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7

        20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혼파 비율에 따른 청보리와 유채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청보리와 유채를 8:2 비율로 처리했을때 생육과 수량성이 우수하였다. 생체중은 청보리 단파에 비해 청보리와 유채 8:2 비율에서 11%로서 가장 높은 증수율을 나타내었다. 청보리와 유채 혼파에 따른 사일리지 제조 전 사료가치를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청보리 단파에서 6.0%를 보였으나 혼파 처리에서는 단파에 비해 0.5∼0.7%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10a 당 가소화 양분 총량(TDN)을 조사한 결과 청보리 단파의 678kg/10a에 비해 9:1과 8:2 처리에서 725∼728kg으로 단파와 다른 혼파처리에 비해서 사료가치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일리지 제조 후의 혼파 비율에 따른 사료가치 조사에서도 상대적 사료가치(RFV)가 단파에 비해 101∼102로 9:1과 8:2 처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보리와 유채 수확시기별 생육과 수량성을 8:2와 7:3 혼합비율로 청보리 유숙기, 호숙기와 황숙기에 각각 조사하였다. 수확기별 청보리는 건물수량성에서 호숙기에 10a당 약 1.3톤으로 가장 많았다. 유채는 청보리 유숙기와 호숙기에 각각 10a당 약 264kg과 244kg이었고, 건물중은 청보리와 유채 모두 청보리의 호숙기와 황숙기에 4.9kg와 4.4kg으로 비슷하였다. 수확시기에 따른 품질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유숙기와 황숙기에 7.4∼7.7%로 우수하였다. TDN은 호숙기에 71.4%로 유숙기와 황숙기의 약 68∼70%에 비해 우수하였다. 다른 혼파비율인 7:3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파시 호숙기경의 수확이 품질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여 청보리는 호숙기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02.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timicrobial peptides (AMPs) can be produced in mealworms, currently being used as animal feeds, by the infec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entomopathogenic fungi. In this work, we integrated Bombyx mori (Bm) AMP, cecropin A to Beauveria bassiana ERL1170 by restriction enzyme-mediated integration method, which was confirmed by RT-PCR and an antibacterial activity assay. For the extracellular secretion of Bm cecropin A protein, the active domain of the cecropin A gene was tailed to the signal sequence of B. bassiana chitinase (Bbs). To exchange Bbs-cecropin A gene with egfp gene in pBARKS1-egfp, Bbs-cecropin A fragment was cut from pGEM-Bbs-cecropin A using XbaI/blunted and BamHI and ligated with cut pBARKS1-egfp using NcoI/blunted and BamHI, designated as pBARKS1-Bbscecropin A. After the transformation, transformants were grown on Czapek’s solution agar containing 600 μg ml-1PPT. Expression of Bm cecropin A was confirmed by RT-PCR. Strong clear zone was observed in the co-culture of the transformant D-6 and Bacillus subtilis on fourth strength Sabouraud dextrose agar 1 day after the culture at 25°C, whereas the wild type had no clear zone. This work suggests that Bm cecropin A can be efficiently produced in this mealworm-based fungal expression platform, thereby increasing the value of mealworms in the animal feed additive industry.
        20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eeding dates on the yield and feed value in cultivating Italian rye grass on paddy soil. The field experiment was design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of 3 repetitions with seeding dates of Oct. 19 (T1), Oct. 26 (T2), Nov. 2 (T3), Nov. 9 (T4), and Nov. 16 (T5) treatments. Plant length,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were increased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increased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On the other hand, NDF, ADF and Crude fiber were decreased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Total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T4 > T3 > T5 > T1 > T2 (p<0.05). The total composition amino acid cont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seeding dates delayed.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T1, whereas the lowest in T5 treatment (p<0.05). Nutrition yields (crude protein, crude fat, amino acid and free sugar)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The above result indicated that it is favorable to seed soon after rice harvest to increas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on yield of Italian ryegrass in the midlands
        4,000원
        204.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livestock feed industry, antibiotics are used to prevent disease, promote growth rate, and improve feed efficiency. However, antibiotic supplementation to animal feed results in increased bacterial resistance to antibiotics as well as antibiotic residues in animal products, which can negatively affect human health. Therefore, alternative sources of antibiotics are need- ed.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animal feed have been shown to increase feed efficiency and growth rate by improving microbial balance. Further, Bacillus sp. produces a wide spectrum of antibacte- rial peptid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CS-32 on safety,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Antibacterial substance (5697.9 molecular weights) produced by CS-32 was isolated and purified from culture broth. Moreover, the results of minimal inhibi- tory concentration (MIC) test confirmed the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of CS-32. In vivo, 0.1% and 1% CS-32 were fed to broiler chickens for 28 days. Feed efficiency was slightly higher in groups of chickens supplemented with 0.1% and 1% CS-32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S-32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necropsy findings, hematology, or serum biochemistry, and there was no mort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S-32 among various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may be safe and effective as a feed additive to improve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4,000원
        211.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alworms, Tenebrio molitor (L.) is used as an important animal feed additive for growth promotion and health management, but potentially exposes to fungal infection. In this work, virulence of two species of entomopathogenic fungi against the ins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biotic features and virulence were investigated. Secondly our consideration was also given to the effect of chemical fungicides on conidial germination for risk control. Between Beauveria bassiana (Bb) and Metarhizium roberstii (Mr) (previously M. anisopliae), Bb isolates had much higher virulence (~100% mortality in 3~4 days after the treatment), rather than Mr isolates in laboratory assays. Next, fungus-treated mealworms were kept at wheat bran at 20, 25, 30 and 35℃ with 3, 6, 9 times of water spray to the feeds for set-up of different humidity conditions. Inoculation of fungi to mealworms was conducted by fungal spray and feeding methods, which resulted in higher virulence in feeding method. In the feeding method, all temperature treatments except 35℃ showed high virulence against mealworms, but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irulence and humidity was not observed. In the chemical fungicide screening, fluazinam (CAS No. 79622-59-6) and mancozeb (8018-01-7)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ermination of Bb and Mr conidia. This work suggest that contamination of wheat bran with fungal pathogens, particularly B. bassiana may induce mycosis of mealworms, but introduction of effective fungicides possibly reduce fungal infection.
        21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mixe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CF) and liquid swine manure (LSM)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mino acids, minerals, and free sugars in cultivating silage corn on paddy soils. The field experiment was design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of 3 repetitions with CF 100% treatment (C), CF 70% + LSM 30% treatment (T1), CF 50% + LSM 50% treatment (T2), CF 30% + LSM 70% treatment (T3), and LSM 100% treatment (T4).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of LSM was based solely on the nitrogen. Ear length, ear circle, stem diameter, and stem hardness of the silage cor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were highest in T3, whereas the lowest in C treatment (p<0.05).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1, C, and T4 treatment, respectively (p<0.05). However, NDF, ADF and crude fiber cont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The total mineral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LSM application rate increased. Total composition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T1 > T2 > C > T4 > T3 treatment (p<0.05). Fre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T1 > T3 > T4 > T2 > C treatment (p<0.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s that the mixe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30 50% and LSM 50~70% (T2 and T3) is the most effective, considering the yield performance and the content of sugar degree and free sugar affecting silage.
        4,000원
        21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동계 사료맥류를 활용하여 건초대용 양질 헤일리지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기위하여 맥종별 수확시기, 적정 건조시간 및 헤일리지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단백질과 NDF, ADF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헤일리지 조제를 위한 건조시간은 청보리, 귀리, 트리티케일,총체밀 모두 유숙기에는 수분함량이 높음과 동시에 기상온도도 높지 않으므로 32시간 이상예건이 필요하고, 황숙기에는 8~24시간 정도예건이 필요하며, 완숙기에는 예건이 필요 없었다. 호밀은 출수 후 10일에는 32시간 이상,출수 후 20일, 30일에서는 24시간 이상 예건이필요하였다. 헤일리지 발효품질에서 pH는 모든맥종에서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젖산함량은 유숙기에 가장높은 값을 보였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p<0.05). 초산도 수확시기가 늦어짐에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낙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사료맥류로 헤일리지 조제 시 단백질함량이나발효품질 면에서는 수확이 빠를수록 유리하지만 우리나라 기상조건으로 볼 때 예건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호밀은 청예나 사일리지로 이용을 하고 청보리와 귀리, 트리티케일, 총체밀은 황숙기에 수확하여 8~24시간 정도 예건하면헤일리지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1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수확후배지는 버섯을 수확한 후 남겨진 배지를 말하며 버섯배지의 주원료는 가축 사료원료인 콘코브, 미강, 밀기울, 면실피, 비트펄프 등이고 버섯재배과정에서 배지영양원의 약 15-25% 정도만 버섯에 의해 이용되고 나머지 75-85% 정도는 버섯수확후배지에 남아있기 때문에 버섯수확후배지는 사료자원으로써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농산부산물이다. 버섯수확후배지 중 사료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새송이, 팽이, 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이며 새송이버섯 수확후배지는 난분해성 물질인 톱밥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소 함량은 높고 가소화양분 함량은 낮다는 단점이 있지만 cellulase와 xylanase 활성이 높은 미생물을 가축사료 첨가용 생균제로 이용하여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사료를 제조하면 버섯수확후배지의 섬유소 함량은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새송이버섯 수확후배지는 가소화양분 함량이 낮기 때문에 새송이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를 단독으로 급여하기보다는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사료를 일정량 첨가한 배합사료를 제조하여 급여하는 것이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발효과정에 의해 기호성과 저장성이 개선된 새송이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의 급여는 축우의 사료비 절감과 고급육 생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000원
        21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whole-crop barley silage on average daily feed intake, average daily weight gain, velvet antler yield and economic efficacy in sika deer during growth. A total of 24 sika deer (initially 56.3 kg BW) of 24 months age were allotted in arrangement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three treatments were: T1(hay diet), T2(whole-crop barley silage), and T3(50% hay+50% whole-crop barley silage). Concentrate feed were 1.5% feeding of body weight with all groups. Average daily weight gain of T3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fo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verage daily feed intake of sika deer in decreasing order was as follows; T1>T3>T2. The velvet antler yield was highest in T3 group (315±112 g) compared with T1 (276±59 g) and T2 (283±108 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daily feed intake, average daily weight gain, velvet antler yield(p>0.05). In economic efficacy, T3 was about 15-29% higher than that of T1 and T2. In conclusion, the mixed feeding of 50% hay and 50% whole-crop barley silage was more effective in average daily feed intake, average daily weight gain, velvet antler yield and economic efficacy in sika deer
        4,000원
        21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사료용 옥수수 및 밀의 수입량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수 개념을 활용하여 사료 곡물 수입에 따른 농업용수 및 농경지 대체 효과를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료용 옥수수와 밀을 통하여 수입되는가상수는 평균적으로 6,757백만 m3/yr 및 1,405백만 m3/yr씩 수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두 사료곡물을 통하여 약8,162백만 m3/yr만큼의 농업용수를 대체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농업용수 수요량의 51.5%에 해당되는 양이다. 한편 전적으로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사료용 옥수수와 밀을 국내생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필요한 잠재적 농경지 면적은 평균적으로 1,945천 ha와 285천 ha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이대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곡물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농작물 생산에 필요한 기술 등의 여력이 충분하더라도 수자원 및 농경지 부족으로 필요한 양의 농작물 생산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특히 한정된 수자원에 대하여 농업, 생활및 공업용수 등의 이용에 대한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위와같이 사료용 옥수수와 밀의 수입을 통한 농업용수의 양과 경작지 대체 면적이 많은 상황에서 정부는 2010년 기준으로37.5%인 자급률을 2015년과 2020년에 각각 41.2%와 44.4%로 목표치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설정한 식량자급률 목표치달성을 위해서는 사료용 곡물의 국내생산 증대가 불가피함을고려할 때, 향후 사료용 곡물 국내생산을 위한 농업용수와 경작지 확보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 수립시 수자원 및 농경지 소요량 추정 등의 기초 자료로 본 연구 결과가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축산사료의 주요원료인 옥수수와 밀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향후 기타 사료작물 및 조사료에 관련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진다면, 보다 종합적으로 국내 사료용 곡물의 국내자급 향상을 위한 정책대응 방안 탐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1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야산을 절개하여 조성한 신개간 토양에 옥수수를 파종한 후 수확시기별 생산능력 및 영양수량을 평가함과 동시에, 국내 조사료 생산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수확기를 유숙기(97일), 호숙기(105일), 황숙기(112일) 및 늦은 황숙기(119일) 4처리 3반복으로 5월 6일 파종하여 숙기별 각각 8월 10일, 18일, 25일, 9월 1일에 수확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착수고, 엽수, 암이삭 길이는 황숙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고사엽, 경경도,당도는 늦은 황숙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1). 그리고 경의 굵기는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가늘게 나타났다(p<0.01). 엽폭, 알곡충실도및 생초수량은 숙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보이지 않았다. 건물수량은 숙기가 진행됨에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조단백질및 조지방 함량은 숙기 간 다소 차이가 나타났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회분 함량은 유숙기에 비하여 늦은 황숙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NDF와 ADF 함량은숙기가 진전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1). 무기물 성분을 보면Ca은 유숙기(p<0.05)에, Fe와 P의 함량은 호숙기에(p<0.05, 0.01) 각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다른 무기물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무기물 함량은 숙기가 진점됨에 따라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1).구성아미노산 햠량에 있어서 필수아미노산, 비필수아미노산 및 총아미노산(필수+ 비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황숙기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숙기 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 늦은 황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상호간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수량은 황숙기> 늦은 황숙기> 호숙기> 유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1), 조지방 수량은 늦은 황숙기> 황숙기> 호숙기> 유숙기 순으로 높게나타났다(p<0.01). 광물질 수량은 숙기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산 및 TDN 수량은 늦은 황숙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산지신개지에 재배 시 생육특성, 사초생산량 및 영양수량을 고려하면 황숙기나 늦은 황숙기에 수확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218.
        201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low-dispersion fiber feed Littrow-mounted grating spectrometer for education wa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dispersion element is a reflective type blazed grating Edmundoptics NT 46-075 (spatial frequency 600 lines/mm, dimension 30mm×30mm, blazed angle 8.6 degree). The optical fiber coupler module for optical guiding from telescope to spectrometer is composed of a multi-mode FC connector - FC connector optical fiber patch cord (core/cladding diameter 50μm/125μm) and two 1.25" throw-tube couplers. The lens for collimating and imaging is a general purpose focal length 50 mm camera lens (f/1.8). The device for optical path control is a rectangular prism (size 25mm×25mm). The imaging camera sensor is a Meade DSI Pro 2 CCD sensor (black and white, 752×582 pixels and pixel size 8.3μm×8.6μm). Softwares for data logging and analysis consist of Meade Autostar Suite, NIH imagej and Vernier Logger Pro 3. The wavelength coverage range of the spectrometer is 205 nm at central wavelength 550 nm. The wavelength resolution is 1.7 nm.
        4,000원
        21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기능성 사료용 보리의 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식물체전체에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겉보리인 ‘보안찰보리’ 품종을 이용하여 전년에 구명된 안토시아닌의 축적을 높이기 위한 최적 추비 및 수확시기를 구명한데 (Song et al., 2011) 이어 최적시비량과 생산성, 사료가치 및 부위별 축적정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질소 추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출수기가 지연되었고, 초장은 80%증비구에서 가장 컸으며, 건물율은 유의적으로감소하였다 (p<0.05). 생초수량은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부위별로 이삭 > 총체 > 잎․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모든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NDF와 ADF는 부위별로 잎․줄기> 총체 > 이삭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잎․줄기에서는 감소하였고, 총체와 이삭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TDN 함량은 이삭 > 총체 > 잎․줄기 순으로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잎․줄기는 증가하였고 (p<0.05), 총체와 이삭은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안토시아닌 함량은부위별로 잎․줄기 > 총체 > 이삭 순으로 높았으며 (p<0.05), 질소 추비량의 증가에 따라 잎․줄기와 총체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특히 cyanidin-3-glucoside (C3G), delphinidin(Del), malvidin-3-glucoside (M3G), malvidin (Mal)의 감소가 가장 현저하였다 (p<0.05).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연구에 이용된 ‘보안찰보리’는 잎․줄기에 안토시아닌 축적이 가장많고, 조사료 수량을 고려하면서 안토시아닌함량이 높은 조사료용 유색보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월동 후 생육재생기에 표준 추비량을주는 것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20.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의 급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육 흑염소의 생산성 및 영양소 이용률을 조사하였다. 증체조사를 위한 사양시험은 거세흑염소 24두를 이용하여 처리구당 6두씩 30일 수행하였고, 소화율시험은 거세흑염소 12두를 공시하여 처리구당3두씩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여, 처리구는 대조구(배합사료 및 볏짚 급여구)와 3개의 시험구(발효사료와 볏짚 급여구)로 각각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T3구가 가장 낮았다(p<0.05). 1일 두당 건물섭취량 과 유기물섭취량은 시판사료를 급여한 대조구가 각각 718.8과 680.9 g, 농산부산물 첨가구가각각 634.2~699.2와 602.8~660.4 g으로 나타나농산부산물 중 미강 첨가구가 높을수록 섭취량이 낮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건물과 유기물 소화율은 대조구가 농산부산물 첨가구보다유의하게 높았고(p<0.05). 시험구간에는 미강을30% 첨가한 T3구가 가장 낮았다(p<0.05). 질소축적률은 대조구와 T1구가 유의하게 높았다.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농산부산물을 이용한발효사료(T1과 T2구)는 시판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비교 시 증체는 86~90%, 건물소화율은91.7~93.1%의 수준을 보였으며, 질소이용성은대등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미강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사료효율 저하가 우려되므로조지방 함량을 5.0%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