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 2009년 처음 발생이 보고된 미국선녀벌레는 다양한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농경지에서 미국선녀벌레의 효율적인 관리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서, 2년간 6개의 포장에서 시간에 따른 농경지내 분포를 조사하였다. 미국선녀벌레 약충은 6월말에서 7월초 사이에 농경지에서 최대 밀도를 보였고, SADIE를 이용하여 분포 패턴을 분석한 결과, 조사된 모든 시기에 집중분포 하였다. 미국선녀벌레 약충의 공간 분포는 선형의 분포 경향성을 보였고, 그 방향성은 월동처에서 포장으로의 방향과 유사하였다. 분포의 변화의 경향성 역시 약충의 분포 경향성과 유사하여, 월동처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유입과 확산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집중 분포 패턴과 분포 변화의 경향성을 이용한 최적의 방제시기와 방제 범위를 제시하였다.
        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은 현재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으며 그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갈색날개매미충의 현재와 미래 분포를 CLIMAX와 MaxEnt를 사용하여 예측하였다. 또한 두 개의 프로그램에서 변수 선정은 사용된 환경인자와 갈색날개매미충 발생과의 공간적 상호 관계를 SADIE로 분석하여 사용함으로써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만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CLIMAX의 경우 중국 저장성의 기후 요소와 한국 전역의 기후 요소를 Climate Matching을 사용하였고, MaxEnt의 경우 상관관계 분석과 공간자료 분석에 의해 선정된 11개 환경 요소를 이용하여 갈색날개매미충의 현재 및 미래 분포를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전역은 갈색날개매미충 발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의 서쪽 지역이 동쪽 지역보다는 상대적으로 발생 적합성이 높았으며 동쪽으로 점차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 전략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보다 유의미한 종분포 모델 개발을 위해 공간자료 분석의 사용법을 제시하였다.
        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밤과 호두는 중요한 임산 자원으로써 최근 복숭아명나방의 피해가 증가하여 재배자들이 경제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부여군에 위치한 밤과 호두가 서로 인접한 재배지역의 밤나무와 호두나무 116그루를 무작위로 선정하고 각 나무별로 2개의 가지를 선정하여 복숭아명 나방의 피해율을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4회 조사하였다. 그 결과 6월, 7월, 8월의 복숭아명나방 피해과는 통계적으로(p<0.05) 호두재배지역에 집중 분포를 보였으며, 9월의 경우는 임의 분포하였다. 6월부터 8월까지는 호두 재배지역에서만 복숭아명나방의 피해가 나타나 조사지역에서 복숭아명나방 피해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25). 그러나 9월은 밤 재배지역에서 복숭아명나방 피해가 발생하고 호두 지역에서는 새로운 피해가 나타나지 않아 통계적으로 8월 이전과는 공간적 상호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0.025<p<0.975). 이러한 결과로 월동세대는 호두에서 산란하여 피해를 야기하고 이후에 발생하는 세대는 밤에서 피해를 야기할 것으로 추정된다.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은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붉은매미나방과 주요 해충으로 경제적으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밤 재배단지에서 2년 동안 갈색날개매미충의 공간적 이동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부여에 위치한 한 밤 재배단지에서 대략 30m 간격으로 임의로 밤나무를 선정, 표지한 후 GPS를 이용 좌표를 구하고 나무당 50cm 가지 2개에 존재하는 갈색날개매미충 알, 약충, 성충의 밀도를 육안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SADIE를 이용해 공간적 상호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알, 약충, 성충 2년 동안 지속적으로 양의 공간적 상호관계를 보였고, 약충 시기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25). 이는 넓은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이 발육단계에 상관없이 특정 지역에서만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정 지역에 집중적인 방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된 밤 재배단지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 전략이 제안되었다.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 다양한 작물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는 미국선녀벌레는 나무 표피에서 알 상태로 월동하고, 부화한 약충은 이동하여 주로 초본 식물을 가해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국선녀벌레 약충의 부화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4지역(서울, 연천, 수원, 예산)에서 월동난이 있는 가지에서 부화하는 약충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부화 모델을 개발하였고, 각 조사 지역에 투명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떨어지는 약충의 수를 조사하여 그 경향을 분석하였다. 미국선녀벌레의 월동난 부화 모델은 약충의 부화시기를 잘 설명하였고(r2=0.98), 5월말에서 6월 초에 50%정도의 부화가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화한 약충의 지표면으로의 이동은 부화 직후 1령 시기에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들은 미국선녀벌레의 부화시기와 기주를 찾아 이동하는 시기를 바탕으로 한 방제 전략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rtificial light is frequently used for plant growth and pest attraction traps in greenhouses. In addition, natural enemies may utilize this artificial light for colonization in greenhouses. Orius laevigatus is a biological control agent of whiteflies and thrips. The Y-tube selection test was conducted against O. laevigatus for 11 wavelengths (365, 385, 395, 405, 410-420, 420-430, 440-450, 490-500, 520-530, 590-595 and 620-630 nm) of LED and white light (5000k) for a control . One pipe of the Y-tube was allocated for insect entrance and other two pipes of the Y-tube were installed transparent sticky trap along with white LED and test wavelength, respectively. At least, three replications were conducted for each wavelength and 40 to 60 individuals of O. laevigatus were used for each replication. Attraction rate of 365 to 405 nm wavelength was above 50 % and highest at 385 nm (83.7 %). Attraction rate of 490 to 630 nm was below 20 % and lowest at 620-630 nm (1.4 %). The results indicate that O. laevigatus attracted most to 385 nm wavelength and this light may be useful for using O. laevigatus in green hous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using selected LED wavelength.
        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밤은 임산물 중 가장 중요한 품목 중 하나이며, 최근 복숭아명나방에 대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상태이다. 2017년 11월 21일, 부여군에 위치한 밤 주산단지 내 밤나무 50그루를 무작위로 선정하고 각 나무별로 땅으로 낙과한 밤송이 5개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복숭아명나방의 피해과와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복숭아명 나방과 그에 의한 피해과 수는 통계적으로 집중분포를 보였으며, 밤알 수는 임의 분포하였다. 복숭아명나방은 밤알 수와 9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역 상관관계를 보여 상대적으로 큰 밤알이 선호됨을 알 수 있었고 피해과 수와는 정 상관관계를 보여 피해과가 많으면 개체수도 많이 존재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복숭아명나방의 방제전략을 구축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다.
        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mblyseius eharai is a native predatory mite in Korea and a candidate of biological control agent to control spidermites. To evaluate the predation ability of A. eharai, its functional response was tested at 10, 30, 50, 70 and 130 larvaeof Tetranychus urticae. A. eharai showed the Type 2 functional response. The attack rate of female and male A. eharaiwas 0.109 and 0.019, respectively. The handling time of female and male was 0.164 h and 0.234 h, respectively. Theattack rat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s at 95% confidence interval. However, handling time was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comparison with Neoseiulus californicus, attack rate and handling time of A. eharai werebetter than N. californicus. These result should be helpful for evaluation of A. eharai for a biological agent against T.urticae.
        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는 주요 검역 대상으로 지정된 해충이다. 이 해충에 대한 고감도 모니터링과 진단 기술이 초기 방역 처리에 요구된다. 본 연구는 오리엔탈과실파리를 유인하여 치사시킬 목적으로 메틸유제놀과 생물농약을 혼합한 왁스형 방출기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5종의 주요 검역 과실파리(오리엔탈과실파리, 오이과실파리, 퀸즐랜드과실파리, 말레이시아과실파리, 지중해과실파리)에 대한 PCR 진단프라이머를 개발하였다. 이상의 모니터링용 왁스방출기과 분자진단기술을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지역에서 실증 시험하였다.
        4,000원
        10.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두 가지 주요 성페로몬 성분(Z-8-dodecenyl acetate and E-8-dodecenyl acetate)을 갖고 있다. 이 성 페로몬 성분의 생합성 과정 분석은 포화지방산의 10번 탄소에 이중결합을 합성하는 불포화효소(Δ10 DES)가 종 특이적 광학이성체 형성에 필수 적이라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효소의 분자적 특징에 대해서 분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샘의 전사체에서 Δ10 DES로 추정된 불포화효소(Gm-comp1575)의 단백질 기능 영역을 분석하였다. Gm-comp1575 유전자는 370개의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암호하고 있으며 분자량은 약 43.2 kDa 그리고 등전위점(pI)은 8.77로 추정되었다. 이 불포화효소는 4개의 막투과영역을 지니고 있으며, 6개의 탄수화물 결합 위 치가 아미노 말단과 세포내 영역에서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자계통분석은 Gm-comp1575가 다른 종에서 알려진 Δ10 DES와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Gm-comp1575 전사체는 암컷 성페로몬 샘 및 다른 복부 조직에서 발현되었다. 이 유전자 발현에 대한 RNA 간섭 처리는 처녀 암컷으로 하여금 사과원에서 수컷을 유인하는 능력을 크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Gm-comp1575가 복숭아순나방의 성페로몬 생합성과 관련 이 있는 유전자라고 제시하고 있다.
        4,000원
        1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는 호박꽃을 가해하는 해충이다. 이들 수컷은 식물체 유래물질인 raspberry ketone (RK)에 유인되 어 섭식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 해충의 방제를 위해 수컷박멸기술(male annihilation technique: MAT)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고 이를 위한 기반 기술을 탐색하였다. 효과적 유인 물질이 실내 및 실외 실험을 통해 비교되었다. 일반적으로 과실파리류에 유인효과가 높은 methyl eugenol에 호박꽃과실파리 암수는 모두 반응하였으나 야외에서는 전혀 유인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RK의 합성 유도체인 cuelure (CL)에 호박꽃과실파리 수컷은 실내 및 야외조건에서 모두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지향하는 왁스형 방출기 조건에서 RK가 CL에 비해 동등하거나 우수한 유인효과를 보였다. MAT를 구성하는 데 유인 물질과 함께 포함될 살충제를 피레스로이드 살충제로 선발 하였다. 또한 MAT 처리 후 치사된 개체의 확인과 계수를 위해 깔때기형 트랩을 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호박꽃과실파리 의 MAT 기술은 RK과 비펜스린을 담은 왁스형 방출기로 결정하고 이를 깔때기트랩에 설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기본 조건은 추후 현장 적 용할 MAT 기술 개발에 기반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4,000원
        1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 기후변화에 따라 아열대성 해충이 온대지역으로 이주를 통해 서식지를 넓히고 있다. 아열대성 해충인 콩명나방(Maruca vitrata)이 국 내에서 팥을 비롯한 콩과작물에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비교적 유전적 변이가 큰 곤충으로 알려진 콩명나방에 대해서 국내 집단의 기원에 대해서 의문을 갖게 되었다. 국내 콩명나방 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cytochrome oxidase subunit 1 (cox 1)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판독 하였고, 이를 다른 지역 집단들과 분자계통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는 콩명나방은 크게 3 그룹(아시아-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으로 분류되었다. 이 가운데 국내 콩명나방은 아시아-아프리카 그룹에 속했다. 국내 집단의 살충제 감수성을 분석하기 위해 작용기작이 서로 다른 7 가지(4 종류의 신경독 약제, 1 종류의 곤충성장조절제, 2 종류의 생물농약)의 약제로 평가하였다. 콩명나방의 어린 유충은 분석된 모든 약제에 비교적 감수성이 높았다. 그러나 노숙 유충의 경우는 어린 유충에 비해 감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처리 후 7 일간 분석된 살충력 조사에서 조사된 어느 약제도 콩명나방의 최종령 유충을 효과적(> 50% 방제가)으로 방제하지 못하였다.
        4,000원
        13.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arasitism by an endoparasitoid wasp, Cotesia plutellae, results in significant immunosuppression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Parasitized larvae significantly suffered higher susceptibility to a microbial biopesticide, Bacillus thuringiensis (Bt) than nonparasitized (NP) larvae. To find out an immunosuppressive agent causing the enhanced Bt efficacy, viral ankyrin (=vankyrin) genes encoded in C. plutellae bracovirus (CpBV) were analyzed by transient expression in NP larvae. CpBV segments containing different vankyrins were microinjected to NP larvae and expressed their encoded vankyrins. Expression of some vankyrins significantly inhibited immune response and enhanced Bt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at expression of vankyrins suppress a cellular immune response and lose Bt tolerance of P. xylostella larv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