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3D(Free-Form Formwork 3D Printer) technology that manufactures EPS(Expanded Polystyrene) formworks for irregular-shaped concrete structures by 3D printers was developed to reduce the cost and time. Because of weak strength and low elastic modulus of the EPS, structural performance including lateral pressure by fresh concrete of the formwork that consisted of EPS should be investigated. In order to calculate lateral pressures acting on formwork, several variables including sizes, shapes of formwork, tangential force(fricition) between fresh concrete and formwork, and material properties of fresh concrete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current regulations have not considered the properties of concrete, only focused on vertical formwork. Galleo introduced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s to calculate lateral pressure on formwork. Thus, proposed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were verified for vertical formwork and irregular-shaped formwork.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by FEM analysis. As a result, the test agrees well with the analysis.
        4,000원
        2.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 용수저수지 주변 호랑가시나무개체군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분포서열법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호랑가시나무개체군은 꾸지뽕나무우점개체군, 상동나무우점개체군, 예덕나무우점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토양분석 결과 유기물함량 14.62~17.35%, 전질소함량 0.39~0.51%, 유효인산함량 8.83~20.15mg/kg, 치환성 K 0.44~0.64cmol+/kg, Ca 5.79~6.87cmol+/kg, Mg 3.43~4.19cmol+/kg이며, 토양 pH는 5.41~5.8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덕나무우점개체군은 유효인산과 유기물함량이 많고 치환성 K, Mg의 양료가 적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동나무우점개체군과 꾸지뽕나무우점개체군은 유효인산과 유기물함량이 적고 치환성 K, Mg의 양료가 많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랑가시나무 자생지 보호를 위해 수관층을 피압하고 있는 덩굴식물 제거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적인 생태모니터링과 자생지 보존을 위한 관리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4,000원
        3.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rdiovascular system is the primary organ to develop and reach a functional state, which underscores the essential role of the vasculature in the developing embryo. The vasculature is a highly specialized organ that functions in a number of key physiological works including the carrying of oxygen and nutrients to tissues. It is closely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heart, and hence it is essential for survival during the hatching period.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during vascular development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days after hatching is not fully understood. Therefore, we examin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genes activated during the development of flounder. Microscopic observations showed that formation of blood vessels i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the vimentin gene. Also, the temporal expression patterns of this vimentin-like gene in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in the normal tissues of olive floun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ression patterns of vimentin in normal tissues of the olive flounder and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vascular system in newly hatched olive flounders and HIF-1 plays a vital role in the formation of blood vessels during development. Vimentin expression was strong at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of blood vessels, and was present throughout all developmental stages. Our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the roles of vimentin and HIF-1 in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first blood vessels in olive flound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the vimentin-mediated hypoxic response signal transduction and to decipher the functional role of vimentin in developmental stages.
        4.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sh larvae are immediately exposed to microbes from hatching to maturation of their lymphoid organs, therefore effective innate mechanisms is very important for survival. However, the knowledge of the development of immune system in fish is limited and in demand now. In vertebrates, recombination-activating gene 1 (RAG-1) and immunoglobulin M (IgM) have been considered as very useful markers of the physiological maturity of the immune system.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he both genes was assessed throughout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s of olive flounder larvae (5-55 dph) and used as markers to follow the development of immune system. RAG-1 and IgM mRNA expression was detectable at 5 dph and remained so until 55 dph. These patterns of expression may suggest that the olive flounder start to develop its function around 5 dph. Tissue distribution was found that both genes mRNAs are only expressed in the immune-related organ such as spleen, kidney and gill. The early detection of IgM mRNA led to the investigation of its presence in oocytes. Both RAG-1 and IgM mRNA transcripts were detected in unfertilized oocytes, suggesting that they are maternally transferred.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such a phenomenon remains to be investigated.
        5.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창이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 VLC column로 분획한 XS-5에서 처리 농도 500 μg/ml에서의 87.53%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VLC로 분획한 XS-3-2의 처리농도 500 μg/ml에서 78.72%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PCL법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XS-1에서 13.32 nmol과 open column XS-3-2에서 14.34 nmol으로 항산화력을 나타났다.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XS-2의 처리농도가 500 μg/disc에서는 1 mm의 clean zone이 형성되었다. XS-3에서 DPPH와 PCL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높았지만 항균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창이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은 상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6.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자생 개맨드라미를 초장생장을 억제시켜서 분화식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위하여 적심 및 왜화제처리에 따라서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적심의 횟수가 1회부터 3회까지 증가할수록 초장, 절간장 및 화서장은 월등히 작아지고 화서의 수, 엽수 및 측지수는 증가하였다. Diniconazole 12.5-50.0mg·L-1, hexaconazole 10.0-40.0mg·L-1 및 daminozide 3,400-13,600mg·L-1의 처리는 개맨드라미의 초장, 절간장 및 엽장 등의 생장을 감소시켰고 화서의 수 및 잎의 수는 증가되었다. 특히 diniconazole 50mg·L-1 및 daminozide 6,800mg·L-1 처리는 대조구의 초장이 81.3cm에 비교하여 50cm 이하로 월등히 작았고 화서의 수는 2.7개로 대조구 1개보다는 월등히 많았다. 한편 hexaconazole과 daminozide는 농도 및 처리횟수가 증가할 수록 초장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diniconazole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개맨드라미를 왜화시키기 위해서는 12cm 정도 자란, 생육 초기에 diniconazole 50mg·L-1 및 daminozide 6,800mg·L-1를 1회 경엽에 살포하거나 2~3회 정도 적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자생 개맨드라미의 파종시기에 따라서 개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재배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1월부터 8월까지 1개월 간격으로 파종하였다. 2월과 3월에 파종하여 4월과 5월에 정식한 개맨드라미의 초장은 69.1cm 이하로 짧고, 개화소요일수가 31일로 단축되었으며 측지발생이 많아서 개화수도 많았으나, 화서장이 짧고 경경도 가늘었다. 5윌부터 6월에 파종한 것은 개화소요일수가 58일로 길었고, 초장도 94.1cm에서 122.0cm로 길었다. 따라서 개맨드라미는 봄의 단일조건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상대적 단일식물로 판단된다. 시기별로 화단 조성을 위하여 개맨드라미를 파종할 경우 여름부터 가을까지의 키가 작고 총총한 화단 조성을 위해서는 2-3월에 파종하여 4-5월에 화단에 정식하는 것이 적당하고, 초장이 긴 가을 화단 식물 조성이나 절화용으로 활용할 경우는 4-5월에 파종하여 6-7월에 포장에 정식하는 것이 적당하다.
        8.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림의 유용한 식물중 하나인 멸가치의 생육특성을 밝혀 보고자 습도와 광도를 조사하였다. 주요 산채류중 하나인 멸가치의 생약성분이 정신분열증을 일으키는 dopamine함량 감소작용을 일으켰다는 보고 등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멸가치의 생육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습도로 50% 이상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도변화가 자고 광량은 200 μmol s-1m-2이하의 곳이 생육에 적합한 장소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 결과 음지식물의 증식에 있어서 습도를 50%이상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