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가로수, 공원 등에 수목이 많이 식재되어 우리 생활 주변에 녹지가 조성되고 있었고, 이를 생활권 수목 또는 도시숲으로 불리다. 이러한 생활권 수목의 증가로 따른 현상으로, 대상 수목을 가해하는 해충 또한 증가하였 다. 생활권 해충에 대한 방제 수단으로는 농약 살포, 나무 주사 등의 화학적 방제법이 있으나, 생활권 주변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농약 살포나 나무주사 등은 바람직한 방제 수단으로 여기기 어렵다. 이에,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중의 하나인 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제법이 하나의 대안으로 판단되어 수목 해충 중 나비목 해충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적용해 보았다. 대상 수목과 해충으로는 무궁화-큰붉은잎밤나방, 동백나무-차독나방, 왕벚나무- 복숭아유리나방으로, 잎을 가해하는 해충 2종과, 천공성 해충 1종을 선택하였다. 큰붉은잎밤나방은 무궁화의 가장 큰 식엽성 해충이다. 차독나방은 남부지역 동백나무에 발생하는 식엽성 해충으로, 접촉시 피부염을 일으켜 일부 관광지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복숭아유리나방은 줄기를 가해하는 천공성 해충으로, 화학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다. 본 발표에서는 큰붉은잎밤나방, 차독나방, 복숭아유리나방의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방제 효과와 방제 효과 평가법에 대하여 발표하고자 한다.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봉꿀벌은 한 마리 여왕벌을 중심으로 일벌 및 수벌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사회성 곤충이다. 꿀벌은 여왕벌 이 깨어나면 처녀비행 (반경 2.4~7.4km )을 하여 공중에서 여러 마리의 수벌들과 교미를 한 후, 자신의 봉군 내부로 돌아와 평생을 살아가는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계통 증식 또는 품종 육종에서 외부의 오염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여왕벌과 수벌이 격리된 지역에서 교미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여왕벌과 수벌이 격리될 수 있는 국내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격리교미 연구를 2020년부터 2023년 봄부터 가을까지 수행하 였으며, 육종을 위한 격리교미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서지역은 전남 - 낙월도, 전북 - 위도, 왕등도, 식도에서 수행되었으며, 섬 크기, 경관 환경 요인, 교미 시기 등에 의해 격리교미의 성공률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4.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urists tend to conform to the majority in their purchase decisions to avoid negative outcomes. Therefore, newly developed yet unpopular tourism destinations are facing difficulty of promotion. On the basis of evolutionary psychology,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echnique of selling unpopular tourism destinations based on tourists’ mating motive, as implied by evolutionary psychology.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situations when people conform to the majority, whereas a few studies have indicated that individuals also deliberately follow the minority in purchase decisions (Chan et al., 2012; Wang et al., 2012). Research indicates that individuals tend to showcase unique products to attract mates (Chen et al., 2022; Durante & Griskevicius, 2016). Tourists’ mating motive may be activated when their travel decisions are related to mating succes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o display differentiation, tourists with activated mating motives are more likely to choose minority-endorsed (vs. majority-endorsed) tourism destinations. Moreover, to verify the evolutionary explanation of tourists’ preference for minority-endorsed destinations, the current study also tests the mediation effect of uniqueness seeking,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consequence of mating motive and an antecedent of individuals’ disconformity to the majority (Griskevicius, Cialdini, et al., 2006; Imhoff & Erb, 2009). Based on a scenario-based experiment,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mating motive on tourists’ preference for minority-endorsed tourism destinations. First, tourists’ mating motives positively influence their preference for minority-endorsed tourism destinations. Second, tourists’ uniqueness seeking fully mediates the effect of mating motive on preference for minority-endorsed tourism destinations. The findings inform the tourism industry an effective way to promote unpopular destinations. Tourists are inclined to follow the choice or opinions of others, particularly when tourists are highly uncertain about their decision outcomes. Therefore, tourism marketers usually utilize social clues in their promotion messages such as “popular choice” and “best sellers.” However, newly developed tourism products that lack awareness, though providing high-quality experience, are facing tremendous difficulty of selling.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the less popular destinations can be rebranded and promoted to target romantically motivated tourists.
        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음향탐지기법을 적용해 국내에서 국지적인 위치에 서식하는 참깽깽매미의 번식울음을 분석하여 서식지 분포를 확인하고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20개소를 선정하였다. 번식울음 분석기간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4년(2020년 제외)이었다. 번식울음 녹음은 각 연구대상지에 생물음향 녹음장비를 설치하여 시간당 1분씩 365일 수집하였다. 기후 데이터는 온도, 습도, 강수량, 전운량, 일조량 등 기상청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깽깽매미 서식처는 연구대상지 20개소 중 강원도 고지대 4개 국립공원(설악 산, 오대산, 치악산, 태백산)에서만 확인되었다. 4년간 참깽깽매미 번식울음 시기는 8월 5일에서 9월 28일 사이였고, 번식울음 기간은 31~52일이었다. 참깽깽매미 출현시기 내 온도 분석 결과, 참깽깽매미는 최저 13.1°C, 최고 35.3°C 사이의 온도에서 주로 번식울음을 내었고, 번식울음 일주기 시간대(09~16시)의 평균기온은 24.4~24.9°C로 나타났다. 참깽깽매미가 출현한 연구대상지 4개소의 2019년 번식울음 일주기를 분석한 결과, 참깽깽매미는 06~16시까지 번식울음 을 내었고 11~12시경 피크를 보였다. 참깽깽매미의 출현기간 내 참매미, 애매미, 유지매미, 늦털매미 4종이 공통 출현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참깽깽매미의 번식울음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은 일조량으로 나타났다. 종간영향에 있어서 다른 공통출현종 4종(참매미, 애매미, 유지매미, 늦털매미)과 종간영향을 주고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참깽깽매미는 우리나라에서 강원도 고지대를 중심으로 한정적으로 서식하며 다른 종과 비교하여 낮은 온도에서 번식울음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향후 참깽깽매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4,200원
        1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the sexual maturity time of B. ignitus. In investigating ovary development, the time of sexual maturity of queen was 10 days after eclosion. In case of male, the number of sperm was 246 thousand at immediately after eclosion, and was highest as 480 thousand at 9 days, and tended to show a dramatic decline at 35 days (87 thousand). In consideration of number of sperms, the time of sexual maturity of male was 3-15 days after eclosion. In the sexual maturity time of queen in mating, the queen was not mated at immediately after eclosion, and showed a decrease in 20 days. On the other hand, the male showed 3.3% of mating at immediately after ecolosion, showed the highest of 43.3% at 6 days after eclosion, and tended to decrease in 25 days. In summary, sexual maturity time of B. ignitus in reproductive organs and mating is most favorable in 9-12 days after eclosion for queen and 6-9 days for male.
        2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moth, 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 regulates pheromone biosynthesis by binding to its receptor (PBANr). In this study, we cloned a PBANr gene (Mvi-PBANr) from sex pheromone gland in M. vitrata, which encodes 475 amino acid and includes 7 transmembrane domains. As a results of phylogenetic analysis, Mvi-PBANr is clustered with lepidopteran PBANrs. Mvi-PBANr was investigated for the effect of pheromone biosynthesis via RNA interference (RNAi), gas chromatography (GC) and bioassay. Consequently, expression level of Mvi-PBANr suppressed via RNAi, resulting in decrease pheromone component (E10E12-16:Ald). Mating rate was also reduced when performing the RNAi. These results revealed that Mvi-PBANr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pheromone biosynthesis in M. vitrata, and Mvi-PBANr can be used as new pest control target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