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7

        181.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ttempt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forage legume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10 forage legume crops suitable for the central region of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stock carrying capacity. In the results, red clover showed fresh matter yield 38.6 ton/ha, dry matter yield 7.8 ton/ha, crude protein yield 1.0 ton/ha,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yield 4.6 ton/ha, its fresh matter yield,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yield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other species. The value of neutral detergent fiber(NDF) and acid detergent fiber(ADF) were getting higher by the late harvest time then galega and cicer milkvetch were the highest and yellow suckling clover was the lowest value. Relative feed value(RFV) showed good feed values above 100 except cicer milkvetch and galega. In terms of feed grading, yellow suckling clover, yellow blossom sweet clover, crimson clover, hairy vetch were classified into 1st grade, above 151%. The average stock carrying capacity was yet high Kcp(2.18 head/ ha/yr), KTDN(1.25 head/ha/yr) and K(0.04 head/ha/yr). Especially, red clover had the highest stock carrying capacity, Kcp 6.84 head/ha/yr, KTDN 3.64 head/ha/yr and K 0.05 head/ha/yr. According to results, red clover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crops for the central region, in terms of qual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18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forage crops proper application levels of livestock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for organic livestock, as influenced by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levels compared with chemical fertilizer to corn and sorghum × sorghum hybrid, in order to produce organic forages by utilizing livestock manure. For both corns and sorghum × sorghum hybrids, no fertilizer plots had significantly (p
        18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수원의 작물과학원 논포장을 년차간 순차적으로 밭으로 전환하고 또 밭상태에서 우분을 누적투 입하면서 호밀과 옥수수의 윤작을 통하여 질소와 관련된 토양 특성, 작물의 건물수량 및 질소흡수량을 조사하였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논의 밭전환 1년차에는 밭사료작물, 특히 답리작 호밀의 생육과 수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그에 따라 우분시용에 의한 무기태질소 등 양분의 이용효율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전환년차의 증가와 함께 밭사료작물의 수량과 질소흡수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밭상태에서 전환3년차까지 우분의 누적투입은 토양에의 무기태 질소공급과 더불어 옥수수의 수량, 질소흡수량 및 우분질소 이용률을 계속적으로 증가시켰다. 그 증가는 전환년차 증가에 따른 논토양 자체의 질소공급보다는 주로 우분시용에 의한 토양물리성 개선, 토양탄소 및 무기화 가능한 지력질소(가급태질소) 증가 등 지력증진에 크게 기인하였다. 따라서 전환밭에서 정상적인 밭사료작물의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전환2년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였으며, 이때 우분의 투입은 토양에 무기태질소 공급뿐만아니라 토양유기물 등 지력증진에도 효과적이었으며, 또한 그것이 누적적으로 투입될 때 그 효과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6.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노천이장한 경우 발아가 양호하여 단위면적당 입모수가 많았는데, 1992년산 무처리구의 187개/m2 에 비하여처리종자는 292개/m2 였으며, 1991년산 처리종자구는 78개/m2 로 입모가 불량하였다. 2. 생육초기의 생초생산량은 단위면적당 개체수와의 관계가 높았으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서 개체수의 효과는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3. 1차 예취시의 예취높이를 5cm로 하였을 때는 10cm에 비하여 생초수량이 높았으나 2차 예취시의 수량은 떨어졌다. 그러나 총수량은 예취 높이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미국개기장은 번종후 40~50일부터 예취를 시작하여 1개월 간격으로 3~4회 예취가 가능하였으며, 10a당 생초수량은 9~10톤, 건초수량은 1.4~1.8톤 이었다. 5. 예취시기에 따른 미국개기장의 생초와 건초수량은 생육기간 및 생육기간의 적산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 =0.711~0.860). 6. 파종기가 빠르고 예취시기가 이를수록 엽신의 비율이 높았다. 7. 미국개기장은 조단백질 16.32%, 조지방 24.01%, 조회분 11.59%를 함유하고 있어서 다른 화본료 사료작물에 비하여 품질이 좋은 편이었다.
        187.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원지역에서 토성 및 지하수위를 달리하는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 실험포장(사양토)과 작물시험장 벼 재배포장(식양토)을 선정하여 월동 청예 사료작물 3가지와 하기 청예사료작물 4가지에 대한 생육 및 수량반응을 검정하고 초기 전환밭에서 재배에 적합한 작물의 검색과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작물별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과 1993년에 실시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된 7종의 사료작물들은 지하수위가 낮고 상대적으로 사질성인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포장에서 더 좋은 생육 및 수량을 보였으며, 두 포장 모두 하기 청예용 사료작물의 재배시에는 습해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월동 청예용 사료작물 중에서는 트리티케일이 평균 1052kg/10a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으며 두 포장간의 건물수량 차이도 보이지 않아 전환 밭에서의 월동 작물로 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호밀은 두 포장간의 차이가 있어서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이 있었고,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평균 41.6%의 낮은 월동률을 보여 위도가 높은 수원지역에서는 전환밭 재배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하기 청예사료작물 중에서는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이 평균 1139kg /10a 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수수-수단그라스 잡종과 진주조, 사료용 옥수수는 토성간의 건물수량의 차이가 있어서 식양토 전환밭에서는 습해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사료용 피는 두 포장간에 수량차이가 없었다.
        189.
        199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숙옥수수를 포함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구성시 조숙옥수수의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만파시밀식재배를 시도하였다. 조숙옥수수로는 Comet80, Comet85, Linda 품종을 이용하였고 만파정도는 수원19호 적기보다 45, 55, 65일 만큼 늦게 파종하였다. 파종밀도는 각 파종기에 대하여 60 20, 50x20, 40 20cm로 밀식정도를 달리하였다. 각처리구의 수확은 8월 29일 일괄실시 하였는데 조숙옥수수의 이러한 처리에 따른 수량구성특성 변화와 조숙옥수수의 촉과작물 작부체계도입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6월 22일까지 파종에서 건물수량은 Comet85, 수원19호 Comet80, Linda 순이었다. 2. 6월 12일까지의 파종에서 수원19호의 이삭비율은 6.7%이었는데 비해 Comet80, Cometss, Linda의 평균 이삭 빈율은 40.3%이었다 3. 조숙품종의 밀식에 의한 건물수량 보상효과정도는 6월 22일까지 파종에서 20x50cm밀도가 20 60cm밀도에서 보다 평균 37.3% 증수하였다. 4. 만파시 Comet85는 수원19호보다 평균 24.1 % 많은 TDN을 생산하였다.
        190.
        199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염해의 기작을 구명코저 몇가지 작물을 공시하여 해수처리가 광합성, 근호흡 및 증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추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도차이에 따른 상대증발산량과 상대광합성량은 처리후 4일간의 일변화에서 그 반응이 상이하였으나 공시작물 4종 모두 저온구(11-16℃ )에서 고온구(22-24℃ )보다 높았다. 2. 상대증발산량과 근호흡량의 상관에서는 orchard grass는 r=0.996** , alfalfa는 r=0.828* , white clover에서는 r=0.996** 을 나타냈으나 tall fescue에서는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없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3. OED(증산억제제) 처리에 따르는 증발산량과 근호흡량은 전공시 작물이 해수처리구가 수도수처리구보다 근호흡 및 증발산량을 감소시켰으며, OED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zeolite구가 모래구 보다 적었다. 4. 해수처리에 다른 근부의 피해상태는 orchard grass 및 tall fescue에서는 근부의 피층이 갈변하였고 alfalfa와 white clover에서는 피층부분이 수분침수에 의해 변색되었다.
        191.
        198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함 남부지방에서 호밀 - 옥수수 작부체계와 옥수수 - 귀리 혹은 옥수수 - 유채 작부체계의 사료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1986-1987년에 시험을 하였다. 호밀(팔당호밀)은 1986년 가을에 파종하여 1987년 4월 5일부터 5월 10일까지 5일간격으로 8회 수확하엿고, 옥수수(수원 19호, 진주옥)는 4월 5일부터 10일 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황연기에 수확하였으며, 귀리(메귀리)와 유채(Velox)는 9월 4일부터 7일간격으로 4회 파종하고 11월 10일부터 12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회 수확하여 파종기와 수확기별로 담근먹이와 청예수량, 및 사료가치을 분석하여 옥수수를 중심으로 한 작부체계 사료생산성을 비교하였다. 1. 호밀은 수확기가 늦을수록 초장, 건물수량, 건물비율, 조섬유, 가소화 건물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조단백질, 조지방, 건물소화률은 감소하였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수확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옥수수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흑조위축병 이병률이 높았고 담근먹이의 수량은 감소하였다. 품종간에는 어느 파종기에서나 진주옥이 수원 19보다 흑조위축병 이병률은 낮고 수량은 높았다. 3. 귀리와 유채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수량이 감소하였다. 9월 4일과 11일 파종의 11월 10일 수확에서는 귀리가 유채보다 수량이 낮았으나 수확기가 늦을수록 차이가 적어져 12월 10일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9월 18일과 25일 파종에서는 어느 수확기에서나 귀리가 유채보다 수량이 낮다. 4. 사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고려하면 호밀 - 옥수수 작부체계는 4월 20일경에 호밀을 수확하고, 4월에 가능한 한 빨리 파종하여 8월 중순에 수확하고 곧 귀리나 유채를 파종하여야 하며 수량성은 호밀 - 옥수수 작부체계와 비슷하였다.>30cm의 재식밀도하에서 유효경 비율이 90% 이상되었다.˚C처리기간중에는 근의 부위에 관계없이 Rf치가 낮은 쪽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높은 쪽에서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인삼근에 있어서 신아의 휴면타파 및 맹아는 ABA와는 별로 관계가 없고 온도숙건에 지배되어 나타나는 GA의 생합성 능력과 그 생합성에 의한 활성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0.2045, 0.1208, 0.2248로 추정되었다. 산란율과 난중과의 관계는 0.6233, -0.2259, 0.2973, 500일영 체중과는 0.2417, 0.0774, - 0.4787로 추정되었다. 산란지수와 난중과의 관계는 0.6171, -0.2706, 0.4579,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 0.3082, -0.0792, -0.3368로 추정하였다. 난중과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는 0.2742, 0.2205, 0.1354로 추정되었다.)에서 47.4%의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고 다음 성계(150일영이상)에서 35.3% 및 유추(30 일영미만)에서 17.3%의 순이었다. 이중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은 육성계에서의 검색률이 가장 높았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은 육성계 및 성계에서 거의 같은 비율로 높았으며 곰팡이성 질병은 유추에서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다.17) 사료비절감은 생산비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공동구인 자가배합을 하여 자기실정에 맞는 경영체질로 운영하고 있었다. (18) 인건비가 생산비의 15∼20%의 비율이며 또한 사람 구득난이라 가족노동을 최대한 활용, 관리를 하고 있으며 생력화를 위해 기계화, 자동화되어 가고 있었다. 애정과 정성심있는 관리로 닭을 스트레스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해 가족관이, 기계자동화가
        192.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estuca속의 토올페스큐와 메도우페스큐, 그리고 Lolium속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들 간에 종속간 잡종을 얻기 위하여 기내수분과 기내배양을 실시하였다. 이들 작물들의 자방과 화분을 채취하여 소독을 하고 주두수분, 주두제거 수분, 배주수분의 3가지 방법으로 기내수분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배발육상태를 MS, N6 , White's의 배지종류와 IAA Kinetln, BA의 생장조절물질의 처리로서 비교하였다. 1. 토올페스큐, 메도우페스큐,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상호 조합간 기내수분에서 44~92%의 수정율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주두수분은 평균 67.8% 주두제거 수분은 평균 89%의 수정율을 보였으나 배주수분은 평균 61 %로 낮았다. 2. 화본과 수정배주에서 배발육을 촉진하는데는 White's 배지가 가장 효율적이었고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처리는 IAA(10mg/ )와 Kinetin(0.2 mg/ )의 혼합처리가 무처리보다 효과적이었으나 발아율은 극히 저조하였다 3. 기내배양으로 성숙 배주의 배부조직에서 유관책의 형성과 시원체조직의 분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주 내부에 후막세포들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196.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urgrass는 하와이를 비롯한 미국남부와 남아메리카 전지역의 목야지에서 가장 문제되는 다년생 잡초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 잡초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되어 있지 않으므로 발아 및 생육 그리고 방제방법으로 사료작물과의 경합에 의한 목야관리를 통해 제거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ourgrass의 발아적온은 조명하에서 20∼30 C 또는 25∼35 C의 변온이나 30 C의 항온이었다. 암조건하에서는 25∼35 C의 변온을 제외하고는 불량하였다. 2. 암조건하에서는 발아가 억제되었으나 GA를 처리하므로 매우 향상되었다. 3. 발아율은 수분흡수 억제가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4.0바아 이상이 되어야 비로소 급격히 떨어졌다. 4. 재식밀도와 건물중과는 고도의 부의 곡선회귀 관계가 있었다. 5. Sourgrass는 Buffelgrass 혹은 Guineagrass와 경합하므로 생육이 심히 억제되었으며 자연조건하에서 목야관리를 통해 제거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197.
        197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compare the forage value and to promote the growth without the hindrance of rice transplanting period for several forage crops as prior crops of paddy fie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ree kinds of foliar application, such solution as Urea, Gibb. and Gibb. +Urea were applied to promote the growth. The results g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forage crops, there were large difference of yields. The rankings of yield were shown as follows; Fresh weightㆍDry weight : Oats. Italian rye grass. White clover. Corn. Soybean. Crude protein content: Soybean. White clover. Corn. Italian rye grass. Oats. Crude protein Yield: White clover. Italian rye grass. Oats. Corn. Soybean. 2. The ranking of suitable forage crops as prior crops of paddy field were Oats, Italian rye grass, White clover, but Corn and Soybean were unsuited. 3. In general, length of stem,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enlarged such rank as foliar application of Urea, Gibb. and Gibb. + Urea solution. There were apt to be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 by growth of stem length, these trend were shown among all crops and between foliar applications of same crops. 4. All crops were shown not only promoted growth but also increased yield by every treatments. The order of application effects were as follows; Fresh weigthㆍDry weigth: Gibb., Gibb. +Urea, Urea. Crude protein content and yield: Urea, Gibb, Gibb. + Urea. 5. In Oats, heading date was more accelerated 1, 2 and 3 days than control by foliar application of Urea, Gibb. and Gibb. + Urea respectively.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