자가 파악함으로써 부실 예방 및 보고서 작성의 내실을 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