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6

        201.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 식중독균성 수건 및 행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질풀 추출액 1%로 50-60에서 60분간 염색한 면직물의 염색성과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면직물의 표면색은 무매염, 명반 매염, 수산화칼슘 매염시는 그레이-옐로우로 황색계열을 나타냈으며, 황산구리 매염시는 그레이-브라운, 황산제1철 매염시는 그레이드-그린으로 나타났다. 이질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의 hue 값은 20회 세탁까지는 Y계열을 나타내었으며, 30회와 40회 세탁시는 YR계열을 나타내었다. 이질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해 무세탁시 모두 99.99%의 항균성을 보였다 세탁 30회 후의 항균성은 52.91%이상을 나타내었다.
        202.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3종의 천연 자생물의 ethanol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Hydrogen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유근피가 99.72%로 가장 높았으며, 율무 > 가지 > 삼지구엽초 순으로 높았다.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오배자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70.33%로 매우 높았고, 피마자 > 가지 > 유근피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Paper disk diffusion법에 의해 측정한 항균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이 모든 균종에서 가장 강한 항균활성 (16.0-19.0 mm)을, 솔잎, 결명자, 세신, 은행 추출물 순으로 모든 균종에서 9.5-11.5 mm 정도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약쑥은 Listeria monocytogenes 종을 제외한 실험균주에서 9.0-10.0 mm의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삼백초는 Bacillus subtilus, Stapylococcus aureus, Escherchia coli, Samonella entetotidis의 균종에서 선택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23종 자생식물자원의 항산화활성과 항균효과를 비교한 결과, 유근피, 가지, 피마자, 오배자, 솔잎이 hydrogen radical 소거능,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항균효과가 매우 높은 식물자원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203.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애완견의 털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을 분리 동정한 후, 이 분리 세균들에 대한 항세균효과가 있는 생약재 추출물을 탐색하였다. 애완견의 털에서 76개의 세균을 분리한 결과, Staphylococcus속이 41균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Micrococcus속이 21균 주, Enterococcus속이 8균주, Bacillus속이 3균주, Exiguobacterium속 of 2균주, Shigella속과 Zoogloea속이 각각 1균주씩으로 동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의 털에 존재하는 세균들이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분리균주들에 대한 항생제 저항성과 생약재 추출물의 항세균 활성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다. 황금의 추출물이 애완견의 털로부터 분리한 세균들에 대해 높은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어 항생제 저항성이 있는 세균들에 대한 새로운 항미생물제로 사용학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4.
        200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author has been known that A-type zeolite supported with silver ions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However, it is no research of concern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luted silver ions. This study tested the elution of silver ions from A-type zeolite silver ions in deionized distilled water and NaNO3 aqueous solution. In NaNO3 aqueous solution of 74mM to 588mM,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silver ions and electric conductiv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odium ions, and equilibrated at 15 min, and the ion exchange equilibrium coefficient, k, is 1.3×10-3. However, deionized distilled water is not equilibrated to pass 6 months. A-type zeolite sodium ions showed no antibacterial activity. It was found that antibacterial activity was exhibited even at the concentration of 10 nM of eluted silver ions, and E-coli died with the incorporation of 2.43×108 Ag ion/cell. antibacterial activity of A-type zeolite silver ions were mainly attributed to hydroxyl radical.
        205.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5종류의 식초(감식초, 포도식초, 사과식초, 고칼슘현미식초 및 현미식초)의 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감식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도, 사과, 고칼슘 현미, 현미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감식초는 1.5%이상 첨가하였을 때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농도에서 균의 생육이 정지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균 내부구조의 손상정도를 관찰한 결과, 세포벽 및 세포막이 파괴되었다. 각각의 식초에 대한 총페놀 함량을 조
        206.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biotic and antioxidant effect of 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product(BAAC) prepared from citrus fruits were investigated by using fishmeats made from pollack and ascidian fillet. We inoculated Salmonella typhi into fishmeats that were aferwards treated with BAAC varying the concentration level (50-500ppm) including the control not-treated with BAAC. While specimens were stored at 5 for designated period, we measured changes of total number of bacteria, peroxide level and textural properties. In addition, we performed organoleptic examination, focusing on appearance, texture and odor for fishmeats treated with BAAC and stored for designated period. For pollack and ascidian fishmeats, the initial total number of bacteria were 3.7l0CFU/g and 7.5l0CFU/g, respectively. After they were treated with 250 ppm of BAAC solution and stored for 5 days at 5, the figures reduced to 2.5l0CFU/g and 8.410CFU/g. No bacteria were found in fishmeats treated with above 500 ppm of BAAC, which remarkably proved antibiotic effect of BAAC solution. Furthermore, all the BAAC-treated specimens exhibited notable antioxidant effect. Fishmeats which were previously treated with 500 ppm of BAAC solution and stored for 30 days at 5, showed the lower peroxide level of 16.5 meq/kg than 68.9 meq/kg in the control of pollack and 21.2 meq/kg than 80.7 meq/kg in the control of ascidian. In the results of texture and organoleptic evaluation we could also observe good effects of BAAC on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fisher products.
        207.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근권미생물은 양파 뿌리를 균원시료로 하여 약 250여종의 근권미생물을 순수 분리하였고 이들 중에서 길항미생물은 무름병균인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와 시들음병균인 Fuarium oxysporium에 각각 서로 대치 배양하여 두 병원균 모두에 가장 강한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YJ-4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균주 YJ-4는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08.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충하초(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쑥 및 솔잎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충하초의 자실체와 균사체, 쑥 및 솔잎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균실험에는 3종류의 그람양성균(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과 3종류의 그람음성(Escherichia coli, Shigella sonnei, Salmonella typhimurium) 식중
        209.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종의 한약계를 70% 메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으로 생균수의 측정, 생육저해환의 측정,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의 크기는 Rubus coreanus 〉 Sanguisorba officinalis 〉 Eriobotrya japonica 〉 Prunus mume 〉 Crataegus pinnatifida로 나타났다. 생육저해환은 복분자가 16.5 mm, 지유 14.3 mm, 오매 14.0 mm, 산사 12.7 mm로 측정되었다. MIC는 지유가 5mg / ml로 가장 낮았으며, MBC는 복분자가 10mg / ml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한약재 추출물중 복분자, 비파엽, 산사, 오매, 지유는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보존료를 개발하여 식품에 적용한다면 그 기대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생각된다.
        210.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 extract of green tea(GTW) and 70% ethanol extract of green tea(GTE) were prepared for the test of antibacterial activity. The sensitiv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o the green tea extracts in various pH of culture broth was tested.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2%(w/v) of green tea extracts was adjusted to pH 5.0∼7.0 and inoculated with 105/∼106/ cells/ml of each bacteria. The plate counting method and clear zone test were used to determine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Green tea extracts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S. aureus at 0.5% level and bactercidal at 0.5∼1.0% level of GTW and GTE at pH 5.0∼7.0. Green tea extracts were bactercidal to S. typhimurium at 1.5∼2.0% level of GTW and 1.0∼2.0% level of GTE at pH 7.0. Sal. typhimurium was more resistant than S. aureus. in same concentration of green tea extracts at same pH. The resistance of S. aureus and Sal. typhimurium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of culture broth. The morphology of S. aureus cells treated with green tea extracts showed damage of cell wall and cytoplasmic membrane. Severely damaged cells of S. aureus lost electron dense material and cytoplasm. Green tea extracts stimulated autolysis and cell death of S. aureus.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211.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가지 담자균 자실체의 물과 m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5가지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실험을 실시한 결과, 석이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있었으며, 석이버섯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높은 항균력이 확인된 석이버섯, 상황버섯의 80% methanol추출물을 diethyl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의 순으로 분획물을 얻어서 항균 및 항
        212.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owdered spices(garlic , ginger, cinnamon and clove) against pathogenic Escherichia coli )157:H7 and Staphyloccus auresus were investigated. Spice powder was added in was exponetial phase of each bacterial culture . Growth inhibition was determined by the absorbance at 660nm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cells were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Ginger powder has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following cinnamon , clove and garlic has the least activity.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taphyloccus aureus were completely inhibited within 5 hours after addition of 1 % of garlic , 0.3% of ginger or cinnamon , 0.5% of clove powder on the exponential phase of the cells. Spice untreated cells of E. coli and S. aureus, the cytoplasm was entirely surrounded by rigid cell wall and cell walls formed a smooth layer well attached to the plasma membrane. In the cells of E. coli and S. aureus treated with spice powder, cell wall and plasma membrane were lysed and severely damaged. E.coli cells growth in the presence of spice powder showed plammolysis, the loss of electron dense material, the formation of extra cellular blebs and cytoplasm burst out from the cell. S .sureus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spice powder showed swell of cell wall, the loss of electron dense material , coagulation of cell cytoplasm and formation of extra cellular blebs. Severely damaged cells of S. aureus lost whole cytoplasm and left as ghost of the cell. Spice powder stimulated autolyssi and induced cell death.
        213.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쇠뜨기에 다른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이 생성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용추출액으로 몇가지 식물의 캘러스 생장, 종자발아, 유묘생장 및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용 추출액의 첨가농도가 높은 배지에서 벼와 배추의 캘러스 유기 및 발달을 억제하였으며, 80℃ 추출액이 25℃ 추출액보다 유의하게 캘러스 유기 및 생장을 억제하였다. 20%추출액 첨가배지에서 공시식물의 캘러스 생장은 추출온도에 관계없이 도라지, 참깨, 배추, 벼 순으로 억제되었다. 냉동건조한 수용추출액 고형물은 저농도에서는 영향이 적었으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벼, 참깨, 배추의 종자발아를 억제하였고, 특히 배추는 2,000μg/mι농도에서 대조구의 28.3%로 급격한 발아억제를 보였다. 유식물 생장은 500μg/mι의 저농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초장이 약간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심하게 억제되었으며, 특히 근장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추출액 고형물의 항균활성은 500μg에서 E. carotovora에서만 약간의 억제대를 형성하였으며, X. oryzae pv. oryzae와 E. coli에 대해서 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214.
        199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5종류의 식중독세균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솔잎 ethanol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하였다. 솔잎 ehanol 추출물을 0-2% (w/v) 함유한 tryptic soy broth(TSB)에 각 식중독세균을 약 - CFU/ml 정도 되게 접
        215.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종류의 식중독세균(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녹차 물추출물에 의한 항균작용을 조사하였다. 각 식중독세균을 tryptic soy broth(TSB)에 약 CFU/ml 정도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30시간 배양하였다. 세균의 배양중 대수증식기의 중기 혹은 말기에 녹차 물추출물을 0-2%
        216.
        199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love (Eugenia caryophyllata Thumb) in culture troth against S. aureus was tested at 35, 5, -20, 50, 55 and 60.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0.5%(w/v) of clove was inoculated with 105∼107 CFU/ml of S. aureus and incubated at each temperature. The growth of S. aureus occured at 0.1% clove after a prolonged lag period while viable cells of S. aureus decreased more than 2 log cycles at 0.3 and 0.4% clove during 12 hours storage at 35. During 32 days of refrigerated storage at 5, survivors of S. aureus were decreased with the progress of time and increasing clove concentration. At the presence of 0.2, 0.3 and 0.4% clove, bacterial cells were dead after 32, 20 and 16 days of refrigerated storage, respectively. During 32 days of frozen storage at -20, survivors of S. aureus were decreased less than 0.5 log cycle at 0% clove. At the presence of 0.1∼0.4% clove, survivors were decreased 2.5∼3.0 log cycles after 1 day and then decreased 0.4∼0.8 log cycles through the frozen storage. There were small changes in populations of S. aureus in TSB betwe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love during frozen storage. The D-values of S. aureus at clove 0, 0,2, 0.4% were 28.53, 15.14, 8.9 min at 50, 18.43, 10.32, 6.74 min at 55 and 12.78, 9.88, 5.72 min at 60, respectively. The D-values for S. aureus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temperature and clove concentration.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