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6

        18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의 자형은 소전에서 예서로 이행되면서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변화의 큰 특징은 동일한 部件이 結構에 따라 모양을 다르게 쓰거나, 서로 다른 部件인데 같게 쓰며, 하나의 部件인데 두개 이상의 部件이나 필획으로 絶離되거나, 각각 독립된 部件인데 하나의 부건처럼 결합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異字同形인 경우로 ‘奉, 春, 奏, 秦, 泰’의 상부 ‘ ( )’는 소전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한 서로 다른 部件2개 이상이 隸變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 것이다. 同字異形인 경우로 人은 소전에서 어디에 위치하던 모두 ‘ ’로 썼는데 隸變에 의해 ‘亻,人, 卜, , , , ’ 등으로 변화됐다. 信에서는 亻, 企에서는 人, 에서는 卜,色에서는 , 及에서는 , 北에서는 , 監에서는 으로 썼다. 火의 경우도 灼에서는 火, 然에서는 灬, 尉에서는 小, 赤에서는 , 光에서는 으로 그 형체를 달리하여 썼다. 이렇게 異字同形이나, 同字異形의 한자들을 한데 모아 가르치면 효과적인 字源학습이 될 것이다. 字音活用의 字源敎育은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漢語의 변화발전을 고려한다면 자형보다 자음이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형보다도 자음이 더 먼저 출현하였고, 자형과 자음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나무를 가로 세로로 얽어놓은 모양을 그린 ‘冓’가 聲符인 溝, 構, 講, 媾, 遘등은 모두 交合의 뜻을, 손가락이 교차함을 나타낸 叉가 聲符인 杈, 衩, 汊등은 나뉘거나 교차함을, 句가 聲符인 狗, 豿, 駒등은 동물의 새끼를, 鉤, 枸, 軥, 笱, 拘, 痀, 朐등은 구부러진 것을, 古, 曷, 夬가 聲符인 枯, 涸, 姑, 竭, 渴, 決, 玦은 부족하거나 결함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음과 뜻이 같거나 비슷한 一群의 한자들을 함께 모아 한문교학에 응용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이다. 在는 才와 土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초기 예서에서는 ‘ ’처럼 썼지만 隸變 과정 중에 才가 ‘ ’처럼 변하고, 結構도 좌우결구가 아닌 상하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변하였다. 及은 상부 人과 하부 又로 이루어졌는데 예변과정 중에 상부 人이 ‘ ’로 변한 것이다. 이는 하부에 있는 ‘又’의 첫 번째 획과 연결 書寫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益은 水와 皿을 상하로 결합시켜 그릇 위에 물이 넘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상부 水는 隸書단계에서 옆으로 뉘어 ‘ ’로 쓰기 시작하였다. 志는 상부 之, 하부 心으로 구성된 형성자이다. 赤은 상부 大, 하부 火로 구성된 회의자이다. 勳은 熏과 力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書寫시 상부 과 하부 灬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다. 이는 문자구성원리에 맞지 않는다. 한자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한문학, 한문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를 위해, 한문과의 외연확대를 위해 한자학은 필수 불가결하다. 한자학의 활성화를 위해 한문교육과에 전공강좌 개설과 임용고사에 한어문자학을 반영해야 한다.
        10,800원
        182.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organizationally and suggest specific data of teachers' teaching behavior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raise the efficiency of class through the intervening the teaching behavior of desirable teac
        6,600원
        183.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e difference of learning behavior between learners taught by the educational practice teacher and learners taught by the experienced teacher as well as the teaching behavior of both the educational practice teacher
        6,100원
        18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ongoing influence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upon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and attitud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attitudinal and instructional changes after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thereby identify either favorable or unfavorable factors affecting such changes in classroom setting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to see which teacher training programs teachers preferred, uncover any changes in instructional behavior and attitudes as well as factors related to said changes, and gather suggestions for prospectiv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additional data, four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eachers believed that a teacher’s techniques rather than their English proficiency have the most direct influence upon effective English instruction; 2) changes in both behavior and attitudes are observed for only a short period right afte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3) a major factor impeding change i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nglish language curriculum and actual classroom instruction, which is largely due to the washback effect of the requirements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required for college admission.
        8,700원
        18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attempt to introduce a new teaching method for Spanish grammar education, based on the Movement theory of the Generative Grammar and we want to show that this new method can explain Spanish grammar phenomenon more easily and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school grammar. For this purpose, we start with some nominal phrases and simple sentences of the Korean and Spanish languages. We find out the basic difference of the two languages by comparing their nominal phrases and simple sentences from the point of view of Movement theory. The difference is that the Korean language does not have movement phenomenon but the Spanish language does. This difference is consistent in all of complex clauses with relative pronouns. We show that with this theory we can teach Spanish nominal phrases, simple clauses, exclamative clauses and relative clauses in a unitary and effective method of explication without a supposition ad hoc.
        5,400원
        18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중등 과학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대해서 어떠한 지향을 하고 있으며, 그것이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미만의 과학 교사 6명이다. 자료 수집은 수업 관찰 및 녹화, 구조화된 심층 면담과 우선순위 면담, 수업 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면담 자료를 전사한 후, 분석틀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과학 교사들은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해 '관리 중심 과학 수업'에서부터 '전통적 과학 수업'까지 지향하고 있었으며,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은 지향하지 못하였다. 지향하는 바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한명의 교사는 전문 단계의 실행 수준을 보여주었지만, 나머지 교사들은 초보 단계의 실행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교사들에게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한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88.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potential and difficulties of reflective teaching through keeping teaching journals. The focus of reflection was also examined. Six primary English teachers wrote teaching journals throughout one semester. And they were interviewed regarding keeping teaching journal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n the contents of teachers’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analysis of teachers’ journals shows that their reflection included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on the use of learning activities, the problems of learner differences in English ability,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the structure of lessons, their role as a fully charged English teacher, the use of classroom English, and the concern abou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talk. The data analysis also reveals that the teachers considered journal writing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and improve their teaching, thus being a mea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n English teacher. However, the lack of time and not being familiar with keeping teaching journals were perceived difficulties in keeping teaching journals. Furth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follow-up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on and discussion with other teachers or teacher educators were needed for journal writing to be a more beneficial tool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6,300원
        18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rticle proposes some ways for improving students writing skills while teaching Russian in Korean universities. One has to admit that existing textbooks cannot be efficiently used in groups which include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 of language competence (such situation is currently common in Korean universities). Hence teachers need methods which, being are used together with textbooks, allow to raise learning efficiency in such non-homogeneous environment. One of the proposed ways is the use of private photos which should be prepared by students in advance. Such photos are necessarily related to individual memories of each student, so during exercises students rely on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s evoked by the pictures. To describe a situation depicted by the photos, students are asked to write down some sentences. In her turn, a teacher should also suggest some questions connected with a situation which is reflected by a photo. A usual set consists of six questions (as a rule, with inclusion of the most widespread interrogative words: “when”, “where”, “who”, “what”, “how”, “why”). On each question the student should give a full answer in writing. The questions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grammar studied by the students. Another proposed method is based on use of the short texts of Russian fiction. Since most Korean students are interested in Russian literature, these materials are quite useful. For exercise I usually chose Pushkin’s poem I loved you. This poem is not only a remarkable literary piece, but also possesses peculiar and representative grammar structure. Teacher asks students to count verbs, adjectives, and nouns which are encountered in the text of the poem. Then they should conjugate the verbs and decline the nouns and adjectives, to demonstrate the forms used in the dictionaries. This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peculiar features of cases and conjugations. After they have mastered all words in the text, poem is divided into fragments which should be arranged in correct order. As a result students get acquainted with of Pushkin‘s language, and also learn some features of Russian verses. These methods encourage interest among students and can be successful used while teaching groups of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 of language skills.
        5,500원
        19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100원
        19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changing status of vocabulary, the notion of vocabulary has been broadened from single words to multi-word expressions or units. Many lexicologists focus on vocabulary rather than grammar, and maintain that these lexical units or collocations are the most powerful force i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language. Little action research, however, has been performed to identify the best practices and to aid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in a real classroom. Collocational approaches to vocabulary acquisition view the basic premise of language learning as noticing and acquiring multi-word units like individual words. Focusing on this concept, this research presents practical collocation teaching methods, beginning with a brief definition,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the most commonly occurring collocations. It suggests eight collocation- teaching methods, to be directly used in classroom activities. Finally, implementation of the suggestions presented here will produce more meaningful and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so that the EFL learners acquire knowledge of the English language more communicatively.
        6,300원
        19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높일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관심을 모으고, 한자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일깨워 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내가 직접 자료들을 만들어서 학생들과 같이 수업을 할 수 있을까?’하는 문제점에서 출발을 했다. 본 논고에서는 컴퓨터, 실물 화상기, 빔 프로젝터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 측면의 멀티미디어 매체들의 소개와 운영방법 보다는 멀티미디어 매체들을 활용하여 수업에 직접 투입할 수 있는 자료들을 제작할 수 있는 Flash와 Swish등을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정과 방법, 그리고 운용 등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 제시된 자료들은 실제 수업에서 사용했던 것들이며, 이미 제작되었던 것들을 활용하거나 다른 여러 멀티미디어 도구들을 활용하여 제작한 것들로서 1) 기억력을 이용한 한자카드 교수-학습 자료, 2) 모양이 비슷한 한자를 이용한 교수-학습 자료, 3) 한자 조각 맞추기 교수-학습 자료, 4) TV 프로그램을 응용한 한자어 맞추기 교수-학습 자료, 5) 한자를 직접 입력하여 성어를 맞추는 교수-학습 자료, 6) 언어생활의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등이다. 필자는 Flash와 Swish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수-학습 자료를 직접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과 호응도를 알아보았다. 板書만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수업을 한 경우 보다는 Flash나 Swish로 제작된 자료를 수업에 활용과 놀이학습을 통해 수업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었고, 다양한 방법의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으로 창의적인 수업이 가능하였으며, On-line과 Off-line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자료를 제공하여 개별 학습과 반복학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세상은 정보의 홍수와 변화 속에 끊임없이 변해가고 있다. 급격한 변화의 흐름 속에 학교도 예외일 수는 없다. 다양한 정보의 양과 변화가 학교 현장에서도 느껴지고 있으며, 많은 교사와 학생들이 그 흐름을 느끼며 같이 변화되어 가고 있다. 많은 교사들이 혼자 혹은 모임을 통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개발하고 Data-Base를 구축하며, 함께 개발된 자료들을 공유하여 더 나은 교수-학습 자료들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문과 역시 그 변화의 물결에 발을 맞추어가야 한다. 한문교사로서 전공인 한문과목에 대해 꾸준한 연구와 교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자료 개발의 토대인 컴퓨터, 멀티미디어, 정보 등에도 끊임없는 연구와 관심이 있어야 한다. 교사 단 한 사람이 너무도 급격하고 다양하게 변화되는 물결 속에 모든 것을 대처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그러나 여러 사람이 같이 변화를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보다 나은 수업을 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경주하여 그 속에서 만들어지는 아이디어와 교수-학습 자료개발에 대한 정보들을 함께 공유하여 좋은 것은 발전시키고, 문제점들을 과감하게 수정하고 보완한다면 더 나은 교수-학습 자료들을 개발하고 창의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는 더 나은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초석이 될것이다. 개발된 자료들은 언제나 다른 교사들과 함께할 수 있도록 배려 되어야 한다. 그 속에서 교사들의 참여가 유도되어야하고, 함께 제작하고 응용해나가는 과정에서 더 나은 자료들이 개발되어져야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은 과감하고 겸허하게 수용하여 발전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6,900원
        19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도는 학습정보를 장기간에 걸쳐 기억하게 해주는 기능 뿐만 아니라 자연현상 및 인문현상을 비교적 짧은 기간에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는 지리학습에서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기후도를 통하여 탐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제해결 기법을 원용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이 모형을 이용하면 교사들은 교수활동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학습자의 이해를 보다 흥미있게 증진시키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행평가를 수행하는데 좋은 평가도구가 되리라 사료된다.
        4,000원
        195.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600원
        196.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97.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영재학교의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의 인식을 밝히고 과학과 실험수업의 실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과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 교수·학습방법 평가 방법에 관한 설문 결과와 과학과 실험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수학 및 과학 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영재학교 과학과 수업시사간에 주로 사용되는 수업방법으로는 강의나 설명, 조별수업, 토론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법으로는 강의나 설명, 토론 외에도 탐구학습, 개인연구, 문제해결학습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평가방법은 지필 평가와 보고서평가, 실험 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학교 과학실험 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교사 질문의 수준에 따라 교사-학생 상호작용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고, 실험과정 중에는 학생-학생 상호작용에 의해 탐구활동이 활성화되었다.
        4,200원
        19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임상실습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과정 구성과 실습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2003년 8월 전국대학작업치료 교수협의회에 참석한 전임강사 이상의 교수(총 45명중 32명 참석)를 대상으로 임상실습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 32부 중 총 26부를 가지고 각 응답에 대한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교육 분야의 실습지도에 있어서 우선 임상실습기관선정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있지 않는 학교가 4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에서 실습지도자의 교육 및 지도가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다’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24%가‘대체로 그렇다’라고 대답하였다. 임상실습기관과 대학과의 연계성을 묻는 항목에서 협동체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46%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이유에는 임상실습기관의 무관심(40%), 교수의 노력부족과 무관심(18%)때문이었다. 임상실습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임상실습기관의 환경이 좋지 못하다’가 32%를 차지하였고, 임상실습에서 통일되어야 하는 사항으로는 학생평가양식(41%)과 실습기록지(38%), 기준성적 (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기간 동안 학생들에게 적절한 호칭으로는 ~선생(54%), ~실습학생(42%)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대학과 임상실습기관은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과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한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고, 교육 프로그램과 실습 평가 방법, 현장실습비용 등의 문제에 있어서도 전체적인 통일된 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통일된 임상실습 지침서가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4,500원
        200.
        200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