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7

        18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TMR 사료의 물리적유효섬유소(peNDF) 함량의 차이가 한우 비육거세우의 생산성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TMR 사료내 적정 조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26개월령의 한우 거세우 12마리이고, 물리적유효 NDF (peNDF) 함량이 높은 처리구(High군)과 낮은 처리구(Low군)의 2개 군을 이용하여 출하시까지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비육후기용 TMR 사료는 물리성 처리를 위해 배합시간을 3분(High)과, 25분(Low)으로 처리하였다. 실험동물은 출하한 후 축산물 품질평가원에서 도체평가를 하였다. 실험기간 중 체중증가(P<0.05) 및 일당증체량은 High 구에서 높았으며,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도체중 역시 High 구가 414.60±34.28kg으로 Low 구의 377.80±11.97kg 보다 높게 나타났다. 육질등급은 High 구가 평균 1+ 등급이었던 것에 비해 Low구는 평균 1++ 등급으로 오히려 육질 등급은 Low 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igh 구는 채식량과 체내 이용성에 영향을 미쳐 체중 증가와 일당 증체량 및 도체중의 증가를 가져와 생산성은 증가되었으나 등지방두께의 증가 및 육질 등급에서는 다소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한우 거세 비육우에 있어서도 사료 내의 물리적 유효 섬유 함량은 가축생산성과 도체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적정 함량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8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TMR 사료의 물리적유효섬유소(peNDF) 함량 의 차이가 한우 비육거세우의 생산성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TMR 사료내 적정 조사료가치 평가를 위 해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26개월령의 한우 거세우 12마 리이고, 물리적유효 NDF (peNDF) 함량이 높은 처리구 (High군)과 낮은 처리구(Low군)의 2개 군을 이용하여 출하 시까지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비육후기용 TMR 사료는 물리성 처리를 위해 배합시간을 3분(High)과, 25분(Low)으로 처리하였다. 실험동물은 출하한 후 축산물 품질평가원에서 도체평가를 하였다. 실험기간 중 체중증가 (P<0.05) 및 일당증체량은 High 구에서 높았으며,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도체중 역시 High 구가 414.60±34.28 kg으로 Low 구의 377.80±11.97 kg 보다 높게 나타났다. 육 질등급은 High 구가 평균 1+ 등급이었던 것에 비해 Low 구는 평균 1++ 등급으로 오히려 육질 등급은 Low 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igh 구는 채식량과 체내 이용성에 영향을 미쳐 체중 증가와 일당 증체량 및 도체중의 증가를 가져와 생산성은 증가되었으나 등지방두께의 증가 및 육질 등급에서는 다소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 라서 한우 거세 비육우에 있어서도 사료 내의 물리적 유효 섬유 함량은 가축생산성과 도체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적정 함량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4,000원
        18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rses are non-ruminant and monogastric animal. If concentrates are fed plentifully at a time, undigested starch reaches large intestine and it activates amyloytic bacteria. Finally, it lowers a pH level and causes colic. Therefore, standard feed of concentrates and period of feed are important factors to fat up ho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ductivity and carcass quality, quantity grade for Jeju horse (24 month old) with different fattening periods (4-, 8- and 13.5-month). The body weights were increased as the fattening periods increased and the increase rate was highest at 4-month group. The daily weight gain was decreased as the fattening periods increased such as 0.46 kg for 4-month group, 0.39 kg for 8-month group and 0.34 kg for 13.5-month groups. The daily intake was increased as the fattening periods increased such as 4.42 kg for 4-month group, 5.00 kg for 8-month group and 5.26 kg for 13.5-month groups. The daily feed conversion was increased as the fattening periods increased such as 11.71% for 4-month group, 17.69% for 8-month group and 18.53% for 13.5-month group. The backfat thicknesses and loin-eye areas were 3.50 mm, 83.50 ㎠ and increased to 4.20 mm, 94.00 ㎠ until they were fattening up for 8-month then they were decreased to 4.00 mm, 89.40 ㎠ when they were fattening up to 13.5-mon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t color among 3 fattening groups, however, the a-values (redness) of meat color and b-values of fat color were highest (5.0 and 3.80, respectively) for 13.5-month group. The tex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3 fattening groups. The maturity levels were in the 3.8∼4.5. All horses used in the experiment had the quality grade 2 and the horses for 13.5-month group had the quantity grade A, whereas the horses for 4-month group had the quantity grade B or C. Jeju horse had the low quality grade (quality grade 2) although the carcass yield increased when they were fattened from 24 month to 37.5 month.
        4,000원
        18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축분뇨를 화학비료로 대체하기 위해 사료용 옥수수 재배시 돈분 액비의 적정 시용방법을 구명하고자 화학비료100%, 액비100%, 액비150%, 액비50% +화학비료50%, 액비70% +화학비료30%, 액비70% +화학비료50%를 처리한 후 작물의 수량 및 사료가치, 토양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토양의 화학성 변화중 pH와 치환성 Mg는 시험전에 비하여 큰 변화가 없었으나 그 밖의 성분들은 화학비료구를 제외한 액비처리구의 경우 약간씩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토양중 NO3-N함량과 옥수수 생육초기에는 화학비료100%, 액비150%, 액비70% +화학비료50%처리구가 그 밖의 액비와 화학비료 분시구보다 높았으나 생육후기로 갈수록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사료용 옥수수의 전장, 직경 및 생체수량은 화학비료100%, 액비150%, 액비70% +화학비료50%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액비100% 전량기비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수량은 액비150%처리구와 액비70%+화학비료50%에서 유사하였으며, 액비100%에서 79%로 가장 저조하였다. 사료용 옥수수의 조단백질과 사료가치도 역시 액비150%, 액비70%+화학비료50%에서 가장 높은 값를 나타냈지만, ADF와 NDF 함량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논 조건에서 화학비료를 대체하여 가축분뇨 액비를 이용한 옥수수 재배시 증수와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시에 100%전량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2회 분할 시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특히, 액비70%를 처리하고 추비로 화학비료50%를 처리하는 것이 토양비옥도를 유지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여 주며 화학비료를 50%수준 절감해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8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09~5.21, 0.48~0.51 및 3.19~3.21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28, 0.38 및 2.8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청보리의 평균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무비구(3.97, 0.37 및 2.56 톤/ha)에 비해 100~150 kg N/ha (5.23~5.76, 0.49~0.54 및 3.28~3.5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콩과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조단백질과 ADF 함량은 헤어리베치 혼파구(각각 9.7과 34.5%) >사료용 완구 혼파구(각각 9.3과 33.0%) >청보리의 단파구(각각 8.7과 30.5%)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우분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처리수준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2.62~2.72두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질소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 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고품질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186.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사료로 주로 이용되는 밀기울을 대체할 사료원료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대체원료로서 열풍 건조시킨 귤껍질, 배추, 새송이버섯 및 팽이버섯 폐배지를 사용하였으며, 투여 후 유충의 생존율, 유충 무게, 유충의 발육기간, 용화율, 용무게를 측정하였다. 귤껍질과 배추를 첨가한 배지는 대체 먹이로 적합하지 않았다. 새송이버섯 폐배지의 모든 실험군에서 유충의 생존율은 대조군과 비 슷하였으나 유충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고, 유충 발육기간은 폐배지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길어짐이 관찰되었다. 팽이버섯 폐 배지 20~50% 첨가 조건에서 대조군과 비슷한 유충 및 용무게가 측정되었으며, 계대사육시 밀기울 사료에 40~50% 팽이버섯 폐배지를 첨가하 는 것이 용화율을 고려했을 때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팽이버섯 폐배지를 40%~50% 첨가한 조건에서 기존의 밀기울 사 육법과 비슷한 높은 효율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팽이버섯 폐배지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대체사료로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18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mixe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CF) and liquid swine manure (LSM)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mino acids, minerals, and free sugars in cultivating Sorghum × Sudangrass hybrid (SSH) on paddy soil. The field experiment was design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and consisted of CF 100% (C), CF 70% + LSM 30% (T1), CF 50% + LSM 50% (T2), CF 30% + LSM 70% (T3), and LSM 100% treatment (T4). The application of LSM was based solely on the nitrogen. Plant leng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leaf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4 (p<0.05), but stem diame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Stem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decreased, but sugar degre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decreased.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were the highest in T4, whereas the lowest in T2 (p<0.05).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the highest in C, T4 and T2, respectively (p<0.05). However, NDF and ADF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Crude fiber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increased. The total mineral cont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increased.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T1> C> T3> T4> T2 (p<0.05). Free sugar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increased. The analysis of all the above results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liquid swine manure is very effective, considering the yield performance and the content of sugar degree and free sugar. In addition, liquid swine manure may be possible to grow Sorghum × Sudangrass hybrid without chemical fertilizer.
        4,000원
        188.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유소분해 효소제를 공급수준에 따라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에 적용하였을 때 성장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동물은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거세우로 각각 54두씩 총 108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험 개시 시 공시된 비육전기 및 후기 거세우의 평균체중은 각각 397.4±27.2(평균 17개월령), 525.2±47.4kg(23개월령) 이었다. 시험사료는 비육전기사료와 비육후기 사료를 구분하여 대조구 사료에 섬유소분해 효소제 0.05(E0.05, L0.05), 0.15% (E0.05, L0.15)를 첨가한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각각 3처리구에 각 처리당 6마리씩 3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하여 실시하였다.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에서 농후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와 L0.15구에서 L0.05와비교하여 증가하였으며, 총 건물섭취량 역시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p<0.001). 반면, 비육전기 및 후기 한우 거세우 모두 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비육후기 거세우의 도체특성은 L0.05와 L0.15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지방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1). 등심조직의 지방산 분석은 대조구와 처리구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본 시험에 사용된 섬유소 분해효소의 비육기 한우 거세우에 대한 첨가효과는 등심의 지방색이 짙어진 것을 제외하고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볏짚 위주의 조사료 급여체계에서 효소제 첨가수준 및 효소역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18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o apply hydrogen energy to ship engine and to generate effective hydrogen produc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H₂SO₄ feed rate and cooling water rate to pump parts with fixed frequency needed to reciprocate motion and a simulation was conducted at each condition. In the fixed frequency and cooling water inlet flow rate of 0.5 Hz and 3.9 kg/s, we changed the high temperature H₂SO₄ flow rate to 47.46 kg/s (it is 105 % of 45.2 kg/s), 49.72 kg/s (110 %), and 51.98 kg/s (115 %). Also, at 0.5 Hz and 45.2 kg/s of frequency and high temperature H₂SO₄ flow, the thermal hydraulic analysis was performed at the condition of 95 % (3.705 kg/s), 90 % (3.51 kg/s), and 85 % (3.315 kg/s). In overall simulation cas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are more influential to the temperature increase in the pump part rather than the changes on the feed rate of high temperature H₂SO₄ and cooling water. A continuous operation of pump was also capable even if the excess feed of high temperature H₂SO₄ of about 15 % or the less feed of cooling water of about 15 % were performed, respectively. When the increasing feed of high temperature H₂SO₄ of up to 5 %, 10 %, and 15 % were compared with base flow (45.2 kg/s), the deviation of time period rose to a certain temperature and ranged from 0 to 4.5 s in the same position (same material). In case of cooling water, the deviation of time period rose to a certain temperature and ranged from 0 to 5.9 s according to the decreasing feed changes of cooling water at 5 %, 10 %, and 15 % compared to a base flow (3.9 kg/s). Finally, the additional researches related to the two different materials (Teflon and STS for Pitch and End-plate), which are concerned about the effects of temperature changes to the parts contacting different materials, are needed, and we have a plan to conduct a follow-up study.
        4,000원
        190.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mercial Larva Zophobus atratus is sed as pet food, sold in pet stores under the name‘giant mealworms’. Zophobus atratus is also considered for the human alterative food in the future. In this study, we are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upplements including agricultural by-product for commercial Larva Zophobas atratus. One hundred Zophobas atratus larvae were divided into group I (wheat bran 100%, N=20), group II (wheat bran 70 % and rice bran 30%), group III (wheat bran 70 % and soybean meal 30%), group IV (wheat bran 70 % and red ginseng meal 30%), group V (wheat bran 70 % and red perilla meal 30%). The body weights of commercial Larva Zophobas atratu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agricultural by-products supplemented group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agricultural by-products were effective for larval growth in Zophobus atratus rearing with alternative diet.
        4,000원
        19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동계 사료맥류, 하계 옥수수, 추계 하파귀리 등 삼모작 재배기술 확립하기 위해 옥수수의 앞그루에 적합한 사료용 맥류 맥종 선정과 더불어 옥수수 뒷그루로 귀리를 가을재배 시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월동 사료작물을 옥수수 파종기에 맞춰 수확할 경우 호밀이 생초수량 32.0톤/ha, 건물수량 5.8톤/ha로 다른 작물에 비해 높은 수량을 보였다. 하계 사료용 옥수수는 생초수량으로 72.1톤/ha, 건물수량으로 20.2톤/ha 수확되었으며,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함량이 7.4%, 가소화영양소 함량이 69.3%로 양호한 생육과 사료가치를 보였다. 가을재배용 귀리의 출수기는 10월 10일이었으며, 생초수량은 44.3톤/ha, 건물수량은 8.5톤/ha이었고, 사료가치는 조단백질이 11.3%, 가소화영양소 함량이 59.1%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남부지역에서 조사료 연중 생산을 위해 가을재배용 귀리의 도입으로 삼모작이 가능하며, 하계 옥수수의 최대 안전 생산을 위한 월동 사료작물은 호밀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19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oxynivalenol (DON) and related trichothecene mycotoxins are extensively distributed in the cereal-based food and feed stuffs worldwide. Recent climate changes and global grain trade increased chance of exposure to more DON and related toxic metabolites in poorly managed production systems. Monitoring the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exposures to the toxins are crucial in protecting human and animals from toxicities of the hazardous contaminants in food or feeds. Exposure biomarkers including urine DON itself are prone to shift to less harmful metabolites by intestinal microbiota and liver metabolic enzymes. De-epoxyfication of DON by gut microbes such as Eubacterium strain BBSH 797 and Eubacterium sp. DSM 11798 leads to more fecal secretion of DOM-1. By contrast, most of plant-derived DON-glucoside is also easily catabolized to free DON by gut microbes, which produces more burden to body. Phase 2 hepatic metabolism also contributes to the glucuronidation of DON, which can be useful urine biomarkers. However, chemical modification could be very typical depending on the anthropologic or genetic background, luminal bacteria, and hepatic metabolic enzyme susceptibility to the toxins in the diet. After toxin exposure, effect biomarkers are also important in estimating the linkage and mechanisms of foodborne diseases in human and animal population. Most prominent adverse effects are demonstrated in the DON-induced immunological and behavioral disorders. For instance, acutely elevated interleukin-8 from insulted gut exposed to dietaty DON is a dominant clinical biomarker in human and animals. Moreover, subchronic exposure to the toxins is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serum IgA, a biological mediator of IgA nephritis. In particular, anorexia monitoring using mouse models are recently developed to monitor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DON-induced feed refusal. It is also mechanistically linked to alteration of serotoin and peptide YY, which are promising biomarkers of neurological disorders by the toxins. As animalalternative biomonitoring, huamn enterocyte-based assay has been developed and more realistic gut mimetic models would be useful in monitoring the effect biomarkers in resposne to toxic contaminants in the future investigations.
        4,000원
        19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eeding rates of Italian ryegrass (IRG)〔Lolium multiflorum L.〕on its nutritive value and productivity in native grasssland of Jeju region from Oct. 2011 to Jul. 2012. IRG was sown at reseeding rates (0 30, 40 and 50 kg/ha) in native grassland. When IRG was sown, there was no draught and lodging damage. Plant height in treatment 30 kg/ha of reseeding IRG was the tallest at all harvest stages (p<0.05). DM yield in treatment of 30 kg/ha of reseeding IRG was 12,790 kg/ha and increased 2.7 folds as compared to contr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The content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significantly decreased in treatment of reseeding, compared to control (p<0.05). In general, the content of NDF in second harvest stage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in first harvest stage. The content of acid detergent fiber (ADF) also showed simliar trend as content of NDF. The conte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in treatments of 30 kg/ha and 50 kg/ha of reseeding were approximately 45.2% each. The content of TDN in treatments of 30 kg/ha and 50kg/ha of reseeding increased as compared to 40 kg/ha and control of reseeding (p<0.05). Therefore, it is conclued that reseeding rate of IRG may improve the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IRG at 30 kg/ha.
        4,000원
        19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timicrobial peptides (AMPs) can be produced in mealworms. In this work, we integrated Bombyx mori (Bm) AMP, cecropin A to Beauveria bassiana ERL1170 by restriction enzyme-mediated integration method, which was confirmed by RT-PCR and an antibacterial activity assay. For the extracellular secretion of Bm cecropin A protein, the active domain of the cecropin A gene was tailed to the signal sequence of B. bassiana chitinase (Bbs). To exchange Bbs-cecropin A gene with egfp gene in pBARKS1-egfp, Bbs-cecropin A fragment was cut from pGEMBbs-cecropin A using XbaI/blunted and BamHI and ligated with cut pBARKS1-egfp using NcoI/blunted and BamHI, designated as pBARKS1-Bbs-cecropin A. After the transformation, transformants were grown on Czapek’s solution agar containing 600 μg ml-1PPT. Expression of Bm cecropin A was confirmed by RT-PCR. Strong clear zone was observed in the co-culture of the transformant D-6 and Bacillus subtilis on fourth strength Sabouraud dextrose agar 1 day after the culture at 25°C, whereas the wild type had no clear zone. This work suggests that Bm cecropin A can be efficiently produced in this mealworm-based fungal expression platform, thereby increasing the value of mealworms in the animal feed additive industry.
        19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총체밀에 콩과작물의 혼파재배와 우분시용이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단위면적당 가축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시험은 분할구 집구로 배치한 3반복으로 주구는 총체밀 단파, 총체밀과 헤어리베치 혼파 및 사료용 완두 혼파를, 세구에는 우분 4수준으로(0, 50, 100 및 150kg N/ha) 시험이 실시되었다. 총체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지역 시험구 비교에서는 경주 시험구가 경산과 영주 시험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주 시험구에서 시험구별 단․혼파 비교에서는 헤어리베치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우분 시용수준에 따른 건물은 전 시험구에서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ha당 100, 150k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작물의 월동이 가능한 시험구에서는 총체밀 단파보다는 콩과 혼파구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p<0.05). 경산지역에서 총체밀의 가소화양분총량(TDN) 함량은 사료용 완두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총체밀 단파구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한우 사육능력은 경주 시험구가 ha당 3.83두로 경산 시험구의 ha당 3.11두, 영주 시험구의 ha당 1.35두 보다 높았으며(p<0.05), 총체밀 단파보다는 콩과 작물혼파구가, 혼파구에서는 헤어리 배치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경북지역에서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콩과 사료작물 혼파는 겨울철 콩과작물의 월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콩과작물의 월동이 어려운 지역에는 우분을 시용하며, 또한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분 수준을 ha당 100~150kg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을 혼파하는 것이 가축사육 능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000원
        19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버섯폐배지와 맥주박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의 급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흑염소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을 조사하였다. 증체조사를 위한 사양 시험은 거세흑염소 20두를 이용하여 처리구당 5두씩 30일간 수행하였고, 소화율 시험은 거세흑염소 12두를 공시하여 처리구당 3두씩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여, 처리구는 대조구(배합사료 및 볏짚 급여구)와 3개의 시험구(버섯폐배지, 맥주박 비율이 각각 15와 25%(T1), 10과 30%(T2) 및 5와 35%(T3))로 각각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와 T1구가 T3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1일 두당 건물섭취량과 유기물섭취량은 T1과 T2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은 섭취량을 보였다(p<0.05). 건물소화율과 유기물소화율은 대조구와 T1구가 각각 62.39∼63.39%와 65.02∼65.25%로 T3구의 각각 56.39와 59.0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질소축적량은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버섯폐배지와 맥주박을 이용한 섬유질 발효사료는 시판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대등한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을 보였다. 그러나 버섯폐배지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흑염소의 생산성 저하가 우려되므로 버섯폐배지 첨가는 25~30% 수준으로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4,000원
        19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hormone levels of serum progesterone (P4) and estradiol-17 β (E2) in sows of Landrace (L), Yorkshire (Y) and F1 (L × Y) (respectively n=3) with excellent ability, and to provide a baseline data for improving reproductive performance. In this experiment, the sows at the age of 12 months or more were used. The sows were fed by two way methods, one is conventional methods and the other is 3 days-flushing feed before estrus. Each pig’s blood was collected in 3, 6, 9, 12, 15 and 18 days after the estrus for the analyses of P4 and E2. Serum was separated by centrifugation for 15 min. with 3,000 rpm. Progesterone and estradiol-17β were measured by immunochemical assay (ELIZA test). In conventional feeding, serum progesterone levels were significantly (p<0.01) higher in F1 than in L and 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4 concentrations were seen between the L and Y of sows. Serum E2 levels were similar the serum progesterone levels. In the case of flushing feed, the tendency of hormonal changes were similar to conventional methods. But almost of hormonal levels were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methods. P4 level of L and Y in flushing fe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Serum E2 level of Y in flushing fee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breeds (p<0.01).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tendency of hormonal changes in general sows and moreover, flushing feed is known to develop the swine production, these results proved the fact of the methods. An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ore studies about hormonal changes in sows according to seasonal and nutritional factors should be needed.
        3,000원
        19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료 내 총NDF 수준과 조사료에서 기인된 NDF 수준(fNDF)이 착유우에서의 영양소 섭취량과 유생산 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만우 36두를 대상으로 6개의 처리구를 나누어 2×3 요인실험으로 설계를 하였고, 각 처리구별 사료는 건물기준 NDF 38%에 1) fNDF 18%, 2) fNDF 15%, 3) fNDF 12% 와 건물기준 NDF 34%에 4) fNDF 18%, 5) fNDF 15%, 6) fNDF 12%로 구분하여 분만 후 3주부터 20주까지 급여하였으며 결과의 처리는 분만 4주부터 영양소 섭취량 및 산유성적을 분석하 였다. 사료 내 총 NDF 함량과 fNDF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건물섭취량, NEl 섭취량 그리고 비구조탄수화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p<0.01) 증가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 나 유생산량 또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유지방율은 감소하였다(p<0.01). 건물섭취량의 증가에 따른 NEl 섭취 량의 증가가 유발되었고, NDF 섭취량은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NDF 함량이 낮은 처리구와 높은 처리구간의 비 교에서 유지방율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 다. 총 NDF와 조사료유래 NDF의 사료 내 함량변화는 유 단백질율과 무지유고형분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 만, 유단백질 함량과 무지유고형분 생산량에 있어서는 유 량 증가에 의한 영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 사료유래 NDF 섭취량과 유지방율 간의 상관관계는 저수준 NDF 함량에서 고수준 NDF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 량과 영양소 섭취량간의 상관관계 또한 저수준의 NDF 처 리구에서 고수준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9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육성기 흑염소에 있어서 조사료원이 볏짚 위 주일 때, 농후사료 급여 수준이 발육, 사료이용성 및 경제 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육성기 암 컷 흑염소 40두를 공시하여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체중의 1.5% (T1), 1.8% (T2), 2.1% (T3) 및 자유채식구(T4)로 나누 어 급여 하였고 조사료원은 볏짚을 자유채식 하도록 하였 다. 그 결과, 일당 증체량은 T1 (1.5%), T2 (1.8%), T3 (2.1%) 및 T4(자유채식)구가 각각 50.23, 60.37, 71.46 및 98.90 g으로 농후사료의 급여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사료인 볏짚의 사료 섭취량은 농후사 료 급여수준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 육성기 흑염소 경영 비는 농후사료를 1.5%, 1.8%, 2.1% 및 자유 채식하였을 때 각각 46,704원, 49,998원, 54,701원 및 74,613원으로 농후사 료의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경영비는 증가하였다. 이는 증체량에 있어서 T4(자유채식)구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지 만 T3 (2.1%)구보다 사료비에 있어서 두당 19,912원 더 많 이 들었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할 때, 육성 기 흑염소에 있어서 조사료 원이 볏짚 단용일 경우에는 농 후사료를 2.1% 수준으로 급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 으로 사료 된다.
        4,000원
        20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산밀 재배시 가축분뇨 액비를 시용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사료가치를 분석하여 우리밀 생산물의 소비다양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용도별 우리밀을 선발하고 청보리로 사용되고 있는 영양보리를 대조구로 파종하여 생육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각 작물별 파종 15일후 유묘출현율은 액비 처리구 화학비료 및 무처리구에 비해 2.4배 높았다. 또한 시험작물 모두 초장이 액비시용구에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월동 후 최고분얼기에는 밀이 영양보리에 비해 초장은 0.7∼1.8cm 작았으나 분얼수는 1.5∼2개가 많았다. 생체중의 경우 액비처리구에서 시험에 사용된 모든 밀이 영양보리에 비해 1.01∼1.11배 높았고 연백밀이 5,102kg 10a-1로 가장 많았다. 사료가치중 단백질 함량은 액비처리로 보리와 모든 밀 품종에서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조경밀이 9.19 %로 가장 높았다. NDF와 ADF 모두 청보리와 대등하거나 높았다. TDN은 금강밀이 69.86∼72.11 %로 가장 높았고 고소밀이 64.61∼66.07 %로 가장 낮았다. 시험전후 토양 특성은 가축분뇨 액비처리를 하였을 때 EC,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 양이 함량이 증가하여 화학비료와 대등한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국산밀을 재배할 때 가축분뇨액비를 적절히 활용할 경우 재배단가를 낮추고 곡물밀의 공급이 과잉일 경우 사료용으로 공급하여 국산밀의 소비안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