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기뿔소똥구리 (Copris tripartitus)는 배설물 분해를 통해 환경정화와 생태계 균형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농약 사용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되고 있어 2017년 환경부에서 애기뿔소똥 구리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하였다. 애기뿔소똥구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활용한 선행연구가 발표되었지만 유전자원 확보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애기뿔소똥구리의 성장, 면역 및 생식과 관련된 유전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Illumina HiSeq 4000 platform을 활용하여 전사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Illumina HiSeq 4000을 통해 확보된 전사체 데이터를 Trinity 프로 그램을 통해 de novo assembly를 진행하여 contigs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contigs를 TGICL 프로그램을 통해 clustering 하여 unigenes을 확보하였다. 이후 확보된 unigenes는 PANM DB 및 Swiss-Prot, KOG, InterProScan, GO, KEGG를 기반으로 한 BLASTx를 사용하여 annotation을 진행하였다. 25,106개의 unigene 중에서 23,289개가 PANM DB에 annotation 되었으며, Swiss-Prot, InterProScan에서는 각각 19,660개, 13,545개의 unigene이 annotation 되었다. KOG 분석에서는 ‘general function prediction only’ 범주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GO 분석에서는 ‘Molecular Function’ 카테고리에서 가장 많이 annotation 되었다. KEGG 분석을 통해서는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cessing’ 항목이 높은 발현을 보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확보된 기능적 데이터는 야생에서의 보존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omyrhessus Minkina, 2024, is a rare genus comprising six species, recently erected from Myrhessus Balthasar, 1955 for N. nanjingensis. To date, all six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East Asia, with five from Japan and one from China. In this study, the genus Neomyrhessus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with the discovery of a new species Neomyrhessus coreanus sp. nov. Description, illustration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habitat information for a new species are provided.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Stenotothorax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Peninsula. While working on Korean Aphodiinae, we identified Stenotothorax hibernalis (Nakane & Tsukamoto) from the Goseong-gun, Gangwon Province. This species was found in the northern region of South Korea. A key to Aphodiini genera in Korea, habitu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s are provid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lower chafers (Coleoptera: Scarabaeidae: Cetoniinae) are globally distributed, comprising approximately 4,000 described species. They primarily feed on nectar and sap of deciduous trees. The larvae exhibit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crawling on their backs, distinguishing them from other scarabs. Additionally, the majority of flower chafers fly with their elytra closed, unlike other scarabs that fly with fully opened wings. Šípek et al. (2016) conducted the first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to investigate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characters of elytra related to the flight mode. Building upon this study, we infer the diversification times and rates of Cetoniinae and its subgroups, and reconstruct the evolutionary process of flight mode transformation. Furthermore, we discuss the current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topic.
        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taxonomic study of Korean Psammodiini is present. Seven species [Rakovicius coreanus (Kim), Leiopsammodius japonicus (Harold), Psammodius flavolittoralis Kim, Psammodius hangangensis Kim, Psammodius sungshinarum Kim, Rhyssemus inscitus (Walker), Trichiorhyssemus asperulus (Waterhouse)] belonging to five genera are recogniz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 pictorial key, habitu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he diagnostic characters of Korean Psammodiini speci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6.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olbe)]의 적정 사육 밀도를 구명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발육기간이 긴 3령 유충을 대상으로 밀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3령 유충기부터 번데기까지의 발육기간과 3령 유충부터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모두 30마리 밀도에서 가장 짧았다. 하지만, 번데기에서 성충까지 걸리는 시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충의 외형적 특성도 밀도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중 20마리 밀도 조건에서 사육된 성충은 무게와 체장, 체폭이 가장 우량하였다. 암수의 외형적 특성 차이는 주로 20마리 조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암컷은 밀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수컷의 경우는 모든 외형적 특성에서 밀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20마리 조건은 다른 조건보다 성충의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흰점박이꽃무지의 3령 유충은 3L 사육상자에 30마리 밀도 조건으로 사육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를 통해 3령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사료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4,000원
        1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줄똥풍뎅이속은 호흰개미성인 줄똥풍뎅이족에서 가장 많은 종수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에는 광양줄똥풍뎅이 한 종만이 기록되었으나 또 다 른 종인 Rhyparus helophoroides Fairmaire, 1893를 새로이 발견하여 보고한다. 본 종의 진단형질과 그 사진, 한국산 줄똥풍뎅이속의 검색표의 제 시와 함께 생태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제공한다.
        3,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