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염풍뎅이(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는 과거에는 흔히 발견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한반도 내 개체수 가 급격히 감소하여 2005년 환경부에 의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해당종의 분자생물학적 연구는 멸종위기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로 인해 NCBI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서열정보들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수염풍뎅이의 유전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생물정보학적 기술을 활용하여 전사체 분석을 진행하였다. Illumina HiSeq 2500 플랫폼을 사용하여 53,433,048개의 RNA reads를 얻었으며, Trinity와 TGICL을 이용한 De novo 어셈블리 분석을 통해 18,172개의 unigenes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unigenes는 GO, KOG, KEGG, PANM DB를 활용하여 annotation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GO 분석에서는 ‘binding and catalytic activities’와 관련된 항목이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KOG 분석의 경우 ‘Cellular Processes and Signals’ 범주가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KEGG 분석을 통해 2,118개의 unigenes가 metabolic 카테고리에 annotation된 것을 확인하였다. SSR 모티프 분석에서는 AT/AT (42.90%) 모티프, AAT/ATT (13.13%) 모티프 순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들을 이용하여 유전자원 및 종 정보를 실시간 제공 및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Database 및 web-interface를 구축하 였으며, 이러한 자료들은 국내 멸종위기종인 수염풍뎅이의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발굴 및 확보할 수 있는 기반자 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내 미생물 군집은 소화 과정, 면역 시스템, 질병 발생 등 숙주의 다양한 면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장내 미생물 종은 숙주의 생리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발표된 바 있다. 곤충의 장내 미생물 군집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연구는 주로 장내 미생물 군집과 기생충, 병원체 간의 상호작용, 종간의 신호 전달 네트워크, 먹이의 소화 과정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Illumina MiSeq을 활용하여 16S rRNA 유전자의 V1부터 V9 영역 중 선택된 특정 부분을 대상으로 짧은 서열 정보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PacBio HiFi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16S rRNA의 전장 분석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장수말벌(Vespa mandarinia)의 해부를 통해 gut과 carcass 부분을 분리한 뒤, 각 샘플을 Illumina MiSeq과 PacBio HiFi 기술을 활용하여 미생물 군집 간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속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매개 곤충을 통한 다양한 신종감염병이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매개질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질병을 매개하는 매개체에 대한 정보와 지속적 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제3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근(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및 라임병(Lyme disease) 등의 매개체로 알려져 있는 참진드기를 대상으로 충남 당진 일대에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총 6년, 4월-11월의 기간동안 월 1회 4개의 환경(무덤, 산길, 잡목림, 초지)에서 드라이아이스 유인트랩을 사용하여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18년 16,996마리, 2019년 16,698마리, 2020년 6,417마리, 2021년 7,380마리, 2022년 3,451마리, 2023년 3,465마리로, 총 54,407마리가 채집되 었으며, 초지에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참진드기는 2속 3종으로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개피참진드기(H. flava), 일본참진드기(Ixodes nipponensis)이며, 작은소피참진드기 (H. longicornis) 가 42,489마리(78.09%)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으며, SFTS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NA 추출 및 Nested RT-PCR 단계를 걸쳐 전기영동을 수행하였으나 양성 검체는 0건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SFTS의 주요 매개 체인 참진드기 발생 양상 파악 및 매개 질병 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기상연구소의 보고에 의하면 최근 한반도의 기온 상승으로 인해 온대내륙성 기후형에 속했던 지점은 온대해양성 기후형으로, 온대해양성 기후형은 아열대습윤 기후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한반도의 기후 변화는 환경 변인에 민감한 질병 매개 곤충의 분포와 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철새도래지 내 발생 및 유입될 수 있는 모기와 관련 바이러스 감염률을 확인하기 위해 충남 당진의 철새도래지에서 BG-sentinel trap 및 LED trap을 사용하여 2021년부터 2023년까지 4-11월간 월 2회 수행하 였다. 채집된 모기는 총 3,723마리로, 4속 16종을 확인하였다. 그 중 금빛숲모기 (Aedes (Aedimorphus) vexans nipponii) 가 1,711마리(45.96%)로 가장 높은 우점도를 나타냈으며, 흰줄숲모기 (A. (Stegomyia) albopictus) 와 큰검 정들모기 (Armigeres (Armigeres) subalbatus) 각각 588마리(15.79%), 빨간집모기 (Culex (Culex) pipiens pallens) 269마리(7.23%)로 나타났다. 채집된 모기의 Flavi-virus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NA 추출 및 RT-PCR을 통해 확인하였으나,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기후변화에 맞추어 변화하는 감염병 매개 모기 의 발생 현황을 감시·예측하는데 유의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모기 매개 질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털진드기 유충 (Acari: Trombiculidae)은 쯔쯔가무시증을 전파하는 주요 매개체이다. 털진드기 유충의 발생량 은 가을철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환경 및 시기에 따라 발생 패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충남 예산의 털진드기 발생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36-51 주차 (9-12월)에 걸쳐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논, 밭, 수로, 초지에 5m 간격으로 털진드기 트랩을 환경별로 5개씩 설치하여 채집하였다. 그 결과 총 3,257개체로 2017년 1,104마리, 2018년 785마리, 2019년 650마리, 2020년 160마 리, 2021년 139마리, 2022년 233마리, 2023년 186마리 채집되었다. 동정 결과 5속 12종이 확인되었으며 둥근혀털 진드기(Neotrombicula tamiyai)가 1,882개체(57.78%)로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발생 양상에 관한 연구는 매개 질환의 예방 및 관리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단백질의 구조 예측은 생명 과학 및 의약학 분야의 핵심적인 연구 주제 중 하나로, 단백질의 기능 및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최근 Google DeepMind의 AlphaFold2가 등장하였으며, 단백질 구조 예측 성능을 대폭 향상시켜 CASP(Critical Assessment of Protein Structure Prediction)에서 뛰어난 평가점수를 받아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의 최신 기술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러한 컴퓨터 기반의 단백질의 구조 예측 방법은, 고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 단백질 구조를 결정하는 방법 에 비해 매우 정확하고 빠르며 경제적인 비용으로 수행될 수 있어 단백질 구조 예측 및 생리학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방법론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소에서는 곤충을 포함한 무척추 자생동물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을 위해 단백질 구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64Core/128Threads의 CPU, 256GB의 RAM과 6장의 GeForce RTX 3090으로 이루어진 GPU(Graphical Processing Unit)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에 AlphaFold2 program을 구축하였다. 최근 인간을 대상으로 한 단백질 구조 예측 연구는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지만, 곤충을 포함한 자연계의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상황이다. 이러한 자생동물자원연구의 확대를 위해 본 연구소에서 구축한 GPU 시스템 및 생물정보학적 분석 방법이 많이 활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연구자들 의 협력과 참여가 필요하다.
        12.
        2016.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analyses of 1250 variable sources identi ed in a 20 square degree eld toward NGC 2784 by the KMTNet Supernova Program. We categorize the variable sources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B-band variability. The rst group consists of 31 high variability sources with their B- band RMS variability greater than 0.3 magnitudes. The second group of medium variability contains 265 sources with RMS variability between 0.05 and 0.3 magnitudes. The remaining 951 sources belong to the third group of low variability with an RMS variability smaller than 0.05 magnitudes. Of the entire 1250 sources, 4 clearly show periods of variability greater than 100 days, while the rest have periods shorter than 51 days or no reliable periods. The majority of the sources show either rather irregular variability or short periods faster than 2 days. Most of the sources with reliable period determination between 2 and 51 days belong to the low-variability group, although a few belong to the medium-variability group. All the variable sources with periods longer than 35 days appear to be very red with B􀀀V > 1.5 and V 􀀀I > 2.1 magnitudes. We classify candidates of 51 Cepheids, 17 semi-regular variables, 3 Mira types, 2 RV(B) Tauri stars, 26 eclipsing binary systems and 1 active galactic nucleus. The majority of long-term variables in our sample belong to either Mira or semi-regular types, indicating that long-term variability may be more prominent in post-main sequence phases of late-type stars. The depth of the eclipsing dips of the 26 candidates for eclipsing binaries is equivalent to 0.61 as the average relative size of the two stars in the binary system. Our results illustrate the power of the KMTNet Supernova Program for future studies of variable objects.
        4,800원
        1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yields of the fractions of n-hexane-soluble, ethyl acetate-soluble and methanol-soluble from the P. densiflora sawdust were obtained 1.36%, 2.21% and 4.03% using organic solvents, respectively (Table 1).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e n-hexane extracts against L. edodes at concentrations 125, 250, 500, 750 and 1000 ppm were 36.5%, 41.2%, 43.1%, 45.4% and 47.6%, respectively (Table 2). The percent of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 edodes was the greatest for the n-hexane extracts, ranging from 36.5% to 47.6% at a concentrations of 125 ppm to 1000ppm, with the values for all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his experiment, the antifungal activity by the n-hexane extracts was the highest. This result supposed that the n-hexane extracts have not only many more inhibitory compounds against L. edodes than the ethyl acetate and methanol extracts but also the inhibitory compound may be more easily dissolved by n-hexane than by ethyl acetate or methanol.
        1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yields of the n-hexane-soluble, ethyl acetate-soluble, methanol-soluble and methanol-insoluble fractions from the powdered water extracts were 8.2%, 10.6%, 32.0% and 49.2%, respectively (Table 1).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n-hexane-soluble fraction,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methanol-soluble fraction and methanol-insoluble fraction against L. edodes were 23.5%, 26.2%, 41.5%, 25.4% and 2.5%, respectively, at 1000ppm (Figure3). The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showed much higher antifungal activity than the other fractions.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against L. edodes at 1000 pp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actions of n-hexane-soluble, ethyl acetate-soluble, methanol-soluble and methanol-insolub
        1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 Antifungal activity of water extracts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s against L. edodes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 extracts.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s at 1000 ppm was the highest among the tested concentration against L. edodes mycelia. The antifunga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concentration of the water extrac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water extracts of the P. densiflora sawdust have inhibitory compounds to the growth of L. edodes mycelia. 2. Yield and antifungal activity of fractions from water extracts The powdered water extracts was further treated serially using organic solvents in order to separate the water extracts into the fractions of n-hexane-soluble, ethyl acetate-soluble, methanol-soluble and methanol-insoluble. The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showed much higher antifungal activity than the other fractions.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against L. edodes at 1000 pp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actions of n-hexane-soluble, ethyl acetate-soluble, methanol-soluble and methanol-insoluble.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n-hexane-soluble and methanol-soluble fractions at 1000 ppm. 3. Antivungal activity of fractions of organic solvent extracts The fractions were isolated from each organic solvent by the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n the fractions were confirmed and divided on the values of Rf by the thin-layer chromatography. The fractions were produced six band of the n-hexane, nine band of the ethyl acetate and eight band of the methanol extracts. The HIII fraction from the n-hexane extracts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ion against L. edodes mycelium.
        1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fter having inoculated the mycelium of L. edodes on the block medium, the P. densiflora sawdust of the B and C groups were the slowest of their respective groups on day 169.4 and day 169.9 harvesting times. The first harvest of the fruiting body from the Q. variabilis sawdust of the control medium was obtained on day 162.9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