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477

        20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미국 해양 대기청(NOAA)의 NOAA-20 위성에 장착된 차세대 고해상도 복사계인 VIIRS로부터 산출된 적외 해수면온도의 자료를 수집하고, 실측 자료와의 일치점을 생산하여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의 정확도를 검증 하였다. 2020년 5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최근 3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총 75,700개의 일치점을 생산하였다. NOAA-20/VIIRS 해수면온도는 표층 뜰개 부이 관측 해수면온도와 비교해보았을 때 약 0.52K의 평균 제곱근 오차와 – 0.12 K의 평균 편차를 보였고, 이는 전구 해역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정확도 검증 연구 결과값을 상회하는 수치였다. NOAA-20 해수면온도의 오차 특성 분석 결과 겨울과 봄에는 음의 편차가, 여름철에는 양의 편차를 보이는 계절적 특 성이 나타났으며, 15-16시에 최대 평균 제곱근오차, 최대 양의 편차 및 22-24시에 최소 평균제곱근오차, 최소 편차를 가지는 일간 변화를 보였다. 이외에도 NOAA-20 해수면온도의 오차는 풍속, 위성 천정각, 연안으로부터의 거리, 해수면 온도의 공간 구배 크기에 영향을 받아 변동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위성 해수면온도의 편차값은 14ms1 이 상의 풍속 범위에서 풍속이 커질수록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 m s1 이하의 낮은 풍속 범위에서는 풍속이 약해질수록 낮/밤 자료에 따라 각각 양의 방향, 음의 방향으로 편차가 증가하였다. 위성 천정각이 커질수록 해 수면온도의 오차 범위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연안에 근접할수록 (<300 km) 위성 해수면온도의 오차가 증가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수면온도의 공간 구배는 그 크기가 커질수록 위성 해수면온도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증폭시키 는 경향이 나타났다. 국지적인 해역에서의 위성 해수면온도 정확도 및 오차 특성은 전구 해역에서의 전반적인 특성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향후 한반도 주변해에서 VIIRS 해수면온도를 활용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 해수면온도 오차의 변동 특성 및 분포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4,500원
        20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조차 개방형 조간대 퇴적물에 대한 태풍 효과를 한국 서해안 고창 동호리 조간대에서 연구하였다. 2010년 태 풍 곤파스 전·후와 2018년 솔릭 전·후에 나타난 표층 퇴적물 조직, 집적률, 퇴적상 변화를 관측하였다. 두 개의 태풍 곤파스와 솔릭은 각각 2010년 9월 1일과 2일, 2018년 8월 23일과 24일 사이에 한반도 남서부 연안에 상륙하여 내륙을 관통하였다. 태풍 곤파스 전·후와 솔릭 전·후에 고창 동호리 조간대의 측선을 따라 30m 간격으로 표층 퇴적물을 채취 하고 집적률을 측정하였다. 동호리 조간대를 평균고조면, 평균해수면, 평균저조면을 기준으로 고조대, 중조대, 저조대로 세분하여 연구하였다. 두 태풍 모두 태풍 후에 고조대는 퇴적되었고 중조대와 저조대는 침식되었다. 고조대에서 저조대 방향으로 갈수록 집적률이 감소하였다. 고조대의 표층 퇴적물 조직은 두 태풍 모두 태풍 후에 평균 입도는 세립해지고 분급은 양호해졌다. 중조대의 표층 퇴적물 조직은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저조대는 일부 구간에서 태풍 후에 띠 형태의 퇴적체가 나타났다.
        5,200원
        203.
        202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rared radiation (IR) refers to the region of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spectrum where wavelengths range from about 700 nm to 1 mm. Any object with a temperature above absolute zero (0 K) radiates in the infrared region, and a material that transmits radiant energy in the range of 0.74 to 1.4 um is referred to as a near-infrared optical material. Germanatebased glas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glass material for infrared optical lenses because of its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glass molding press (GMP) process, thermal imaging cameras using oxide-based infrared lenses can be easily mass-produced, expanding their uses. To improve the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materials consisting of ternary systems, germanate-based heavy metal oxide glasses were prepared using a melt-cooling method. The fabricated samples were evaluated for thermal,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using DSC, XRD, and XRF, respectively. To derive a composition with high glass stability for lens applications, ZnO and Sb2O3 were substituted at 0, 1, 2, 3, and 4 mol%. The glass with 1 mol% added Sb2O3 was confirmed to have the optimal conditions, with an optical transmittance of 80 % or mor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660 °C, a refractive index of 1.810, and a Vickers hardness of 558.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as an alternative infrared lens material to existing commercial materials capable of GMP processing was confirmed.
        4,000원
        204.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복잡한 도심주변의 지형과 다양한 배출원이 존재하고 있는 세종시 부강면과 조치원읍 일원을 대상으 로 대기오염 확산의 물리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오염 물질의 확산을 가정했을 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부강면의 경우 토지의 기복이 심한 전형적인 분지형지역으로서,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이 불량하여 대기 오염이 심화되는 지형상의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지형조건의 특성상 강한 풍속으로 이류된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이 용이하지 않아 국지적으로 정체되 어 대기오염물질의 공간적 확산 보다는 정체에 의한 대기 환경 악화의 간접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 한 경우 지형적 가열율의 차이 등에 의한 급속한 온도 상승 경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향후 먼지 돔현상(dust dome) 등과 관련하여 오염물질의 확산과 관련한 정책제안에 있어서 세심한 논의가 필요하다. 고농도와 비고농도 사례 일을 분석했을 때 조치원읍의 경우 부강면에 비하여 주변 배출원의 영향이 다소 높은 상태이다. 또한 고농도과 비고농 도의 사례에 대한 분석에서 특정한 풍계에 따라 고농도일의 사례가 됨과 동시에 지형적으로 경사지에 속해 서쪽에서 이류된 오염물질이 쉽게 유입되는 상황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국지 지형에 따른 난류특성 변수들인 마찰속도(friction velocity), 확산속도(convective velocity), 현열 속(sensible heat flux) 등에 의한 연직 혼합고는 대기오염물질의 확산강도 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배출원관리에 따른 논의가 부강면 사례에서 보다는 조치원읍에서 상 대적으로 필요함을 분석하였다.
        7,000원
        205.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our types of laver soup prepared using recipes from Gangwon-do (GW), Gyeongsangnamdo (GN), Jeollanam-do (JN), and the media (MD). Salinities, soluble solids, free amino acids, color values, turbidities, and pH values of soups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done. pH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GW and GN recipes than the JN and MD recipes (p<0.05). The salinities of JN and M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oups (p<0.05). Regarding soluble solids, JN had the highest at 2.64oBrix, whereas GW had the lowest at 0.86 °Brix (p<0.05). GW and JN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valine, phenylalanine, and glutamic acid (p<0.05). JN had significantly higher redness (a) than the other soups but significantly lower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p<0.05). Regarding transmittance, GW ha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67.67%T) than the other soups. JN and MD had higher acceptability results than GW or GN in terms of flavor, mouthfeel, and overall acceptability. Sensory intensity evaluations revealed that JN and MD had higher “soy sauce aroma” and “saltiness” and a greater “broth turbidity” than the other s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egional laver soups differ.
        4,200원
        206.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fermented green rice beverage with a unique flavor and physiological function activity. With glutinous green rice and rice nuruk as independent variables, we modeled the antioxidant characteristics and α-glucosidase,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glutinous green rice fermented beverage to verify its significance. The total flavonoid conte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selected as Quadratic model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were selected as linear models. For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green rice fermented beverage, sweetness, sourness, savory taste, bitterness, throat feel, nuruk scent, and overall preference increased in preference as the amount of glutinous green rice and rice nuruk increased, bu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center point (p<0.01). A blending ratio of 180.00 g of glutinous green rice and 400.00 g of rice nuruk had the highest preference among all the sensory items.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green rice fermented beverage with unique flavor and physiological function activity of rice using glutinous green rice and rice nuruk, and the optimal blending ratio was determined to be 164.04 g of white rice, 195.96 g of glutinous green rice, and 414.61 g of rice nuruk.
        4,500원
        207.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세구조 특성의 불확실성은 재료 특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 시멘트 기반 재료의 공극 분포 특성은 재료의 역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재료에 랜덤하게 분포되어 있는 많은 공극은 재료의 물성 예측을 어렵게 한다. 공극의 특성 분석과 재료 응답 간의 상관관계 규명에 대한 기존 연구는 통계적 관계 분석에 국한되어 있으며, 그 상관관계가 아직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활용한 이미지 기반 데이터 접근법을 통해 시멘트 기반 재료의 역학적 응답을 예측하 고, 공극분포와 재료 응답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머신러닝을 위한 데이터는 고해상도 마이크로-CT 이미지와 시멘트 기반 재료의 물성(인장강도)로 구성하였다. 재료의 메시 구조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재료의 응답은 상장균열모델(phase-field fracture model)에 기 반을 둔 2D 직접 인장(direct tension) 유한요소해석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입력 이미지 영역의 기여도를 분석하여 시편 에서 재료 응답 예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CNN을 통하여 식별하였다. CNN 과정 중 활성 영역과 공극분포를 비교 분석하 여 공극분포특성과 재료 응답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4,000원
        208.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ntella asiatica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goat meat Tteokgalbi. The goat meat Tteokgalbi samples were prepared with four different quantities (0, 0.5, 1, and 1.5%) of Centella asiatica powde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amples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powd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protein content of the samples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powd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As the proportion of Centella asiatica powder increased, the pH, L*, and a* values of the uncooked and cooked samples decreased (p<0.05).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the cooking yield of the uncooked and cooked samples were higher in the samples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powder than in the control (p<0.05). Also, with the increasing amounts of the Centella asiatica powder,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levels decreased. The 1-1.5% Centella asiatica powder group showed lower levels of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han the other groups as per the assay (p<0.05). The results indicate that Centella asiatica powder could enhanc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goat meat Tteokgabi.
        4,000원
        209.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berries from secondary bearing shoots of ‘Scintilla’ southern highbush blueberry, grown hydroponically in the Jinju, Gimhae, and Uiryeong regions of Gyeongnam Province. Typically, ‘Scintilla’ forms flower buds at the tips of regular bearing shoots during the previous season, yielding berries in the current season. However, under heated cultivation, we observed a proliferation of secondary bearing shoots that produce berries in the same growing season. Flowering and harvesting on secondary bearing shoots were delayed by 52 and 36 days, respectively, compared to regular bearing shoots. However, these shoots exhibited a 54% increase in diameter and a 10% increase in length.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rry size and soluble solid content between the two types of shoots. Notably, berries from the secondary bearing shoots had higher potassium and lower calcium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We conclude that berries from secondary bearing shoots could be marketable, provided the bushes are healthy.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optimizing cultural practices to improve the yield and quality of blueberries under specific environmental conditions.
        4,000원
        210.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ensory characteristic of cooked rice made with 10 types of rice varieties produced in South Korea using descriptive analysis. Twelve subjects who cook rice regularly, at least once a week,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nd participated as descriptive panelists. A total of 29 descriptive terms were developed to describ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ory attributes, specifically the appearance and texture attributes among the rice varieties. Among the varieties, Haedeul, Ilpum, and Koshihikari were observed to have a large quantity of rice germ and a relatively yellowish appearance. In contrast, Samkwang, Chamdream, and Yeonghojinmi were relatively whiter than the other samples. Odae, Saecheongmoo, and Sindongjin were rated high in the attributes of roughness, hardness, and chewiness, and Jinsang was rated high in moisture, bitterness, stickiness, and wholeness of rice grains. The differences in the appearance and texture of these rice varieties are likely to significantly impact consumer preference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menus based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varieties of rice could encourage consumers to purchase these varieties.
        4,000원
        21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RBFs(Riverbank filtration, Riverbed filtration) intake facilities installed in Nakdong River and in Hwang River respectively. The capacity of each RBF is 45,000 ㎥/d for riverbank filtration intake facility and 3,500 ㎥/d for riverbed filtration intake facility. According to data collected in the riverbank filtration site, removal rate of each pollutant was about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52%, TOC(Total organic carbon) 57%, SS(Suspended solids) 44%, Total coliforms 99% correspondingly. Furthermore, Microcystins(-LR,-YR,-RR) were not found in riverbank filtered water compared to surface water in Nakdong River. DOC(Dissolved organic carbon) and Humics which are precursors of disinfection byproduct were also reported to be removed about 59% for DOC, 65% for Humics. Based on data analysis in riverbed filtration site in Hwang River, removal rate of each contaminant reaches to BOD 33.3%, TOC 38.5%, SS 38.9%, DOC 22.2%, UV254 21.2%, Total coliforms 73.8% respectively. Additionally, microplastics were also inspected that there was no obvious removal rate in riverbed filtered water compared to surface water in Hwang River.
        4,000원
        21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raffic volume, an important basic data in the field of road traffic, is collected from traffic survey equipment installed at certain locations, which sometimes results in missing traffic volume data and abnormal detectio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various missing correction techniques using traffic characteristic analysis to obtain accurate traffic volume statistics. METHODS : The fundamental premise behind the development of a traffic volume correction and prediction model is to set the corrected data as the reference value, and the traffic volume correction and prediction process for the outliers and missing values in the raw data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et values. RESULTS :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ed that the algorithm combining seasonal composition, quantile AD, and aggregation techniques showed a detection performance of more than 91% compared with actual values. CONCLUSIONS : Raw data collected due to difficulties faced by traffic survey equipment will result in missing traffic volume data and abnormal detection. If these abnormal data are used without appropriate corrections,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redict traffic dem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mand prediction through characteristic analysis and the correction of missing data or outliers in the traffic data.
        4,000원
        21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o prevent an increasing number of drowsiness-related accidents, considering driver fatigue is necessary, which is the main cause of drowsiness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selecting drowsiness hotspots using continuous driving time, a variable that quantifies driver fatigue. METHODS : An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driver fatigue, which changes according to time and space, into temporal and spatiotemporal scenarios. The analysis technique derived four evaluation indicators (precision, recall, accuracy, and F1 score) using a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model that is effective for processing large amounts of data. RESULTS : Both the temporal and spatiotemporal scenarios performed better in models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road sections with changes in time and space. Comparing the two scenarios, it was found that the spatiotemporal scenario showed a difference in precision of approximately 10% compared with the temporal scenarios. In addition, [Model 2-2] of the spatiotemporal scenario showed the best predictive power by assessing the model’s accuracy via a comparison of (1-recall) and precision. This shows better performance in predicting drowsy accidents by considering changes in time and space together rather than constructing only temporal changes. CONCLUSIONS : To classify hotspots of drowsiness, spatiotemporal factors must be considered. However, it is possible to develop a methodology with better performance if data on individuals driving vehicles can be collected.
        4,300원
        214.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황 분말의 첨가가 마요네즈의 품질특성, 항산화활성 및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들기름으로 제조된 마요네즈에 강황 분말을 0.5%, 1%, 2%, 3% 농도로 첨가하여 4°C에서 12주 동안 저장하였으며, 강황 분말 무첨가구와 비교하였다. 강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들기름 마요네즈의 L* (명도)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 (적색도)는 모든 실험구에서 negative (-)값이었으며, b* (황색도)값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p<0.05). 강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마요네즈를 저장하는 동안 과산화물가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강황 분말 첨가 시료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마요네즈의 유화안정성은 저장 초기에 비해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0.5%의 강황 분말 첨가구는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유화안정성을 보였으며, 1%의 강황 분말 첨가구는 무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점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무첨가구에 비해 1% 이상의 강황 분말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들기름 마요네즈에 강황 분말 첨가 시 항산화 활성 증대 및 과산화물의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0.5~1% 첨가시 마요네즈의 유화안정성 및 점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15.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의 첨가량을 3수준(낮음 : 5.8 g, 중간 : 10.8 g, 높음 : 22.4 g)으로 하여 흘림뜨기로 초지한 태지의 지합과 강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흘림뜨기에 의해 제조한 한지와 태지의 평량은 태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34.4~36.1 g/㎡였으며, 가둠뜨기 태지의 평량은 25.7 g/㎡였다. 지합지수는 첨가한 태의 양이 적을 때는 한지보다 양호하였으나 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지합지수도 증가하여 지합은 좋지 않았다. 태의 첨가에 의한 표면의 평활도와 거칠음도도 소량의 태 첨가에서는 미첨가 한지 보다 약간 좋았으나 태의 첨가량이 높았을 때는 평활도와 거칠음도 모두 미첨가 한지 보다 좋지 않았다. 태지의 인장지수는 한지에 비해 낮았으며, 태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파열강도도 소량의 태 첨가에서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그 양이 많아지면 감소하였고, 내절도는 태의 첨가에 의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태를 첨가하여 흘림뜨기로 초지한 태지의 물성은 소량의 첨가 시 약간 우수해지기도 하나 전체적인 물성의 개선에는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그렇다고 태의 첨가로 인해 크게 종이의 물리적 성질을 크게 손상시키지도 않아 외형상의 아름다움과 독특함을 살린 용도로의 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16.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 ogyeongdan is an altar built by the Korean Empire within the burial grounds of Sijomyo(始祖墓), the Jeonju Lee clan, as a part of their posthumous respecting project. This site adheres to strict rules and formalities that a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with its altars and monument House demonstrating construction techniques that hold high value in architectural histor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construction-related records such as Uigwe, Statements, and Figure, along with their historical context. Through this effort, the study explores in detail the original form of J ogyeongdan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and subsequent transformations in later periods. Findings showed that the Figure was drawed by Chae Yongsin and was only a blueprint prior to the construction; it was modified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process. A part of J ogyeongdan project was carried out by demolishing four government office buildings that were closed because of the Gabo Reform in order to secure wood and roof tiles, among other materials. Additionally, concluded the J aesil was by relocated Deokryudang from Samryeyeokcham. Further, instances of distinctive terminology usage were found related to construction materials in the J ogyeongdan Uigwe , which were not used in another Uigwe . These terms were distinguish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locations in which the materials were used.
        4,000원
        217.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ak-seong Lee Family's Geun-jae-gong Historic House located in Seok-cheon-ri, Ung-chon-myeon, Ulju-gun, Ulsan. The house is said to have been re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after it was built in the 18th century, and now there are nine buildings left, including the An-chae, Sa-rang-chae, Sa-dang, storehouses and etc. This house is a large-scale house that is difficult to find similar cases in near region. The division of areas on each building is clear, and it is evaluated that it ret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d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erms of its overall size and layout. In addition, the current wooden structure, which is said to have been re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s the composition method and space utilization method of the 3-Dori type upper structure, which have become more diverse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has not been dealt with in the previous survey, and should be considered in detail through this paper.
        4,000원
        218.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 equipped with only rail ston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ongneung(封陵: the burial mound of royal tomb) equipped with only rail stones was constructed from 1468 to 1632. During this period, Hyeongung(玄宮: the underground chamber for the coffin of the king or queen) was constructed with lime. When the Hyeongung is completed, the soil is covered with a thickness of 1 foot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On top of that, as the base of the Bongneung, the rail ground stone is constructed with a height of about 1.5 to 2 feet. The inside of the rail ground stone is also firmly filled with soil. On top of this, semicircular lime is installed with a convex center. Lastly the soil is divided and compacted several times to form a hill, and then covered with grass to complete the Bongneung. The notable feature is that between the Hyeongung made of lime and the Bongneung made of soil, the rail ground stone serves as a stylobate with the inside compacted by the soil.
        4,300원
        219.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분함량과 미생물 첨가제가 알팔파 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알팔파는 개화 10% 시기에서 수확되었으며 수분 함량(M60, M50, M40 및 M30)이 60, 50, 40 및 30%일 때 각각 이용하였다. 1500g을 샘플링한 후, 증류수 10mL을 첨가한 미첨가구(NAD)와 Lactococcus lactis 와 Pediococcus pentosaceus의 혼합물을 증류수(0.1g/10mL)에 1.5 x 1010cfu/g 농도로 희석한 후 접종한 미생물 균주 첨가구(ADD)를 3개월 및 6개월 발효하였다. 수분 및 미생물 첨가제에 따른 연평균 알팔파의 조단백,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모든 발효기간에서 pH는 ADD의 M40에서 가장 낮았다(p<0.05). NAD 처리구에서는 젖산이 M50에서 가장 높았고(p<0.05), ADD 처리군에서는 M40 시험구에서 젖산이 가장 높았다(p<0.05). NAD와 ADD의 M60은 젖산 함량이 다른 수분 함량들에 비해 가장 낮으며(p<0.05) 낙산이 유일하게 검출되었다. 미생물군집의 상대적 풍부도는 ADD 처리구의 M40과 M50에서 Homo LAB (Enterococcus, Lactiplantibacillus, Lacticaseibacillus, Lactococcus, Pediococcus)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Clostridium은 M60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220.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류의 이상증식을 일으키는 새만금호 부영양화를 평가하기 위해 Carlson 지수를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2021년 월별로 새만 금호내 총 7개 정점에서 수질조사를 실시하였다. Chl.a의 농도는 동계에는 만경수계가 약간 높았고, 춘계와 하계에는 동진수계가 약간 높 게 나타났으나,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호소 수질환경기준 3등급과 비슷하거나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COD는 만경수계와 동진수계 모두 하계와 추계에 호소 수질환경기준 4등급과 유사하거나 상회하는 수질을 나타내었다. TOC는 모든 지점에서 3등급 이내의 수질을 보였다. 총인 농도는 호수 수질환경기준 4등급을 초과하였고, 월별로는 1월과 강우 후 8월에 높게 나타났다. 수질인자간의 상관성 분석에서 염분 농도에 대한 유기물, 총인, 총질소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입과 상류 하천을 통한 담 수 유입에 의한 담수역, 기수역, 해수역의 수질 특징을 반영하고 있었다. 영양상태지수에 의한 새만금호의 부영양화 변동 특성을 보면, Chl.a와 SD, TN의 지수에서 부영양화 초기 단계의 수질을 보였으며, TP 지수의 경우 심각한 부영양화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수질인자 간 부영양화 지수의 크기는 모든 수계에서 TSI(TP) > TSI(TN) > TSI(SD) > TSI(CHL)의 순으로 나타났다. TSI(CHL)에 대한 TSI(TP) 및 TSI(SD)와의 편차를 2차원 평면으로 나타낸 사분면 분석 결과를 보면, 조류 성장에 대한 총인이 영향에서는 모든 수계에서 대부분의 총인 (TP)에 의한 제한적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빛 감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적은 입자상 물질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