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3

        20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anthopanax species is known commonly as Siberian ginseng, touch-me-not, devil’s shrub, prickly eleutherococc, eleutherococc and wild pepper. A diverse group of chemical compounds isolated from Acanthopanax species was named ‘eleutherosides’. Among eleutherosides, eleutherosides B and E were widely known in Acanthopanax species. Acanthopanax species are cultivated and grow wild in a various area of Korea and have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effects. But,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on producing excellent Acanthopanax species, according to the cultivated method is different pharmacological ingredients.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eleutherosides B and E in A. divaricatus and A. koreanum by different fertilizer ratio using HPLC. We will be investigated a high content of eleutherosides B and E by different fertilizer ratio and suggest an efficient fertilizer ratio of A. divaticatus and A. koreanum. All samples of A. divaricatus and A. koreanum were collected at Yeongcheon Agricultural Technology & Extension Center, Yeongcheon, Korea. The sample was prepared by upper and lower parts. The fertilizer ratio are N-P-K(10.5-8.5-8.5: 50 kg/10a), 2N-P-K (21-8.5-8.5: 50 kg/10a), N-2P-K (10.5-17-8.5: 50 kg/10a), N-P-2K (10.5-8.5-17: 50 kg/10a), and 2N-2P-2K (21-17-17: 50 kg/10a), respectively. To analyze eleutherosides B and E, 5 g of A. divaricatus and A. koreanum was extracted with 50% MeOH (3 × 100 ml) by reflux and evaporated in vacuo. The residue was dissolved in 1 ml of MeOH. The resulting solution was used for HPLC analysis. HPLC separation of eleutherosides B and E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reverse phase system. A Discovery®C18 (4.6 × 250 mm, 5 μm) column was used with a mobile phase that consisted of water and acetonitrile. A gradient solvent system of water and acetonitrile (90:10 to 70:30 for 20 min) was used for the elution program. UV detection was conducted at 350 nm. The injection volume was 10 μl and the flow rate was 1 ml/min. All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triplicate. The different fertilizer ratio yielded total eleutherosides B and E contents of 4.417-6.905 and 3.652-7.227 mg/g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A. divaricatus, respectively. In A. koreanum, the total eleutherosides B and E contents were 4.591-10.108 and 3.834-9.079 mg/g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respectively. The best conditions to increase eleutherosides B and E content in A. divaricatus was determined to be with N-2P-K fertilizer ratio, on the other hand, in A. koreanum was 2N-2P-2K fertilizer ratio.
        202.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내용은 마 재배에 적합한 유기물 및 화학비료 시용량을 검토하였으며, 생육기간 동안 마 생장량, 무기성분 및 allantoin 함량의 변화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마 재배시 유기물시용 효과 단마의 괴경 수량은 화학비료를 줄여 시용할 경우 감소하였는데, 질소시비량이 높은 관행재배(43-28-32 kg/10a, 퇴비 3톤)에서 2,058 kg/10a의 수량을 보인데 비해 화학비료를 시용하지 않고 10톤의 유기물만 시용한 시험구와 유기물 없이 관행시비량의 반량(22-14-16 kg/10a)을 시비한 시험구는 각각 1,322 kg, 1,404 kg/10a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비료를 배량 증시할 경우 시비량 증가에 따른 수량증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물 시용과 경운방법에 따른 생육과 수량 비교 유기물만을 시용하여 단마를 재배할 경우 일반적인 쟁기 경운에서는 10톤/10a 이상을 사용하여야 기준시비량 처리구의 86%의 수량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트렌쳐심경 재배에서는 유기물 10톤/10a 처리에서 기준시비량 처리구의 95%의 수량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었다. 질소와 칼리비료 시비량 개선 시험 질소 시비량에 따른 마 지하부 특성 및 수량은 단마와 장마 모두 질소 32kg/10a에서 최고를 보였으며, 마 밭의 적정 질소시비 수준은 최대수량을 보이는 시비수준의 85%인 27kg/10a로 판단되었다. 칼리 비료의 시비량은 마의 수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의 생장변화와 식물체내 무기성분 변화 마의 지하부 생육은 정식 후 3개월 정도 경과 후 괴경 비대가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생육기간 중 식물체내에 흡수되는 영양분의 요소별 흡수는 괴경 비대가 시작되는 7월 중순경부터 생체 및 건물 중의 증가와 동시에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생육 기간중 allantoin 함량변화 생육 기간중 allantoin 함량은 지상부생육이 활발한 7~8월경으로 주로 지상부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지하부 괴경의 allantoin 함량축적에 따른 마 수확적기는 10월 이후가 적당하며 질소시비량에 따른 allantoin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209.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organic compost on the growth and rootyield of Angelica gigas Nakai with organic cultivation. After fertilizing the soil with organic fertilizer, the dry weight ofliming fertilizer showed a slow change, while microorganism fertilizer decreased about 29% until 20 day after fertilizing. At110 days after fertilizing, microorganism fertilizer decreased more than liming fertilizer. Liming fertilizer decomposedslowly, while microorganism fertilizer decomposed early on rapidly but gently after 20 days in decomposed rate of organicfertilizer. Dried root yields per 10a of A. gigas were not significance between 277.6㎏ in conventional fertilizer and 277.7㎏,280.5㎏ in N 1.5, N 2.0 times of microorganism fertilizer.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contents in A. gigas were9.08~9.07% from N 1.0 and N 1.5 times in liming fertilizer, and 7.94~8.12% from N 1.5 times and N 2.0 times in microor-ganism fertilizer, compared to 7.31% of conventional treatment.
        210.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CB액비 처리에 의한 포플러 클론들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처리구와 무처리구에서 각각 95.0%와 92.5%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줄기 수는 처리구 및 무처리구에서 각각 11.8개와 11.5개로 나타났으며, SCB액비 처리구에서 현사시 72-31, Bonghwa1 및 Clivus 클론이 각각 17.1개, 14.5개 및 13.8개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평균 엽면적은 처리구 및 무처리구에서 각각 71.0 cm2와 52.3 cm2로 나타나 처리구가 35% 높았다. 포플러 단벌기 맹아림의 연평균 지상부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 및 무처리구의 연평균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각각 8.5 ton/ha와 5.6 ton/ha로 나타나 처리구가 51% 우수하였으며, SCB액비 처리구에서 현사시 Clivus, 72-31 및 Bonghwa1 클론이 각각 15.2 ton/ha, 14.0 ton/ha 및 11.6 ton/ha로 우수하였다.
        211.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il depths and soil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piraea bumalda ‘Gold Mound’ in a extensive green roof system. The treatments were 3 soil depths (10, 15 and 25 cm) and 5 soil types in mixture of artificial soil and organic fertilizer. We measured plant height, leaf width, leaf length, number of flowers, visual quality and survival rate from March to October in 2011. The growing medium of 10 cm soil depth showed the highest plant growth in A1 (amended soil 100%), and the lowest plant growth in O1A4 (organic fertilizer 20% + amended soil 80%) treatment. In case of 15 cm soil depth, Spiraea bumalda ‘Gold Mound’ showed a high leaf length and visual quality in O1A2(organic fertilizer 33% + amended soil 67%) treatment and high leaf width and number of flowers in O1 (organic fertilizer 100%) treatment. A1 treatment without organic fertilizer showed the lowest leaf length and poorest visual quality, and O1A4 treatment showed the lowest plant height and lowest number of flowers. At soil depth 25 cm, O1A1 (organic fertilizer 50% + amended soil 50%) treatment showed greater plant height, visual quality and number of flowers than other treatments. The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more effective in O1 treatment. A1 treatment showed a relatively low leaf length, leaf width and visual quality. The higher the organic conditioner, the better the plant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Spiraea bumalda ‘Gold Mound’ showed 92%, 88% and 76% at soil depths of 25 cm, 15 cm and 10 cm, respectively, in this a extensive green roof system. Theref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of Spiraea bumalda ‘Gold Mound’ was affected by both soil quality and soil depth. Different optimal mixtures of organic fertilizer and amended soil were determined, depending upon soil depth.
        212.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자생식물인 꿀풀(Prunella vulgaris)과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을 이용하여 질소비료의 형태에 따라 생육반응, 항산화 물질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질소비료처리는 NO3-N 처리구와 NH4-N 처리구 및 이들의 혼용구로 구분하여 수경재배를 실시하였다. 꿀풀과 섬초롱꽃의 생육은 NO3-N과 NH4-N 혼합처리구에서 좋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꿀풀의 경우 NO3-N과 NH4-N 혼합처리구가 좋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NO 소거 활성 등의 항산화 활성은 NH4-N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NO3-N 처리구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낮고, 항산화 활성도 낮은 경향이었다.
        21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was investigated for the feasibility of recycling lawn waste from a golf course to use liquid fertilizer. Turfgrassclippings, microbial agent, waste molasses and synthetic culture medium were used as a raw material of liquid fertilizer,and those were fermented anaerobically to investigate the optimum mixing ratio and fermentation period. The sanitarysafety of liquid fertilizer was evaluated as well. When the turfgrass clippings and waste molasses were used as a rawmaterial of liquid fertilizer, increase of the amount of waste molasses resulted in the decrease of decomposition rate oforganic matter. When the high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wastes were decomposed, the organic acids were accumulatedby the predominant acid forming stage resulted in inefficient anaerobic digestion. The optimum mixing ratios for 1 gramof grass waste were 2.4 to 3.6mL for sugar and 1.6 to 2.4mL for EM (Effective Microorganism), respectively. It wasalso found that optimum fermentation period was about 15 days.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from the manufacturedliquid fertilizer was less than the standards guideline. The microorganisms were observed by SEM (Scanning ElectronMicroscopy) and spherical and rod shaped microorganisms were predominated. The sizes of spherical and rod shapedmicroorganisms were 0.7~0.8µm and 0.7×1.3µm, respectively. The population density of microorganisms wasincreased rapidly after the 15 days.
        21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다미’는 소비료 재배 적응 중만생 고품질 내도복 복합내 병성 품종육성을 목적으로 2003년 하계에 단간 다수성인 ‘익 산469호’(‘온누리’)를 모본으로 하고 도열병에 강하고 초형이 양호한 조생종 운봉31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보통기 보비 재배에서 ‘소다미’의 출수기는 8월 16일로 ‘남평’과 같 고 간장, 수수 및 수당립수는 각각 81 cm, 12개 및 134개이며 등숙률은 86.8%였다. ‘소다미’는 내냉성 검정에서 냉수구 임 실률은 52%로 소비와 비슷하나 ‘남평’보다 높았다. ‘소다미’ 는 흰잎마름병(K1 ~K3),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잎도열병, 및 멸구류 등의 해충에 약한 품종이다. ‘소다미’의 쌀 외관은 심복백이 없이 맑고 투명하며, 단백질 및 아밀로스 함량은 각 각 6.0% 및 19.0% 로 ‘남평’ 및 ‘소비’보다 낮았다. ‘소다미’ 의 지역적응시험 3개년간 평균 쌀 수량성은 보통기 소비료 재 배에서 평균 5.2 MT/ha로 ‘소비’보다 3% 높은 경향을 보였 고,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6.0 MT/ha로 ‘남평’보다 9% 증수하 는 품종이며 적응지역은 충남이남 평야지 및 남서해안지이다.
        21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생물제제 및 화학비료 시비에 따른 무와 배추의 생육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지상부와 지하부의 길이, 엽면적, 그리고 중량을 측정하였다. 시비 종류에 따른 무의 지하부 생체중은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 시비에서 148.9g으로 가장 높아 화학비료 처리구(112.8g)와 비교하여 약 1.3배 증가하였으며, 지상부의 생체중 역시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 시비 처리구(160.3g)에서 화학비료 처리구(111.1g)와 비교해 약 1.4배 증가하였다.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나 미생물제제 처리구도 화학비료 단독시비 처리구의 생육과 비교하여 지상부, 지하부 모두 생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추의 지상부 생체중은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시비 처리구에서 316.6g으로 가장 높아 화학비료 처리구(225.7g)와 비교하여 1.4배 증가하였으며, 또한 지하부의 생체중도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시비 처리구(4.4g)에서 화학비료 처리구(3.1g)와 비교하여 1.4배 증가하였다. 배추의 엽면적은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시비 처리구, 화학비료 처리구, 미생물제제 처리구에서 각각 3567.7, 2387.5, 2735.9cm2로 미생물제제의 처리로 배추의 엽면적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의 결과를 통해 미생물제제가 관행의 농법에서 사용되는 화학비료를 대체하여 친환경비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학비료에 토양미생물제제를 혼용 처리하여 무와 배추의 생육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전한 육종재료를 육성하기 위한 시비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16.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raise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protection, people are paying more attention now-a-days in reusing wastepaper. As a result, most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lready made significant progress related to wastepaper recycling technolog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ow-release nitrogen fertilizer (SRNF) on the growth of radish plants. Wastepaper was deinked by alkaline solution and SRNF was produced from fertilizer impregnated wastepaper, which applied to an experimental plot compared with a urea fertilized plot. The plant height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the radishes were higher while they were treated with SRNF than with urea. Some agronomic and chemical components were also observ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ertilizers were found. When the soil was treated with SRNF, the pH,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tent were higher than in the soil which was treated with urea.
        218.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질소 추비 시용수준을 달리한 비배관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금강밀과 조경밀을 공시하여 질소 추비 처리 수준별로 출수기, 생육, 종실특성 및 수발아 관련 형질을 비교하였다. 질수수준 증가에 따라 간장,수장, 경수 및 영화수가 증가했으나, 임실율은 2010년에는질소 50% 증비(108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2011년에는 100% 증비(144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밀 종실 특성 중 천립중, 리터중 및 수분함량은 질소수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 수량은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50% 증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였다. 종실의 단백질 함량을 살펴보면 질소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 증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금강이 조경보다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밀 종자의 수발아 관련 형질간 비교에서는 질수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 Germination index 및 ABA sensitivity가점차 감소했는데, 이는 종자의 수발아율을 낮추는 결과를가져왔다. 밀 종자의 Germination index는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조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밀 종자의 수발아율은 조경의 경우 50% 감비에서24.7%,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19.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질소 처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수발아율은 점차 감소하였다. ABA sensitivity와 수발아율 간에는 정의상관을 나타내어 ABA sensitivity를 간이 수발아 검정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