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6

        20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화재, 구조, 구급 등의 응급상황 속에서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현장 활동에 임하는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를 개선 또는 향상시켜 질 좋은 소방서비스를 통해 ‘안전 한국’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먼저 직무와 직무만족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이 ‘국민의 안전’이라는 소방조직의 목표 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이에 대하여 ‘직무만족은 조직효과성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는 설문조사의 기본적 설계를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령, 직위, 근무경력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연구모형 내 독립변수인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들을 찾기 위하여 선행된 연구들을 조사하였는데, 이 중 Gilmer가 제시한 7가지 직무요인을 소방공무원의 실정에 맞게 자긍심, 금전적인 보상, 근무환경, 직무여건, 소방행정에 대한 이해의 5가지로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직무요인들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202.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the extent of its moderation by perceived alternative job opportun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utilizing survey questionnaire data from 220 bank employees, which included scales measuring organizational justice,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alternative job opportunities. Results – The data is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further, distributive justice explains mor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ve justice. Perceived alternative job opportuniti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 Generally, organizational justice increases bank employees’ job satisfaction; however, when they perceived more job opportunities, their job dissatisfaction increased notwithstanding fairness. Therefore, perceived job opportuniti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Retaining skilled employees has become difficult, especially when there is market demand for skilled workers. Human resource (HR) managers should consider market situations before formulating policies; otherwise, they may los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skilled employees and workers.
        204.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공․사립유치원 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자기지도성 질문지', '직무만족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교사의 배경변인 중 학력, 근무기관 유형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교수 성취감, 교수권한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성취감이 자기지도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지도성의 행동적 전략에 대하여는 학력, 자기지도성의 인지적 전략에 대하여는 교수 권한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5.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가 어떠 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1-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전반적인 관계는 어떠한가? 3-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사고양식은 군주적, 외부지향적, 행정적, 자유주의적인 순으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 전체와의 관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206.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경기보조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근무환경의 개선 등에 고려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성격, 사회적 지원, 직업가치관, 직무만족도, 전직의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라남북도 7개의 골프장을 모집단으로 하여 유층 집락 무선 표집에 의해 골프경기 보조원 5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성격, 사회적 지원, 직업가치관, 직무만족도, 전직의도에 대한 척도로서 각 척도별 문항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후 본 조사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얻었다. 첫째, 골프 경기 보조원의 연령, 경력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업무관련 스트레스에서 차이를 보였고, 학력에 따라 업무관련 스트레스와 동료관련 스트레스에서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라운딩 횟수에 따른 차이는 동료관련 스트레스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연령과 경력에 따라 직무만족 요인 중 자기발전 요인에서 차이를 보였고, 결혼유무에 따라 직업가치관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골프 경기 보조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 사회적 지원, 직업가치관, 직무만족도, 전직의도간의 인과성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관련한 세부적인 논의를 하였다.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