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re is a critical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in the area of correlation between the climatic change and vector-born diseases in terms of global point of view. The statistics (1907~2000) for about a century showed the average temperature in Korea was increased to 1.5℃, twice higher than that of global average (0.74℃). The average precipitation for the past decade also showed 10% increase per year up to 1,485.7mm. The A1B scenario of NIMR reported the future estimate of averag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is century (21 C) would be increased to 4.0℃ compared with that of years (1971~2000). There appeared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breeding disease vector populations and climatic change, even though the occurrence pattern of diseases transmitted by insect vectors and/or reservoir animals in Korea had been rather included in category of the developed countries till 20th century. However, the disease outbreaks for the past 10 year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vector-born diseases such as Tsutsugamushi disease, Leptospirosis and Epidemic Hemorrhagic fever. There appeared many different factors involved in causing foregoing disease increase, however, the warmer temperature change might have accelerated the more favorable breeding habitats for the disease vectors and medically important insects. The insect-born disease transmission inclusive of medically important insects and rodents involves wide range of different and/or compounded factors or situations such as human population and housing habitats, sanitary standards, vector control schedules, etc. in different areas and districts. Duane, et al.(2001) reported and well illustrated the correlations among climatic change and humans host, insect vectors, reservoir animals, disease agents. The importance of local outbreaks of insect vector population increase was mainly caused b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humidity) increase (Mellor and Leake, 2000) by the increase of fecundity and frequency of biting activities. Martens (2008) also indicated that climatic change affected the increases of survival rate, density, fecundity duration and the resistance to microbial pesticides more favorably against disease agents such as bacteria and fungi, etc. The influences or effects of climatic change against human pest control activities, susceptibility, immunity to insect vector-born diseases will be elaborated.
        2.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어항내 마리나 및 피셔리나 개발과 연관된 관련법의 적용, 허가 및 운영 관련 조례 제정, 마리나 개발 및 규제와 관련된 법규 등 그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향후 국내의 실정에 적합한 피셔리나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설을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기존 어항의 유휴시설을 리모델링한 형태로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어업활동의 개선과 해양레저스포츠 활성화로 어촌의 새로운 소득원 창출을 할 수 있는 형태로 피셔리나를 개발하여야 한다.
        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순도 금속급 실리콘 제조에서는 원료가 되는 실리카 광물의 SiO2 품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베트남 규사광에 대한 광물학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석영과 불순광물의 광물학적 특성차이를 이용하는 분급, 비중 및 자력선별을 포함하는 물리적 종합정제공정을 구성하여 적용시켰다. SiO2 품위 99.8 wt% 이상의 고순도 규사 정광을 93 wt% 이상 회수하였다. 이러한 고순도 규사 정광은 금속급 실리콘의 순도 규격에 적합하였다.
        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분말의 티타니아(Titania, TiO2) 포팅을 위한 출발물질로서 인도네시아산 카올리나이트와 티타늄-아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isopropoxidc, TIP)가 사용되었으며, 실험은 졸-겔법(sol-gel method)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강매로서 에탄올이, 가수분해 반응을 위해 물이 사용되었으며 촉매로서 염산을 첨가하였다. 카올리나이트 분말의 소성여부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카올리나이트와 메타카올리나이트(metakaolinite)를 대상으로 각각 실험하였으며, 반응 혼합물의 몰비, 교반시간, 숙성시간, 결정화 시간과 온도의 변화에 따른 티타니아 결정도를 검토하였다. 실험조건 TIP 0.1 몰(mol), 물 0.15 몰, 염산 0.005 몰, 에탄을 100 ml, 카올리나이트 50 g, 교반 4시간, 숙성 24시간, 결정화온도 1050℃, 결정화 2시간에서 가장 높은 아나타제 결정도 17.61%를 나타냈다. 결정화온도의 변화에 따른 아나타제 결정도 분석결과, 카올리나이트와 메타카올리나이트 분말에 코팅된 티타니아는 1050℃와 1200℃에서 각각 37.61%, 17.39%로 최고의 결정도가 관찰되었다. 즉, 카올리나이트 분말에 코팅된 티타니아가 메타카올리나이트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더 높은 결정도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