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9

        20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중냉각이나 양액냉각과 같은 근권부 냉각은 뿌리의 활력 증진, 양수분 흡수력의 향상, 작물체온의 강하 및 고온스트레스의 감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온실 전체를 냉방하는것 보다 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중냉각시스템을 경제적인 고온극복 방법중의 하나로 생각하고, 기술을 체계화하기 위한 시도로 지중냉각시스템의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여 냉각부하를 산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중열류 측정자료로부터 힘수비에 따른 토양의 열전도율을 분석하였으며, 함수비 19~36%의 범위에서 열전도율은 0.83~0.96W.m-.℃-로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일사량, 지표온도 및 기온의 관측치로부터 일사량에 따른 지표온도 상승을 회귀분석한 결과 거의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지표온도는 실내 수평면 일사량 300~800W.m-2 범위에서 작물이 없는 경우 3.5~7.0℃,작물이 지표면을 거의 덮고 있는 경우 1.0~2.5℃ 정도 기온보다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온실의 설계기온과 냉각설정 지온, 일사량 및 토양의 함수비에 따른 지중냉각시스템의 냉각부하를 구하였다. 실내일사량 300~600W.m-2 , 토양함수비 20~40%의 범위에서 기온과 지온의 차이를 10℃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46~59W.m-2 의 냉각열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정확한 설계자료의 구축을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별 실험을 추가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10.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ryopreservation of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martensii larvae. Four cooling rates (-0.25, -0.5, -0.75 and -1.0/min.) were used to examine a proper cooling rate during cryopreservation of trochophores before seeding temperature (-12). Seven developmental stages (early and late trochophores, early and late D-shaped larvae and early, middle and late umbo stage larvae) and different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used to investigate optimal larval stage and effective sugar in cryopreservation of larvae. The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trochophores increased at cooling rate of -1.0/min. As larval developing, survival rate of frozen-thawed larvae increased, except umbo stage larvae, and especially late D-shaped larvae highly survived as 91%. Addition of sugar revealed positive effect on cryopreservation in this experiment and 0.2 M glucose and sucrose mixed with 2.0 M dimethyl sulfoxide significantly enhanced survival rate of larvae (P<0.05).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desirable cooling rate, developmental stages of larvae and effective sugar far cryopreservation of pearl oyster, P. fucata martensii larvae are -1/min, late D-shaped larvae and 0.2 M glucose and sucrose, respectively.
        214.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포그냉방시스템을 수치적으로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CFD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포그냉방온실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개발된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분무수온, 분무수량, 분무정지시간과 분무입자의 증발률이 포그냉방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각 측점에서 실측치와 예측치의 온도차가 무차광조건에서는 0.1~1.4℃, 차광조건에서는 0.2~2.3℃였으며, 상대습도차는 무차광조건에서는 0.3~6.0%, 차광조건에서는 0.7~10.6%였다. 예측치가 실측치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모델이 포그냉방시스템의 냉방효과를 예측할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포그냉방시스템 성능은 분무수량, 분무정지시간과 분무입자의 증발률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분무수온의 영향은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15.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권냉방 방식에 따른 냉방 효율과 토마토 생육 특성을 검토하고자 XL냉수순환, 라디에이타 냉풍, 패드냉풍 및 대조구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권부 냉방온도는 공급수온이 17.8℃일 때 XL 냉수순환구는 18.0℃ 라디에이타 냉풍구는 27.2℃, 패드 냉풍구는 20.3℃였다. 배지 깊이와 시간대별 평균온도는 XL냉수순환구 22.8~24.7℃. 라디에이타 냉풍구 22.7~24.2℃, 패드 냉풍구 20.5~23.2℃, 대조구 25.9~29.6℃를 나타내어 냉방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5~6℃더 낮았다. 토마토의 생육에 있어 엽장. 엽폭은 대조구에 비해 컸으며, 생체중 및 건물중의 경우에서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근활력에 있어 대조구는 45.0ug/g에 비해 근권냉방 처리구는 58.5-62.8 ug/g으로 높았으나. 근권냉방 처리구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4,000원
        216.
        200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tudy the properties of supernova (SN) driven interstellar turbulence with a numerical magnetohydrodynamic (MHD) model. Calculations were done using the RIEMANN framework for MHD, which is highly suited for astrophysical flows because it tracks shocks using a Riemann solver and ensures pressure positivity and a divergence-free magnetic field. We start our simulations with a uniform density threaded by a uniform magnetic field. A simplified radiative cooling curve and a constant heating rate are also included. In this radiatively-cooling magnetized medium, we explode SNe one at a time at randomly chosen positions with SN explosion rates equal to and 12 times higher than the Galactic value. The evolution of the system is basically determined by the input energy of SN explosions and the output energy of radiative cooling. We follow the simulations to the point where the total energy of the system, as well as thermal, kinetic, and magnetic energy individually, has reached a quasi-stationary value. From the numerical experiments, we find that: i) both thermal and dynamical processe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hases of the interstellar medium, and ii) the power index n of the B-p n relation is consistent with observed values.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