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메모리얼 공간은 역사의 어두운 면과 잊혀지는 사람들을 기억하고자 하며 기억을 고착화 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 개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오늘의 가치관과 감흥을 확인하게 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둔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에 조성된 사건을 기념하는 현대 메모리얼 공간의 특성을 고찰한다. 현황분석의 내용은 공간의 구성방식, 관람자 체험유형, 도입요소 등으로 분류되며, 지향해야 할 방향성과 발전가능성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메모리얼 공간에서 형태적 특성과 기념의 의미가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념성을 외부공간에 녹이는 표현방법에서 전통적 공간 구성방식과 도입요소를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되어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국내 메모리얼 공간에서 변화가 없는 점은 현대인의 변화한 기념에 대한 자세와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적절한 응답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독립운동, 항일운동, 그리고 민주화운동 등 저항을 통해 역사를 지킨 사람들과 과거의 사건을 기리는 방식이 권위적인 형식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역설적인 부분이다. 메모리얼 공간은 이전과 다름없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발전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도 역사 고증을 바탕으로, 설계단계에서부터 심층적인 고민을 통한 감각적이고 풍부한 메모리얼 공간을 표현해낼 필요가 있음을 명시하며, 추후 조성될 국내의 현대 메모리얼 공간설계를 위한 종합적 단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펀지 도시는 도시재생 측면에 있어, 우수를 도시 내 흡수, 침투,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 물 순환 시스템의 개념이다. 이 개념은 2012년 중국 저탄소 도시 및 지역 경제 발전과학 기술포럼에서 처음으로 제기되었으며, 이로 인해 스펀지 도시에 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스펀지 도시 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펀지형 도시공원은 일반적인 개념 외 실제 적용되는 설계원칙에 대한 내용이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스펀지 도시의 시범 도시인 싼야(三亚)시가 추진한 솽슈(双修)와 솽청(双城) 프로젝트인 싼야시 동안(东岸) 습지공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7가지의 스펀지형 도시공원 설계원칙을 대상으로 현장답사를 하였다. 또한, 대상지 이용 시민, 정부 건설 담당 부처의 공무원, 공원 관리인원 등 3개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 조사·분석 방법론을 적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안습지공원은 연결성 측면에서 상당히 양호한 연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기능 측면에서는 젊은층과 어린이를 고려한 공간 설계가 없으므로 모든 연령층을 고려한 설계방식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인프라 시설 측면에서 공원은 더욱더 많은 휴식과 편의 시설이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스펀지성을 분석한 결과 잔도교(栈道桥)와 계단식 홍수 방지 댐을 조성하여, 양호한 홍수 방지 저류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측면에서 공원의 유지 보호에 적어도 80명에 달하는 유지 인력이 소요되어 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경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중국의 스펀지 도시는 여전히 탐색 단계에 대량 실천성 탐구가 필요하다. 즉,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결성, 기능성, 생태성, 지역성, 안전성, 스펀지 도시성, 경제성 등 7개 유형의 스펀지형 도시공원 기본 설계 원칙을 적용한다면 기존 스펀지형 도시공원뿐만 아니라, 향후 새롭게 조성할 스펀지형 도시공원에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인구 증가로 인해 도시 환경에 대한 피해가 심해져 보다 심각한 생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도시의 습지 생태계는 과도적 생태계로서 조절, 완화 및 여과와 같은 중요한 생태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시습지공원은 물 저장, 홍수 방지, 가뭄 방지, 수분과 토양의 유실 방지, 기후 조절 및 생물 다양성 유지와 같은 생태계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습지공원의 조성은 대중들에게 교육 및 휴식과 오락을 위한 장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습지를 보호하고 도시 환경의 질을 제고한다. 중국 도시습지공원은 조성 후 그 기능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나 현재 도시습지공원의 성능을 평가한 연구는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습지공원을 평가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설문조사 및 계층 분석법을 통해 각 평가 지표의 가중치를 부여했다. 본 연구에서는 하얼빈 췬리 국가 습지를 예로 습지 성능에 대해 실제적으로 평가를 진행했다. 선행연구 정리, 현장조사, 실험 등의 방법을 결합하여 평가지표를 지지하는 데이터를 얻었다. 연구결과, 습지 평가체계에서는, 생태와 환경은 동등하게 중요하며, 세부적인 지표에서는 수질, 토양환경, 수자원과 종 다양성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또한, 하얼빈 췬리 국립 습지공원의 전반적인 상황은 양호로 나타났다.
        4,300원
        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린이공원은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중요한 장소이나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 C등급을 부여받은 공원 중 어린이공원이 절반이상을 차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본 연구는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여 어린이공원의 안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지는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 C등 급과 A등급을 부여받은 어린이공원으로 선정되었다. 관련 논문과 문헌을 통해 CPTED 개념과 도시 범죄특성을 고찰하고 국내외 CPTED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였다. 고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CPTED 체크리스트, 이용자 행태조사,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고 종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 공원의 안전도에 있어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공원을 계획하고 조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600원
        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민 삶의 질적 추구와 여가생활 증진에 이바지하는 미술관의 역할은 수동적인 예술작품 보존의 공간에서 방문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전환됐다. 현대인에게 부족한 자연과 예술에 대한 향유와 보다 나은 휴식의 공간이 되기 위해선, 미술관의 역할을 내부공간에 국한시키지 않고 옥외의 공간으로 확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의 옥외 전시공간 방문객을 대상으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옥외 전시공간의 질적 향상을 추구한다. 연구 대상지로는 수도권을 대표하는 국공립 미술관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과 소마미술관을 선정했으며 설문조사 및 IPA 분석 방법을 사용해 후행 연구에 활용 가능한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한다. 연구 결과 25개의 항목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각 항목에 따라 현상 유지,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 현시점에서는 고려가 불필요한 사항, 추후 시설 도입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보행공간에 대한 안전성과 연계상태 그리고 이동의 용이성 등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술관의 옥외 전시공간 조성 과정에서 고려 또는 개선되어야 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본 연구의 결과는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민의 요구에 따라 미술관의 옥외공간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가이드라인 구비와 함께 쾌적한 휴식의 장소가 되도록 해야 함을 명시한다.
        4,200원
        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관 및 생태를 중심으로 계획된 초기 그린웨이의 의미가 점차 문화, 활동, 역사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확장됨에 따라 그린웨이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만족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 조사를 통해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만족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론과 연구 결과는 추후 그린웨이를 계획할 때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기 조성된 그린웨이의 물리적 개선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회귀 모형은 광나룻길에서는 통행공간과 교차공간, 간촌서3길에서는 통행공간과 연접공간, 효자로에서는 교차공간이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그린웨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공간은 보행로인 통행공간과 교차공간이며, 그린웨이의 계획 시에 통행공간과 더불어 교차공간도 중요한 위상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4,500원
        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among modern people in the environment and leisure activities, the social demand for parks and green spaces is increasing. Thus, with the increase in park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and analyze user characteristics and demands and continuously reflect them in park management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Central Park in Dongtan 1 New Town, Hwaseong City, to analyze and evaluate what variables affect us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and suggested ways to construct future neighborhood parks. After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sit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were studi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user satisfaction with the Central Park was generally high, and the park had a large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residents. It seems that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satisfaction provided by the park, which relieves mental and physical stress in modern people’s busy lives and supports static and dynamic recreational activities, will be high. It was judged that if user demands are more actively reflected upon, user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and parks can be vitalized.
        4,000원
        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design status according to the visual, structural, and non-visibl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 One-pyeong Garden Expo, Gyeonggi Garden Culture Expo, and the Seoul Garden Sh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exhibited at the garden expo and to present the initial study among the case studies conducted in the early stage of the domestic garden expo while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to other local governments that will oversee future garden expos. Visual characteristics included plantations, materials, and colors, whil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plane, entrance, moving path, and edge. Non-visible features included the subject and cost. Collectively, garden works used more artificial materials than natural materials. Depending on whether the garden was to be maintained, it was necessary to choose species that were easy to maintain and that met the conditions of growth. Floor materials mainly included crushed stone, soil cement, bark, granite slate, and volcanic stone. Structurally, most gardens contained formal planes, closed entrances, and closed-type boundaries. The circular and regression lines were often transformed into straight or curved lines. Garden themes differed depending on the theme of each garden exposition, but there were also many universal themes (e.g., “resting through the garden”). Costs had not yet been set for the garden exposition’s budget.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