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업유전자원센터에 보존되어있는 우리나라 및 불가리아 재래종 강낭콩 유전자원 130점을 대상으로 형태적특성을 조사하고, 155점에 대해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와 불가리아 재래종 강낭콩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화일수는 최소 50일에서 최대 79일, 평균 54.5일이었으며 성숙일수는 최소 25일, 최대 64일, 평균 38.9일 이었고 생육일수는 최소 83일, 최대 123일, 평균 93.4일이었다. 불가리아 재래종 자원들이 한국 재래종 자원보다 개화일수는 3.1일, 성숙일수는 3.6일, 생육일수는 6.7일 늦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공시자원의 100립중은 19~71g 사이에 분포하였고, 평균 100립중은 41.2 g이었으며, 우리나라 재래종 자원은 평균 100립중이 40.9 g, 불가리아 재래종 자원은 42.4 g 이었다. 3. 조사대상 자원의 질적형질 중 생육습성은 한국 자원은 직립형이 87.6%인 반면 불가리아 자원은 덩굴성이 60.0%였으며, 한국 자원의 화색은 보라색 줄무늬가 있는 백색이 80%로 가장 많았으나 불가리아 자원은 백색자원이 52%를 차지하였다. 종피색은 한국 자원은 적색이 61%, 불가리아 자원은 백색이48%를 차지하여 국가간 선호도와 용도에 따른 차이가 있을것으로 보였다. 4. 10개의 SSR 마커를 이용하여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PIC 0.6181을 얻었으며, 국가별 분석 결과 다양성은 gene diversity와 PIC로 볼 때 불가리아 자원이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불가리아에서 도입한 강낭콩 유전자원이 강낭콩 수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4,000원
        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morphological traits of Korean, Chinese, Japanese and Southeast Asian(SEA) soybeans from RDA genebank. Days to flowering were ranged from 51 to 125 days with an average of 75 days. Those of China were the shortest with an average of 58 days and those of SEA were the longest with an average of 99 days. Growth days were the shortest with 94 days from China, and longest with 188 days from Korea and SEA. The 100 seed weight of soybeans was ranged from 3.4g to 46.4g, with an average 22.2g. The 100 seed weight was the lightest with an average 11.8g from SEA and the heaviest with an average 24.6g from Korea. In growth habit, over 50% of being collected from Korea, Japan and China were erect type, but 94% from SEA were intermediate type. The highest percentage of seed coat color was yellow(66.1%), followed by yellowing green(10.0%). As a result of cotyledon color in 760 black seed was 76.1% with yellow, 23.9% with green. Green cotyledon was much more in Korea(38.6%) and Japan(33.3%) than other countries. One thousand seven accessions from Korea, Japan, China and SEA were analyzed using 7 SSR markers. One hundred eighty alleles were detected with a lowest 16 at the Satt537 and a highest 35 at the Satt390. The averag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PIC) was 0.68, the highest with 0.7 in Japan. Gene diversity was the highest with 0.73 in China and Japan, while the lowest in SEA with 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