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6

        181.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85.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엽을 식품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채엽시기별 인삼엽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음건한 인삼엽의 단백질 함량은 17.12∼14.26%로 채엽시기가 늦어지면서 단백질 함량은 점차 감소하였고 지방함량은 1.90∼2.49%로 약간 증가하였다. 인삼엽에 존재하는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등이었고 maltose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히 sucrose함량은 채엽시기가 늦어지면 급격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serine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valine 순이었고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채엽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인삼엽의 무기질 함량은 Ca가 1.306.1∼1, 923.2mg%, K가 1, 266.9∼1, 216.0mg%로서 특이하게 많았으며 Mg, P, Na, Fe, Mn, Zn, Cu 순으로 풍부하였다.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Ca, Mn 등의 함량은 현저히 증가한 반면 K, Mg, Na, Fe, Zn등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비타민 C함량은 391.0∼336.1mg%로 매우 풍부하였고 채엽시기가 늦어지면 감소하였다. 인삼엽의 지방산 조성은 palmatic acid가 40% 정도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으며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순이었고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86.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양평군 수입천에서 대형 군락을 형성하여 자생하는 갯버들의 영양염류의 농도와 수리학적체류시간에 따른 질소.인 흡수 실험 결과로서 NH4-N, NO3-N, PO4-P제거효율은 저농도에서 체류 시간이 길 때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제거능은 고농도와 짧은 체류시간에서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유입농도와 체류시간에 따른 지상부 1g당 제거능 추정식을 구하였다. 수입천 갯버들의 현존량은 4,880.81g/m2로 추정되었고, 현존량과 제거
        4,000원
        187.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양염류의 농도와 수리학적체류시간에 따른 달뿌리풀의 질소ㆍ인 흡수 실험 결과로서 NH4-N, NO3-N, PO4-P의 흡수량은 각각 체류시간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F=44.93, 95.52, 12.70, Pm2, 평균 수질농도 0.308 NH4-N, 1.461 NO3-N, 0.348 PO4-P mg/L, 체류시 간 1일~ 5일 범위에서 1 m2 1일 기준의 흡수량이 각각 7.31~20.15 NH4
        4,000원
        188.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view discussed the properties of bi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function of phosphorus (P) sink of wetlands, and proposed the applicability of microbes, especially periphyton in phosphorus removal. Microbes have a large potential in natural purification of water, because they have fast growth rates and outcompete macrophytes in taking up P. The degree of P uptake by microbes, especially periphyton appears largely to depend on P and light availability and their biomass. As long as there is sufficient light, periphyton can accrue biomass in the system, assuming losses from herbivory and disturbance are not too great. This large periphyton biomass can reduce P concentrations in the water column via uptake and adsorption, and thereby being able to reduce algal blooms. This idea can be applicable to ameliorate water quality by introducing constructed wetlands and shallow ponds in the incoming region of rivers or lakes. The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accumulate data on P cycling between microbes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in wetlands.
        4,500원
        189.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달방댐 3개 유입수의 연평균 총인 농도는 달방골, 서 학골 및 신흥골이 각각 7.7, 19.1 및 40.0 mgP/m3이었으며 신흥골 유입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초기 강우시에는 유입수량 증가에 따라 총인 농도가 모두 증가하는 양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나 뒤이어 계속해되는 두번째 강우에서는 유입수량 증가와 크게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가 집중되었던 1994년 10월 12일에 달방골 유입수의 초기 강우시 총인농도는 97.8 mgP/m3 이였으며, 서학골 유입수는 190 mgP/m3, 신흥골 유입수는 1,336 mgP/m3로 매우 높았다. 달방댐 표층(0~5m 평균)의 총인 농도는 1994년부터 점차 증가되어 1994년과 1995년 10월의 농도가 각각 26.0과 50.0 (3회 측정치 평균) mgP/m3으로 조사되었다. 달방댐에 유입되는 전체 총인 부하량은 각각 236.9 kgP/yr으로 계산되었으며 우기인 10월과 11월에 유입 되는 부하량이 전체 부하량의 71.0%인 167.8 kgP/yr이었다. 유역전체로 볼 때 신흥골 유역으로부터 부하되는 인부하량이 64.1%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 발생부 하량은 2,216 kgP/yr로 계산되었으며, 유역에서 발생된 인이 호수까지 도달되는 도달율은 10.7%이었다. 본 연구결과 호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강우, 특히 초기 강우시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줄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서는 유역에 산재해 있는 비점오염원인 가축 배설물과 농경지로부터 유출되는 인부 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9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생식물을 인공호의 수질개선에 이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수식물인 갈대, 애기부들 그리고 줄의 생산량과 영양염류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갈대와 애기부들 그리고 줄은 단위 면적당 지상부 최대생산량이 각각 3,504 g/m2, 2,834 g/m2, 3,125g/m2이었다. 이들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를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지하부 현존량은 갈대, 애기부들, 줄이 각각 9,671g/m2, 5,158 g/
        4,000원
        192.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유소가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Sprague-Dawley 웅성 흰쥐에게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투여하여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도록 조제한 식이에 섬유소 무급여, 셀룰로오스와 펙틴을 각각 5%, 10% 급여하여 간조직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은 섬유소 5%에 비해 10% 급여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이섭취량은 섬유소 종류 및 급여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100g당 간과 신장 무게는 섬유소 무급여에 비해 급여수준 증가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셀룰로오스보다 펙틴의 감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심장무게는 섬유소 5% 급여군에 비해 10% 급여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중성지질 농도는 펙틴군이 셀룰로오스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콜레스테롤, 유리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농도는 섬유소급여 특히 펙틴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질 함량은 셀룰로오스 5% 급여시 무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을 뿐 섬유소 종류 및 수준에 따른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이섬유소 급여시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간조직내 지질 농도를 저하시켰으며 특히 10% 펙틴 급여의 경우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000원
        194.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엽차 제조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인삼엽의 성숙시기인 7, 8, 9월 중에 인삼엽을 각각 채엽하여 사포닌 함량 및 조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엽의 사포닌함량은 7월엽이 17.17%, 8월엽이 16.67%, 9월엽 15.58%로서 채엽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ginsenoside pattern은 유사하였다. 2. 인삼엽의 ginsenoside 함량 및 조성은 채엽시기와 관계없이 ginsenosides-Re, -Rd, -Rg_1 등이 총사포닌 성분의 70% 이상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Rb_1, -Rb_2, -Rc 순이었으며 protopanaxadio계 사포닌은 8월엽, protopanaxtriol계 사포닌은 9월엽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3. 인삼엽의 채엽시기별 protopanaxadiol(PD) / protopanaxatriol(PT)계 사포닌의 함유비율은 7월엽의 1.13에서 9월엽은 0.85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9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one serving size of Korean Processed Food. Defining the one serving size is very important for nutrition labeling and foodservice operation, because the one serving size is used to set up a proper portion by each foodservice operation. The basic data of 200 items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methods. Searching many cookbooks, exploring the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foodservices -6 industrial foodservices, 100 nationwide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recipes analysis, and 3 hospital foodservice systems as the samples - moreover, experimental cooking and sensory evaluation by trained panels were conducted to assess quantity preference of selected food items. All data were rearranged through food type, that is, main dish, side dish, dessert and health food. One serving sizes of processed foods showed wide var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nus that include selected food items. Therefore, means and ranges of serving size by three research methods were presented item by item. The results obtained were: 1. The Korean Processed Foods were dried and sugar adding and soused foods, and many of them used the natual processing methods. 2. There were wide varieties in the classification of main dishes, but many of them were cereals, noodles, and sugar products. One serving size of noodles were around 50~100 g, cereals were 20~40 g, which means the one serving size can be differenciated by the food usage. 3. According to the Food classification of side dishes, many of them were as following; natural dried foods, processed fish products, salted or sugar added foods, seasoned foods and sugar products. Moreover the Types of cooking in side dishes were almost culinary vegetables, teas, health foods and condiments, and soused fish products. 4. About desserts, they were almost teas and sugars, and the Types of cooking were teas, health foods and seasonings. 5. We can conclude that almost Korean Processed foods used the drying and soused processing methods for long-time preservation, but it can make the higher content of any special elements, such as sodium or carbohydrates.
        4,000원
        19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one serving size of Korean Indigeneous Food. Serving size is necessary to make Nutrition Labeling which is required to export Korean food product especially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basic data of 100 food items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ing traditional and recent cookbooks. 4 industrial foodservices as noncommercial foodservice and 30 traditional ethnic restaurants and 12 gourmet restaurants in hotels as commercial foodservlce were explored to collect the data of actual serving size of each items. Moreover, experimental cooking and sensory evaluation by trained panels were conducted to assess quantity preference of selected food items. All data were rearranged through food type, that is, main dish, side dish, dessert and health food. One serving sizes showed wide var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nus that include selected food items. Therefore, means and ranges of serving size by four research methods were presented item by item. There were wide differences in intakes of main dishes, for example, noodles were around 50~100g, cereals were 20 g, which means the one serving size can be differenciated by the food usage. In intakes of side dishes, average of side dishes were 20~30g, but Kimches, the first traditional Korean food, were 30~50g, and the other condiments, pepper paste and soy paste were 5~10g. About desserts, liquid types were around 200 g, the other sugars were 10~20g, the kind of teas were almost 2~3g. The health foods-many kinds of that were Ginseng-were averaged 20 g; but dried mushrooms were around 2 g.
        4,000원
        19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 글루텐을 식물성 효소인 파파인으로 가수분해하여 글루덴 펩타이드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글루텐 펩타이드류는 인이온 존재 하에서 인이온과 칼슘이온과의 침전형성을 방지하여 칼슘의 용해성을 증진시켰다. 칼슘이온의 용해도는 8.3㎎의 펩타이드 존재시 대조구에 비해 5.2배 증대되었다. 산성 아미노산의 함량이 매우 높은 이들 펩타이드류를 Delta pak 칼럼을 이용하여 분획하였으며 이들 분획가운데 3번째 분획이 가장 높은 칼슘 용해성을 보였다.
        4,000원
        198.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dual phosphorus content on color reversion and storage stability of corn germ oil, the changes of Lovibond total color and stability of oxidation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orage periods at room and incubating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residual phosphorus content and storage temperature had the synergistic effect on color reversion during short time storage. The extent of color change was the greatest when oils were stored for 1.0-1.5 years at room temperature and thereafter gradually tended to reverse color reversion. It is supposed that the double bonds of carotenoids in oils were oxidized and then turned to the volatiles such as epoxide, ionone, and etc. In contrast, the residual phosphorus content increased oxidation stability of oils. The residual phosphorus content wa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color reversion and storage stability, respectively.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