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0

        20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콩을 채소처럼 먹을 수 있는 풋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그동안 풋콩 전용품종들이 개발 보급되어 왔으나 대부분 조생종인 하대두(올콩)형이었며, 과거 우리 선조들이 이용했던 검정 및 갈색 종피를 가진 유색콩을 재배하여 종실에 착색이 시작되는 성숙시(R7 단계)에 수확, 9 10월 추석 송편속이나 밥밑용으로 이용하는 풋콩품종은 적었다. 따라서 콩의 국내 자급율 향상과 이용도를 다양하게 확대할 목적으로 9 10월경 수확할 수 있는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유색콩 품종들의 생육 및 수량을 포함한 풋콩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색 장려품종 6개와 재래품종 3개 등 9품종을 공시하여 발아특성을 비교한 결과 출아는 립중이 무거울수록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출아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2. 수확기는 검정올콩이 7월 30일로 가장 빨랐으며, 논산재래가 10월 21일로 가장 늦은 극만숙종이었다. 3. 경장은 25~104cm 로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아산재래가 104 cm로 가장 커서 도복지수가 높았으며, 검정올콩이 25 cm로 가장 작았다. 4. 개체당 협수는 9~111 개의 분포를 보였는데 가장 많은 품종은 일품검정콩으로 111개이었고 가장 적은 품종은 아산재래로 9개이었다. 5. 풋콩 특성 중 2립협 이상 비율이 높은 품종은 검정올콩이 82%로 가장 높았으며, 황금콩과 검정콩1호가 각각 78%와 73%로 비교적 높았다. 6. 10a당 생협수량은 일품검정콩이 1,567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선흑콩 1,468 kg과 갈미콩 1,397 kg으로 많은 수량을 보였다. 따라서 공시된 9품종 중에서 9 10월에 추석 송편속이나 밥밑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품성에서는 검정올콩, 황금콩 및 검정콩 1호가 높으나 수량이 너무 낮았고, 수량성이 좋은 일품검정콩, 선흑콩, 갈미콩이 풋콩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라고 판단된다.
        202.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용도는 메주나 장류 또는 두부로 이용하는 장류콩, 나물로 이용하는 나물콩, 혼반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밥밑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콩을 채소처럼 먹을 수 있는 풋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풋콩재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정용 및 갈색콩 품종들의 풋콩재배시 가지풋콩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면서 풋콩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적정재식거리 구명을 위한 실험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식거리는 파종으로부터 개화까지의 소요일수, 수확까지의 소요일수 및 도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경장은 밀식할수록 증가한 반면 협수, 분지수, 개체당 협수, 분지당 협수, 경협중 및 2+3립협의 비율은 밀식할수록 감소하였다. 3. 풋콩의 크기는 재식밀도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풋콩의 수확지수는 밀식할수록 낮았다. 4. 밀식을 하면 풋콩의 수량은 증대하지만 경협중, 분지 당 협수 및 2+3립협의 풋콩수량을 고려한 가지풋콩으로의 상품성을 고려할 때 적정재식밀도는 선흑콩과 일품검정콩은 60×25cm , 갈미콩은 60×35cm 이었다.
        203.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단경 다수성인 ‘CUP brittle’과 조숙인 ‘대광’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조평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평은 버지니아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단경 다분지성이다. 조평은 대광땅콩에 비해 성숙협수, 성숙협비율등 양호한 등숙특성을 보이며 100립중이 87g인 대립품종이다. 도복은 매우 강한 특성을 나타내며 갈반병, 그물무늬병, 흑반병에 비교적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 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조평은 단백질이 30.9%, 기름함량이 43.1%이고 양질지방산중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2.1로 산화안정성이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조평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전국평균 8.37ton/ha로서 11% 증수되었다. 조평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
        204.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풋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자색종피인 ‘HYQ(CG)S-10’와 다수성인 ‘신광땅콩’을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참원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참원은 신풍초형으로 주경과 분지에서 개화 및 착협하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소분지성이다. 참원은 팔광땅콩에 비해 성숙협수는 같으나 100립중이 90g으로 5g 더 높은 대립품종이다. 갈반병, 그물무늬병은 팔광땅콩 보다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참원의 기름함량은 25.8%, 단백질이 31.3%로서 팔광땅콩에 비해 높고, 탄닌함량이 낮고 유리당 함량이 높아 풋땅콩의 품질이 양호하다. 참원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풋땅콩이 전국평균 8.93MT/ha로서 18%, 종실이 3.95ton/ha로서 4% 증수하였다. 참원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
        205.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weetpotato tips are known to be very useful parts as a vegetable because of their high nutritive values and great biomass yiel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a variety that is suitable to the tips of sweetpotatoes as vegetables. Twenty-two varieties were planted in polyethylene (PE) houses and upland field. The tips were cropped, tested and their tips' external characteristics, quantity, sweetness, toughness and taste were likewise tested.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sweetpotato tips were mostly colored green or greenish purple and the leaves were of heart shape. When it comes to texture, the crops from the PE houses presented softer sense than those from the upland field, and due to the blanching, the degree of hardness was reduced by 60 percent. The varieties that presented soft texture after blanching were Yulmi, Geonmi, Hwangmi, Sinchunmi, M301, Eunmi, Juhwangmi, Singeonmi and Gogeonmi. The sweetness, which gives a great influence to the taste, was found to be 3.8 Brix°% on the average for raw tips of sweetpotatoes cropped in P.E. houses, lower than the crops from the upland field which yielded 4.6 Brix°%. By varieties, those that were commonly high in both P.E. houses and upland field crops were three kinds - Geonmi, Sincheonmi and Juhwangmi. The yield derived was on the average 150 tons/ha, which was considerably high yield, compared to the greens like the Korean leeks, which were repeatedly cropped once planted, like the tips. The investigation into the external appearances, texture, sweetness and acceptability found that the varieties that are suitable for sweetpotato tips production are Yulmi, Geonmi, Hwangmi, Yeonmi, Chinmi and Juhwangmi.
        206.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gronomy farm at an altitude of 1350 m. above sea level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and eight treatments on vegetable type soybean in 2005. The objective was to see the effect of vermicompost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Rhizobium inoculum and mineral fertilizers on the yield of vegetable soybean. The result showed higher number of nodules from the non inoculated plot, however, the nodules weight was highest from the inoculated plo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ice statistically on roots and shoots dry weight. Soybean grain was obtained highest (32.3%) over the non inoculated plot followed by vermicompost plus inoculated, however, there was non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 slight increment on grain and straw yield from the inoculated plots over the non inoculated.
        207.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ulbora” is a new leaf vegetab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iety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Ipdeulkkae1/YCPL173 and YCPL199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5. Wrinkled leaf shape and purple color o
        208.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ebora” is a new leaf vegetab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iety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Ipdeulkkae1” and YCPL199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4. Purple backside leaf color is a very importan
        209.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ngbeak”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is a cultivar for leaf vegetable, from a cross between YPL5 (Ipdeulkkae1/ YCPL187) and “Namcheon” at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YAES), RDA, in 2003. The size of fully grown leaf is a important trait in delayed harvesting. The maximum leaf size of “Sangbeak” is 18.5cm, smaller than 21.4cm of a check cultivar, “Ipdeulkkae”1, leading to the constant leaf quality in delayed harvest. The fresh leaf yield of “Sangbeak” is 6% higher than that of “Ipdeulkkae 1” (5029 vs. 4742 kg/10a). For the leaf production, “Sangbeak” could be grown in whole area of South Korea. However, because of its late maturity, seed production culture is available in South Gyeongsang and South Jeolla provinces.
        210.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eshin”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a new cultivar for leaf vegetable,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YPL5 (Ipdeulkkae1/YCPL187) and Milyang2 at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YAES), RDA, in 2002. For the cultivation of leaf vegetable perilla, seeds are sown in narrow spacing of 10 × 5 cm and all branches are removed to harvest uniform leaves from main stem. Because of the narrow planting distanc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seeds from soil in dark brown seed cultivar. Therefore the gray-white size color of “Daeshin” is very useful characteristic for easier sawing in perilla cultivation. “Daeshin” grow vigorously and yield high quality leaf. The fresh leaf yield of “Daeshin” is 9% higher than that of “Ipdeulkkae 1” (4,823 vs. 4,459 kg/10a). For the leaf production, “Daeshin” is adaptable to whole arable land in South Korea. However, the southern parts of Korea such as South Gyeongsang and South Jeolla provinces are appropriate for the seed production.
        211.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lyeop”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a new cultivar for leaf vegetable,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Ipdeulkkae1 and YCPL187 at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For the cultivation of leaf vegetable perilla, the plants are grown with a spacing of 10 × 5 cm between rows and plants and all branches are removed to harvest uniform leaves from main stem,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the next harvesting leaf is a important characteristic for the growth of the plant. “Ilyeop” grows vigorously and yields high quality leaf with higher amount of the next harvesting leaves composed with a check cultivar, “Ipdeulkkae1”. “Ilyeop” has five days of earlier seed maturity (Oct. 24) than that of “Ipdeulkkae1” under natural condition, less chance of frost damage is expected. The flowering date of “Ilyeop” is same with that of “Ipdeulkkae1” in winter cultivation with night break treatment.
        212.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ora” is a new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Ipdeulkkae1 and YCPL199 at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Purple backside leaf col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the high quality perilla leaf. “Bora” has purple backside leaf color in all climate condition, while a check variety, Ipdeulkkae1 has too light color during summer season or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 “Bora” matures at October 18th and has 79 cm of the stem length, shorter than that of Ipdeulkkae1. Although leaf yield is 11% less than that of a check variety Ipdeulkkae1, the harvested leaf number of “Bora” is similar with that of Ipdeulkkae1. The cultivar is appropriable in all area of Korea for the leaf harvesting cultivation whereas it is restricted to southern part of Korea South Gyeongsang and South Jeola provinces, for the seed harvesting cultivation.
        213.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rang", a new cultivar for vegetable soybean, was developed fi-om the cross between "Keunol" and "Geunjeongol"a black seed coat with black hilum and yellow cotyledon. Over 3 year of Korea Regional Adaptation Tests (2003-2005) for veg-etable soybean, Mir
        214.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nmi 2", a new cultivar for vegetable soybean,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eokryangput" and"YS1307" (Seokryangput/Mi1yang77) at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and released in 2005. The pedigree of'Danmi2", designated as Milyang 145
        215.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vegetable peanut cultivar "Baekan" (Arachis hypogaea ssp.fastigiata. L.)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flowering and long ellipse-shaped large kemel. Each pod with very shallow constriction had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100 seed weight wa
        216.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ain quality and days to flowering are major characters to be considered in vegetable soybean improvement. The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heritance of both traits in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rived from a crossenvironments. T
        217.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육성된 종실용 들깨와 잎들깨 품종을 대상으로 주요특성 및 함유성분을 분석하여 용도별 들깨의 주요특성 차이를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잎들깨 품종의 평균 개화기는 9월 28일로 종실용 들깨의 평균 개화기 9월 5일보다 약 23일 늦었으며, 경장 및 마디수도 종실들깨보다 낮은 양상을 나타내어 생육상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종실용 들깨의 평균 천립중, 종실수량 및 기름함량이 잎들깨 품종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종실특성은 종실들깨가 우수하였으나, 잎 수량 및 잎 함유 안토시아닌 함량은 잎들깨 품종이 종실들깨 품종보다 각각 1.8배 및 2.1배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잎 특성은 잎들깨 품종이 우수하였다. 3. 종실용 들깨 및 잎들깨 품종의 종실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잎 함유 평균 엽록소 함량은 종실용 들깨가 잎들깨 품종보다 다소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218.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자원을 이용하여 식물추출물 발효식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발효기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른 발효액의 품질특성과 효소활성 및 항산화활성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BX는 점차 낮아졌으며, 점도는 3개월 경과 시 현저히 낮아졌다. 색도는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무를 제외한 시료에서 L값과 a값은 증가되고, 은 감소되었으며, 무는 L, a, 값이 모두 감소하였다. 발효액 중의 amylase활성은 전체 시료에서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브로컬리, 가지, 양배추. 치커리, 두릅, 무에서 발효 전에 비하여 발효 6개월 경과 후에 각각 460, 430, 190, 420, 560, 260 units로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invertase는 무와 토마토에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전에 각각 170, 130 units 에서 6개월 경과 후 200과 460 unit로 증가되었다. cellulase는 두릅, 무, 토마토에서 활성을 나타냈으며 발효 전에 55, 10, 95 units 에서 발효 6개월 경과 후에 자각 100, 280, 140units 증가하였다.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2~4개월 발효 시 가장 높았고, 항산화활성도는 발효 4개월 경과 시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Tyrosinase와 SOD 유사활성은 전체적으로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관능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두릅의 경우에는 발효 기간의 경과에 따라서 두릅 고유의 냄새, 단 냄새, 새콤한 냄새는 감소하였으며 두릅맛, 쓴맛, 떫은맛은 감소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3개월 발효액에서 가장 높았다. 무의 경우에는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무 냄새와 매운맛이 감소하고, 단맛이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가 발효 3개월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물자원 추출물의 발효기간은 3~4개월 정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