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뿌리응애류는 양파, 마늘, 생강, 백합 등의 뿌리를 가해한다. 최근 백합재배지에서는 질경이모자이크바이러 스(Plantago asiatica mosaic virus, PLAMV)에 의한 잎의 괴사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태안 백합재배지에서 PlAMV 가 감염된 백합을 채집하여 구근을 조사한 결과, 식물체 당 뿌리응애 100개체 이상이 발견되었으며 Rhizoglyphus robini로 동정되었다. 이 종이 PlAMV의 보독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채집된 R. robini에서 RNA를 추출하여 RT-PCR로 진단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PlAMV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뿌리응애가 백합 구근 뿌리를 먹으면서 만든 상처를 통해 PlAMV가 전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2.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irty-eight lactic acid bacteria (LAB) strains were isolated from Kimchi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d screened for probiotic characterization in a series of in vitro tests, including resistance to low pH, tolerance to bile salts, hydrophobicity, antibiotic resistance and antioxidant activity. Firstly, twenty-two strains displayed survival in acid and bile passage conditions. Secondly, the strains KCCP 11349 and KCCP 11356 were observed to have high cell surface hydrophobicity with 63.9 and 98.8 %, respectively. Functionality of these potential probiotic isolates was supported by their antioxidant activity. Altogether, the strain KCCP 11349 showed characteristics similar to or even better than reference strain Lactobacillus rhamnosus GG. Finally, 16S rRNA gene sequencing was conducted to identify potential probiotic strains and KCCP 11349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4,000원
        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화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류로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미나리총채벌레, 파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고사 리그물총채벌레(Hercinothrips femoralis)가 보고되었다. 특히 꽃노랑총채벌레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와 국화줄기괴저바이러스(CSNV)를 매개, 확산시켜 국화 품질저하, 생산성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한편 고사리그 물총채벌레는 국화과, 장미과, 백합과, 사초과, 앵초과, 협죽도과, 후추과, 두릅나무과, 쐐기풀과, 천남성과, 꿀풀과, 선인장과 등 여러 식물을 가해하는 하는 것으로 국외에서는 이미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되고 있지 않다. 2018년 전북 완주군 이서면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국화 시험온실(무농약)에서 꽃노랑총채벌레와 고사리그물총 채벌레가 발견되었다. 해충이 없는 국화에 꽃노랑총채벌레와 고사리그물총채벌레를 각각 정착시켜 피해 증상을 비교한 결과, 2종의 총채벌레가 가해한 국화 잎에서 각각 다른 피해 양상이 나타났다.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누에는 약제, 면직, 식용, 동물 사료 등에 활용도가 높아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육되어 왔다. 뽕잎을 먹고 자란 누에가 사료를 먹고 자란 누에보다 생장주기가 일정하고 더 건강하게 생장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동물 장내 미생물이 동물의 면역과 생장에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뽕잎에 존재하는 미지의 미생물이 누에 생장과 면역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뽕잎 내생균을 분리하기 위해 뽕잎을 5mm 크기로 잘라 표면살균 후, 배지에 치상하여 자라나오는 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100개 이상의 뽕잎 절편으로부터 동일한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Pss)로 확인되었다. 또한, 뽕잎을 섭식한 누에의 장 속과 분변에서 이 균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누에에 병을 일으키는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Pss의 항진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 Cordyceps militaris와 식물병원성 곰팡이 Botrytis cinerea, Fusarium graminearum을 대상으로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 생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이 50% 이상 감소되었다. 특히, 다량의 포자를 생성하여 곤충에 치명적인 병을 야기하는 B. bassiana의 균사 생장이 C. militaris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Pss의 배양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 bassiana의 포자 발아가 지연되었다. 앞으로 누에 장 속에 안착한 Pss가 곤충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면역력과 누에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볼 계획이며 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정적인 누에 사육에 활용될 수 있는 미생물 제제를 만들고자 한다.
        7.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Ajuga multiflora BUNGE (AMB) extract on the toxicity of lead acetate (LA), environmental pollutan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XTT assay using cultured NIH3T3 fibroblasts. And also, the effect of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on LA-induced cytotoxicity was analysed. For the protective effect of AMB extract on LA-induced cytotoxicity, NIH3T3 fibroblasts were pretreated with 80 or 90 μg/mL of AMB extract for 2 hours before the treatment of LA. And also,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MB extract against LA-induced cytotoxicity were assessed by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LP). In this study, LA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dose-dependently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n XTT50 value was determined at 46.1 μM of LA. In the effect of BHT against LA-induced cytotoxicity, it effectively prevented toxic effect of LA by the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In the protective effect of AMB extract on LA-induced cytotoxicity, i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which was decreased by LA-induced cytotoxicity, and also it showed the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P.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ytotoxicity of LA is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and AMB extract effectively prevented the cytotoxicity induced by LA via an antioxidative effect. Conclusively, the natural substance such as AMB extract may be alternative resource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essential oil on wound healing rate, an epithelial attachment and collagen density in wound induced rat. This study was a 2×3 factorial design. Factors were treatment period (4 day and 8 day) and treatment type [saline (0.9% NaCl), tyrothricin, mixture of tea-tree, rosemary and melissa oil]. The samples were 24 rats with wound and randomly assigned to six groups of four rats per group.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a wound healing rate, an epithelial attachment and a collagen density were measured. Dependent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wo treatment periods and the three treatment types (p<.001).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reatment periods and treatment type in all dependent variables (p>.05). These findings will be provide bases to develop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patients who have wound to manage their wound.
        9.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AD의 주요 증상인 가려움으로 인한 피부상태 변화에 대한 국내자생허브로부터 추출한 ART오일의 회복효과를 확인하 고, AD 환자에 대한 치료방법으로서 활용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 하여 시도되었다. ART오일이 AD 피부상태 변화로 증가된 피부두 께, 비만세포 및 탈과립된 비만세포를 감소시킴으로서 ART오일 이 AD 환자 치료방법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동물실험 단계 에서의 나타난 효과를 치료적 측면에서 사람에게 적용하기 위해서 는 기초연구단계에서 보다 다각적인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아로마 오일을 이용한 AD 치료효과를 보고 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각각의 오일에 대한 반복적 연 구의 시도 및 선행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낸 아로마 오일간 의 비교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10.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ltivessel spontaneous coronary artery dissection is extremely rare. There are no guidelines regarding optimal treatment of spontaneous coronary artery dissection. The treatment depends on clinical symptoms, extent and location of the dissection, and the hemodynamic status of the patient. Althoug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might be required for all of the dissecting arteries, this case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an appropriate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ies for spontaneous coronary artery dissection.
        11.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소리쟁이(Rumex crispus L.) 추출물이 환경오염원인 염화카드뮴(CdCl2)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NIH3T3 fibroblast)를 재료로, 이의 항산화(antioxidation) 및 멜라닌화(melanogenesis)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CdCl2는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001), 이 과정에서 XTT50값은 45.7μM로 측정되었다. 또한, 이 값은 Borenfreund and Puerner에 의한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제인 vitamin E는 CdCl2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CdCl2의 세포독성을 방어하였다. CdCl2의 세포독성에 대한 소리쟁이 추출물의 영향에 있어서는, 소리쟁이 추출물은 CdCl2만의 처리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p<0.001), 또한 DPPH-라디칼 소거능(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 의한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멜라닌화에 있어서, 소리쟁이 추출물은 CdCl2에 의하여 증가된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과 총멜라닌양을 모두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CdCl2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소리쟁이 추출물은 항산화능에 의하여 CdCl2의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또한 소리쟁이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과 총멜라닌양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멜라닌화를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리쟁이와 같은 천연물을 대상으로 CdCl2 처럼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중금속계 환경오염원의 독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탐색 및 개발은 이의 활용적 가치가 크다고 생각된다.
        12.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명아주과(Chenopodiaceae) 식물인 함초(Salicornia herbacea L., SH) 추출물이 단백질 합성과 항독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CdCl2는 배양 C6 glioma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 때 중간독성값(midcytotoxicity value, MCV)은 50μM에서 나타나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있어서, CdCl2의 처리군에서는 세포수와 세포돌기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FSH 추출물 전처리에서는 CdCl2의 처리군에 비하여 현저한 세포수와 세포돌기의 증가를 나타냈다. 한편, acetaldehyde(ACE)는 배양 C6 glioma에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단백질 합성에 대한 냉동 함초(freezed-SH, FSH) 추출물은 CdCl2로 감소된 단백질 합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또한 항독효과에 있어서도 ACE의 독성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ACE에 대한 항독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비하여, 냉풍 함초(cold-SH, CSH) 추출물은 단백질 합성에 있어서 FSH 추출물 처럼 CdCl2의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항독효과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함초 추출물은 단백질 합성능과 항독효과를 나타냄으로서 건강증진을 위한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1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st vacuolar proteins are synthesized o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s a proprotein precursor and then transported to vacuoles. In vacuoles, they are converted into the respective mature form. TaVPE1 and TaVPE2 were isolated from the cDNA library that was prepared from the wheat kernels at 16 and 18 days after fertilization (DAF). Additionally, putative TaVPEs (TaVPE3, TaVPE4) were isolated by inverse PCR (IPCR) using GrainGenes database. Each open reading frame (ORF) encodes 495, 497, 495, 456 amino acids, respectively. TaVPEs were closely related in respect to peptide comparisons and their sequence homologies were ranged from 84% to 93%. The TaVPE genes showed various expression patterns in response to exogenous treatment of phytohormones. The transcript of TaVPE1 was detected slightly and steadily after exposure to all phytohormones and the accumulation of TaVPE2 transcript was increased from 24 hours in NaCl treatment. The transcript of TaVPE3 was increased from 48 hours in response to H2O2 and decreased after exogenous application of ABA and salicylic acid. In case of TaVPE4, the transcript of TaVPE4 were weakly detected all time points of each phytohormone treatment.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