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survey of plant-parasitic nematodes (PPNs) was carried out in medicinal crop cultivated fields from July to August in 2023. Three-leaf ladybell,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is a highly valued medicinal plant that is used to treat or prevent bronchitis, cough, cancer, and obesity in Korea. A. triphylla plants with small root-galls were observed in a field of Yeongju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which were identified as a root-knot nematode. Addition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studies were performed and identified as Meloidogyne hapla, Northern root-knot nematode. Population densities of M. hapla ranged from 20~30 nematodes per 100 cm3 of soil. M. hapla was detected at lower densities in soil compared to other infected host crops, but there are concerns about damage to M. hapla since A. triphylla is cultivated for more than two years once planted. Our results indicate that A. triphylla roots damage by M. hapla were identif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trol methods such as registration of applicable nematicides and crop rotation.
        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산업 전반에 관한 초보농들이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2017년 7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일선 현장에서 산업곤충 사육과 창업 질문을 간추려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산업곤충 전문지도연구회 등이 참여로Q&A집을 제작하였 다. 목차내용은 문답형식으로 산업곤충 입문, 사육, 가공, 식품과 유통, 사육사례 등 5개분야 104개의 항목을 구성하였으 며 질문과 답, 그에 대한 관련볍령과 사례로 만들어 일선이 곤충산업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에게 업무추진에 연찬 실무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3.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RI검사는 조직의 대조도가 우수하여 근골격계 진단에 유용한 검사방법이다. 근골격계 검사 시 환자상태에 따라 보조기구가 이용되는 보조기구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을 뿐 아니라 비용도 비싸다. 이에 본 연구는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하여 MRI 검사 보조기구를 제작하였다. 보조기구 제작과정으로는 3D 모델링(3D MAX.2014, Fusion360)을 사용해 STL파일로 변환 후 슬라이싱 프로그램(Cubicreater 2.1ver., Cura 15.4ver)을 통해 G-code로 변환시킨 후 FDM방식의 프린트(Cubicon Style, MICRO MAKE)로 출력하였다. 출력물이 MRI영상에 미치는 SNR을 평가하기 위해 FDM에서 사용하되는 PLA, ABS, TPU를 두께 3mm로 된 Water Phant om 케이스를 제작하여 case 사용 전, 후를 시험을 실시하여 비교하였으며, 보조기구 사용 전, 후의 임상영상을 정성적으로 평가 하였다. 영상을 획득하여 나타난 Warter Phantom의 SNR은 T1 NON 123.778 ± 28.492, PLA 123.522 ± 28.373, ABS 124.461 ± 25.716, TPU 124.843 ± 27.272 로 평가되었다. T2 NON 127.421 ± 26.949, PLA 124.501 ±2 7.768, ABS 128.663 ± 26.549, TPU 130.171 ± 25.998 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조기구의 사용 전, 후의 임상영상 평가 결과 고식적 방법 3.20 ± 0.88, 보조기구 사용 3.95 ± 0.76 으로 보조기구 사용 후 영상의 질이 향상되었다. 향후 3D프린팅을 이용한 보조기구의 제작은 임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고, 환자들의 검사 시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보조기구제작을 할 수 있어 기존에 쓰이는 보조기구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