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7

        201.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업에서는 자사 브랜드 또는 제품에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나 캠페인 활동을 전략적으로 펼치고 있는 사례가 많아졌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상의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해외에서는 이미 활성화 되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SNS상에서의 인플루언서 유형과 제품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측면에서는 선행연구가 희박하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소비자들이 SNS상에서의 제품 광고나 마케팅을 접하였을때 느끼는 정도는 인위적인 차원인데 반해, 인플루언서 즉 영향력 있는 1인을 내세워서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스며들어 제품 을 보여주는 형태일때의 만족감이나 호기심, 주목성, 긍정적인 반응 등의 차원이 어떠할지 그 결과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세부적으로 알아보는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상에서의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제품이 소비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소비자들의 평가를 조사하고자 인게이지 되는 유형중 사전조사를 통한 결과로 주목성이 제 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 주목성의 고집단에서는 전문가가 더 높은 영향이 있으며, 저집단에서는 유명인이 높은 영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주목성을 더 끌어올리기 위해서 인플루언서 유형 을 유명인에서는 자사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와 일치하거나 전문성이 있는 유명인, 또는 제품의 전문가를 적절히 활용하면 소비자 평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높아질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방향에 따른 결과로 기존의 전통 미디어와 다 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웹 2.0 시대에 맞는 미래지향적인 미디어로 SNS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진정성, 신뢰감 및 공감을 형성시켜, 기업의 제품이나 브랜드 마케팅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202.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시간에 지각된 학습환경과 수업참여간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유능 감, 성취목표 및 정서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모형의 타당 도를 검증한 후에 다차원적 유능감, 성취목표, 그리고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다중 매개효과를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중학생 419명(남학생 234명, 여학생 185명)이며, 본 조사는 예비조사에 참여한 중학생들을 제외한 3개교 중학생들 가운데 학년별로 두 학급씩을 선정하여 전체 18개 학급 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질문지는 Park, J. G., & Moon, I. S. (2013)가 중학교 체육상황에서 신뢰 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Shen 등(2012)의 체육 과제참여 질문지(Task Engagement Questionnaire in Physical Education)가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의 지각된 유능 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는 지각된 학습 분위기와 수업참여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도전적이고 위협적이며 경쟁적인 학습 분위 기는 지각된 유능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 중에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수업참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육시간에 긍정적인 학습환경 조성이 중학생들의 다차원적인 유능감 지각, 접근목표,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를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전략임을 시사 한다.
        203.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과 코치-선수의 관계에서 열정과 직무열의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운동선수 코치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운동선수 코치 번아웃, 코치-선수 관계, 열정, 직무열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관계, 그리고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부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조화열정은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코치-선수 관계는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은 조화열정을 감소시키지만, 조화열정은 직무열의를 증가시키고, 직무열의는 코치선수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과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코치선수관계를 부정적으로 예측하였지만, 두 매개변인은 번아웃과 코치-선수관계의 관계를 억제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남 진주시 선학산 도시숲의 운영을 시민참여형으로 개선하도록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황조사로서 지역에서 가지는 대상지의 이용가치를 파악하였으며, 지리정보시스템(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사, 향, 토지피복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숲 운영계획에서 지역주민의 인식과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 관심, 요구, 참여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이용객들의 의견을 주기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등산로 표지판에 부착시킨 QR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2004년과 2017년에 실시한 현장 설문조사를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를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시행된 진주시 선학산 정비사업과 관련하여 해석하기 위해서 사업 시행 전인 2004년과 시행 후인 2017년의 이용자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고, 그 변화를 사업내용과 관련하여 해석하였다. 최종으로 그 결과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하여 선학 산의 운영관리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의 목적인 선학산 시민참여형 도시숲 운영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또한 운영의 성과 및 개선을 위한 평가 및 환류를 위해서 QR코드를 사용한 방문자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시민참여 형 운영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지속적 운영의 질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선학산 도시숲 시민참여형 운영 계획 은 지속적으로 문제점 및 보완점을 파악 및 제한하고, 기존 이용객과 관광객의 증가를 파악하며, 숲가꾸기를 통한 참여형 도시숲 조성을 기 대할 수 있다.
        205.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청소년들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과도한 사용이 사회적 이슈가 되어왔다. 작업에 대한 몰입 수 준은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긍정적 효과와 과 몰입 같은 부정적 효과를 모두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심혈관 반응 기반의 몰입 상태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들은 무 자극 상태, 그리고 몰입을 유발하기 위한 패턴 맞추기 게임을 수행하였고, 몰입 수준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 과 경쟁 태스크로 나누어 실험 디자인 하였다. 각 태스크에 따라 심박과 진폭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다 항식 회귀 분석을 통해 회귀식 및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는 게임 태스크일 때, 심박과 진폭은 양 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무자극일 때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개발된 다차항 회귀식으로 게임 태스크와 무 자극을 구분하는 정확도는 평균 89%의 정확도를 보였다. 태스크간의 차이는 76.5% 정확도를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실시간으로 몰입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6.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안적 수업 장학의 한 형태인 동료코칭 방식이 중학교 영어 교사의 수업 운영 및 구성에서의 변화와 이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탐색한다. 코치 를 받은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일 년 동안 총 3회에 걸쳐 비디오로 촬영하고 3명의 코치교사 로부터 수업 코치를 받았다. 코치교사들은 매 코칭 전 수업 동영상을 전사하여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학생과 학생 간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뒤 코칭 하였다. 또한 온라인 카페를 개설하여 각 수업의 계획과 수업 운영 전반에 관하여 코치교사들이 함께 코칭을 하였다. 매 수 업 마다 코치를 받은 교사로 하여금 자신의 수업에서 잘 된 점과 개선할 점을 중심으로 수업 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수업 동영상을 함께 관찰하며 코칭 함으로써 스스로 수업 실천의 전 과정을 성찰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자료들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코치를 받은 교 사의 수업 운영이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주도의 정보 전달식 수업 형태에서 조별 학 습 형태를 바탕으로 조별 과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었고 이는 점차 학생들의 학습 참 여가 높아지는 변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회적이고 관행적인 성격을 띤 과거의 장학이 가진 한계를 넘어, 새로운 장학의 모형으로 동료코칭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 를 나타내고 있는바 앞으로의 현직 교사 교육과 통합 적용함으로써 교사의 수업 능력 함양과 최종적으로는 이를 통한 학생의 학업 성취 향상까지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확대 적용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207.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outline the concept of work engagement and the importance of job resources including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pertaining to work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article discusses the concept of work engagement and what empirical evidences suggest about its relationship with job resources including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Result -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has indicated towards strengths and pitfalls of social support resources including supervisor and coworker at work,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work engagement thus, requiring further empirical attention. Accordingly, the article has also indicated towards the critical significance of meaningful work for fostering employee well-being at work. Conclusions - The article has highlighted noteworthy empirical gaps in the body of knowledge concerning to job resources including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work engagement. The article has also underlined the lack of research and potential of ‘meaningful work’ towards enhancing work engagement as well as, acting as a moderator between su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and work engagement relationship.
        208.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temperament, emotion, and class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Methods: Middle school students (N=407, 226 males, 181 females) completed measures of approach and avoidance temperament,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self-efficacy, and engagement in class. Result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temperament and engagement in class.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temperament and engagement in class were moderated by students' self-efficacy. More specially,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protected from the detrimental impact of avoidance temperament on engagement, compared students with low self-efficacy.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level of self-efficacy lead a more adap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utcome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209.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raining engagement in sport based on the theory of Academic engagement that is being spotlight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develop a scale for it.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 structural survey were done to 20 coaches and 389 high school and university sport players to collect data. Grounded on the psychometrical procedure, TES’s factor structures and constructs were verified.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just like Academic engagement, TES also implies ‘the intensity of an active and voluntary intervention and the quality of emotion that players show when they begin and perform their training’, and to measure it, 16 questions’ both structure and in the four dimensions of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agentic were verified. These findings discuss the value of TES in the research of sport psychology and also its utilization in follow-up research.
        210.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tegrate emotional processes into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 2000) in order to substantially improve predictive power.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 (positive and negative) and self-regulated motivation (autonomous and control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textual factors (autonomy-supportive and controlling behavior) and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s: A total of 603 middle school students (315 boys and 288 girls) participated in present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was employed to test a baseline model and the two extended models including emotion associated with motivation to engagement. Results: Results confirmed a substantial increase of 13% and 15% in explained variance of engagement for the two the extended model, respectively. Positive emo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motivation-engagement behaviour relationship, and autonomous motivation also positively moderated the emotion-engagement behavio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SEM invariance test across the group indicated th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direct and indirect path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ly based motivation interventions aimed at increasing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may be helpful.
        211.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정체성이 열정과 과제관여 간의 인과적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분석하고, 연구모형의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무용학과 여자대학생 457명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무용에 대한 열정과 정체성이 과제관여에 대한 분산의 4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정체성은 무용에 대한 조화열정과 과제관여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고, 또한 강박열정과 과제관여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의 결과는 구조모형의 형태와 구조공분산, 구조잔차가 두 집단 간에 동일하지만, 구조계수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무용에 대한 강박열정이 조화열정에 비해 여학생들의 정체성에 더 강한 영향을 주어 이들의 과제 관여 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은 집단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21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 현장에서 감정은 기억, 학습 성취, 동기부여에 있어 핵심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감정적 개입(emotional engagement)을 촉진하기 위해 기능성 게임을 학습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 학습용 기능성 게임 '워드 콜렉트리안'을 이용하여 탐색 연구를 진행하였다. 워드 콜렉트리안은 인터액션을 통한 단어의 동적 시각화와 맥락 영상의 제시를 통한 상황 인지, 완성된 단어의 배치를 통한 단어에 대한 애착 고취 등을 활용하여 아동들이 감정적으로 영단어 학습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1차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기초 실험 결과 워드 콜렉트리안이 학습 효과와 감정 개입의 효과를 모두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비디오게임에서 입력기의 사실성과 시점이 게임이용자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피험자들에게 레이싱 게임을 선택하여 사실적인 핸들형 입력기와 덜 사실적인 게임패드 중 하나를 제공하고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을 모두 이용하게 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입력기의 사실성과 시점의 차이에 따라 피험자의 각성, 동일시 정도, 관여도에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얻어진 결과들의 함의와 관련논의가 제시되었다.
        21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폭력성 게임 내에서 사실적인 묘사(선혈 색, 비명 소리, 일인칭 시점) 방식이 사용자 각성(arousal), 현존감(presence), 그리고 게임 내에서의 사건 장소에 대한 기억력(memory)에 미치는 영향력을 테스트 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현존감과 각성의 관계도 분석되었는데, 최신 3D 슈팅 게임인 CounterStrike를 변형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사실적인 선혈(붉은색)과 소리(날카로운 비명)는 사용자의 경험 정도에 관계없이 각성 정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성 정도는 사용자의 현존감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특히, 현존감의 세부 요인인 관여도(engagement)는 기억력을 높이는데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각성과 기억력을 매개하는 변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일인칭 시점은 각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관여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15.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스포츠와 체육 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동기이론 중 자기결정이론은 사회적 요소인 학습 환경이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들 욕구는 동기를 비롯한 인지, 정서, 행동 결과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환경 내 지도자에 의한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동기 및 인지, 정서, 행동과 관계가 있다는 근거를 토대로 하여 자율성 지지(Reeve, 2002)의 정의와 내포하는 의미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현장의 피트니스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지도자에 의해 조성된 자율성지지 환경이 학생 참여자들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자기결정동기, 및 정서-행동적 참여인 즐거움과 노력 등 미래의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효과를 검증한다.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자율성 지지를 적용한 피트니스 프로그램의 중재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율성지지, 자율성, 자기결정 동기(내적동기, 확인규제), 정서적 및 행동적 참여(즐거움/재미와 노력)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자율성 지지의 영향력과 효과는 두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이론의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216.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디오 게임 구조와 플레이어 의식의 순환적 시스템에 대한 밀도 있는 관찰과 분석을 위해 '어드벤처 게임(Adventure Game)'장르로 분석대상을 제한하였다. 어드벤처 게임 고유의 특징적 단위구조인 '퍼즐 시스템'을 분석하였고, 그 경험이 플레이어의 의식에 '완결 욕구'를 발생시켜 몰입과 참여도에 작용하는 메커니즘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과정은 문헌연구와 직접 플레이 등을 통해 어드벤처게임과 그 구성 요소들의 본질적 특성 및 비디오 게임 플레이의 몰입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어드벤처게임에서의 퍼즐 시스템을 정의하고, 이 시스템 내에서 퍼즐요소와 내러티브 요소가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구조 및 플레이 과정을 분석하여 '퍼즐 시스템'과 '완결 욕구'에 대한 가설들을 수립하였다.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 극적인 컷 씬이 포함된 게임과 컷 씬이 제외된 게임단위를 제작하고 실험을 실시하여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게임 난이도의 수준차이와 실패지점의 위치 변화를 유도하여 게임의 해결여부, 실패지점에 따른 플레이어의 완결 욕구와 참여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217.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educational methodology including shipboard training methods of Maritime Colleges in U.S.A. and the fields of engagement in business of the graduates from them. There are two Maritime Academies, i.e. U.S. Merchant Marine Academy (USMMA) and U.S. Coast Guard Academy, which are supported by federal government and six Maritime Colleges operated by each State. Maritime Administration (MARAD) in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DOT) supports the training of merchant marine officers and crew members with a focus on safety in U.S. waterborne commerce. The shipboard training methods are not unique, but have various process. One is continuous sea term training onboard during sophomore (100 days) and junior year (200 days) in case of USMMA, the other is summer sea term training onboard every three months during freshman, sophomore and junior years in case of SUNY Maritime College. They offer also one month ship simulator training ashore. The employment status for the 1999 year graduates from USMMA shows 43 percent in the field of maritime afloat, 34 percent of maritime ashore, 22 percent of active duty military and 1 percent of others.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