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4

        201.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벼의 함수율 및 온도별 안전저장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벼의 함수율은 16.1∼22.2%범위에서 4수준, 온도는 10∼3에서 3수준으로 저장하면서 외관, 발아율, 지방산가를 측정하였고, 안전저장기간의 온도 및 함수율 의존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의 발아율은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함수율이 높을수록 급격하게 저하한 반면, 지방산가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온도보다는 함수율에 의한 영향이 크게
        202.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나물 재배에서의 생리적인 현상과 포장이후의 선도유지 방법을 위한 특성을 호흡이라는 현상에서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1. 콩나물의 생육중에 발생되는 CO2 의 경우 1일차에는 5.80%, 2일차에는 10.49%로 급격하게 증가 후 3일차 이후부터는 11.5%로 평형을 유지하다가 5일차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O2 경우는 일차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일차 11.5%이후 급격하게 감소한 후 2일차 이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다가 5일차에는 4.90%로 약간의 증가 추이를 나타내었다. 2.콩나물을 밀폐된 장소(산소와 이산화 탄소의 비율을 7:3 정도)에서 생육을 시키면 식물 생육시 필요로 하는 CO2 량이 증가(대기중 0.035%)하고 량이 감소(19-20%)하여 생장조정 물질인 에틸렌gas량이 자연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이에 인위적으로 일정량의 에틸렌(농도 0.5-1.0 ppm)gas를 처리하면 콩나물의 길이생장이 억제(6-7cm)되고 부피가 증가(2.70± 0.30mm)하였으며, 이러한 생장조정제를 적절하게 이용하면 생장물질이 체내에 잔류되지 않으면서 통통하고 짧은 양질의 콩나물이 생산된다. 3. 콩나물은 10˚ 이하(8˚ )에서 보관하면 약 60 시간 이상까지도 내부의 CO2 농도가 30%이상을 넘지 않아 이취발생이 되지 않고 선도가 유지되나, 13˚ 에서는 25시간 경과시 CO2 농도가 30%를 넘어 이취 발생이 심하게 나타났다 O2 함량도 5˚ 에서는 30시간까지 소량의 산소가 존재하였으나 10˚ 이상에서는 7시간 이후 산소가 소멸되어 이취 및 짓무름의 원인이 되었다.
        203.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마토와 자두의 포장방법 및 저장 온도가 과실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저장 중 중량감소율, pH 및 적정산도, 색도, 경도,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하였다. 중량감소율은 보다 4 저장 시험구에서 보다 적게 나타났으며 포장재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중량감소율이 적게 나타났다. 저장 중 pH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포장방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적정산도의 경우 저장온도와 포장
        204.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검은비늘버섯(CBPM-6호)의 선도유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포장재(Wrap, PE, PP, AE)및 저장온도(1, 3, 6)을 달리하여 18일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장기간 중 포장재별 중량 감모율은 랩포장시 1에서 18일 후 3.17%이었으나, AF필름에서는 1.08%의 낮은 중량 감모율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저장기간이 연장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약간 증가하는 반면 랩 포장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버섯 저장 전
        205.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실제 저장 유통되는 조건 하에서 생선의 품질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대표적 생선인 고등어, 조기, 꽁치를 대상으로 미생물과 pH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둥어의 저장조건으로는 실제 유통되고 있는 조건인 실온 얼음상과 에 저장하면서 그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조기와 꽁치는 와 4에 각각 저장하면서 저장온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고등어의 초기 총균수는 3.2CFU/g 이었으며 실온 얼음상에서는 저장 6일 후 8.4까지 증가하였다. 반면,
        206.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간이저장시 무분별한 야적에 의해 발생하는 부패를 감소시켜 양파의 상품성 향상 및 안전저장을 목적으로 적재 방법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기온은 4열 8단에 비해 1열 6단은 1.6~3.2, 1열 8단은 0.5~3.5, 2열 6단은 1.3~.6, 2열 8단은 0.1~2.4, 4열 6단은 0.1~1.8가 낮았고 상대습도는 열수가 많을수록 높았다. 부패율은 4열 8단 16.6%에 비해 1열 6단 11.4%, 2열 6단 11
        207.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의 새로운 소비형태인 풋땅콩의 적정 저장방법을 구명하고자 생협실 및 증자협 실을 상온 및 4에서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상온 및 4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생협실과 증자협실 모두 상온저장이 4저장보다 감소율이 높았으며, Ny/LDPE film 진공포장이 LDPE film 포 장보다 감소율이 낮았고 증자협실이 생협실보다 감소율이 높았다. 상온 및 4저장 증자땅콩의 협 색상은 저
        208.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bacco seeds (Nicotiana tabacum L. cv KF109) were primed in the polyethylene glycol 6000(PEG) solution and then stored at 5 and 25~circC under 40, 60 and 80% relative humidity (RH) conditions for six months.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on mean germination time (T50 ), longevity and germination of the primed tobacco seeds were compared. Untreated seeds (control) stored at 5~circC showed high germinability throughout the entire storage period and humidity, and a decline in germinability showed after 6 months at 60% RH and after 3 months at 80% RH when stored at 25~circC , Primed seeds retained high germinability until 6 months at 60% RH and 3 months at 80% RH when stored at 5~circC but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in germinability after 3 months at 40% RH, and 1 months at 60% and 80% RH, respectively when stored at 25~circC , Primed seeds were completely lost viability when stored at 25~circC under 60% RH for 6 months and under 80% RH for 3 months.
        209.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장실험용 과실로 사과와 배를 경남 거창군 및 하동군 지역의 재배농가에서 저장실험 당일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구입즉시, 습도가 70%(저장온도 ), 80%(저장온도 1) 및 90%(저장온도 5)로 유지되고 있는 정온실에 보관하면서 처리기간별로 채취하여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저장습도 90%(저장온도 5)조건하에서 사과와 배를 저장할 경우, 중량손실율이 최소가 되었으며, ascorbic acid의 감소율을 크게 줄일 수 있었고,
        210.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단감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polythylene 필름 포장방법에 따른 단감의 물성 및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방법에 따른 단감의 품질 변화는 농가에서 사용하는 5개씩 포장하여 저온저장시에는 저장 120일가지 저장성을 유지하였고, 1개씩 포장한 경우에는 저장 150일가지 저장이 가능하였고, 품질면에서 아주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PE 필름 두께에 따른 품질의 변화는 일반 농가에 사용하고 있는 0.06mm PE 필름으로 포
        211.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respirat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sugaru' apple(Malus domestica Borkh) during storage at 4C, 10C and 20C. Respiration rate of the apple just after harvest was 7.57 mL CO/kg/h at 20C. It was decreased rapidly and was 2.86 mL CO/kg/h after storage for 45 days at 20C. The apples showed the highest ethylene production rate at 10C and 20C after 14 days, and at 4C after 28 days during storage. Weight of the apple was reduced by 2.9% after 120 days at 4C and by 6.1% after 45 days at 20C. Color difference of peel and pH increased with the temperatures but titratable acidity and flesh firmness showed the reverse trends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he subjective quality test,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shelf-life of the apple is 86 days at 4C, 65 days at 10C and 37 days at 20C, respectively.
        212.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추저장 중 포장재별 중량감소는 LDPE, PP 및 HDPE film처리가 포장재간 큰차이 없이 1% 미만의 매우 작은 감소를 보였으나, 무포장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부추즙액의 당도는 입고시 6.0 Brix에서 무포장 2주째에 4.6 Brix로 크게 감소되었으며, LDPE film등 포장재처리는 밀봉처리에서 4.9-5.9 Brix로 감소폭이 적었고, 탈기처리시에는 4.5-4.7 Brix로 감소폭이 다소 큰 경향이었다
        213.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저장조건을 저온(2-4, 80% RH), 움식(3-15, 75-85% RH), 실온방열(10-23, 75-98% RH) 및 상온(2-, 62-72% RH)으로 구분하여 저장 중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양파의 발아율은 저온 저장된 양파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저온 저장된 양파에서는 저장 11개월까지 거의 발아되지 않았다. 양파의 부패율은 실온방열 저장된 양파를 제외하고는 7개월까지 낮았으나 7개월 이후에는
        214.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늘퓨레를 제조하였을 때 원료로 사용된 마늘의 저장온도와 퓨레의 pH 및 온도가 변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마늘퓨레의 변색은 저온저장했던 마늘로 퓨레제조시 심하게 나타났으며 pH 4.0, 2와 조건에서 청변이 가장 심하였다. 변색의 양상은 녹변, 청변, 그리고 갈변의 세가지 형태로 나타났으며 산화적 갈변을 제외한 녹변과 청변은 변색정도의 차이일 뿐 같은 기작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변색색
        215.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low the effect of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nges on garlic quality according to its ecotypes and storage temperatures. The changes of water, total soluble solids, crude stein, md total fructans were measured and the rates of respiration and sprouting were analyzed during storage at 20 and 30. The decrease of water content and the increase of total soluble solids were reversely appeared during garlic storage.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gradually increased during storage but total fructan content was decrased. The respiration late was maximized at 60days after storage and the spouting rate was gradually increased. In the aspect of ecotypic characteristics, the water content, fructan content and sprouting rate were higher in 'Namdo' cultivar than those of southern type. The high storage temperature (30) controlled spouting and loss of fructan, and it was effective to maintain the garlic quality.
        216.
        199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stnuts(Castanea cretana, Eunki) were used for quality evaluations from the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oints of view during storage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and relative humidities for 8 months. Quality criteria included spouting, rotting, weight loss, and the changes in moisture, total sugar, reducing sugar, and total vitamin C of the stored sample. Sprouts(roots) were developed in about 2 months in all stored samples which had been mixed with sawdust(50% moisture) and stored under the conditions of 2∼25 and 62∼95% RH. The sprout development was more significant in the storage temperature of Pit(96, 805% RH, PT)and room(167, 8510% RH, RT) than low(31%, 805% RH, LT)and ambient(1411, 675% RH, AT). The rates of rotting and weight loss were appreciable in the order of PT, AT, RT and LT, and those of LT were 1∼2%. The use of wet sawdust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moisture contents in stored samples, thereby causing the rotting phenomena. Some chemical components of stored samples were found liable to the changes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that is; total sugar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long with a temporary increase during storage, and both reducing sugar and vitamin C were similarly accumulated in the samples stored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ng-term storage of chestnuts will be possible in either cases of the application of low temperature following sprout-inhibition treatment or the use of lower temperature than 0 to suppress its sprouting during storage.
        217.
        199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hocused on the improvement of postharvest management of fresh shiitake to increase the marketing duration. the respiration rate of fresh shiitake at 2 was ranged from 395mg to 551mg CO2/kg/hr depending on the cultural condition. The rapid precool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stharsvest management to remain shiitake quality. The optimum temperature for precooling and storage was -3 because the occurrence of physical damage on frozen tissue at below -5. Frozen storage at -3 had benefits to minimize weight loss, browning induction at gill tissue and consumption of stored materials where as storage at appeared not to be adequite for the extension of marking duration. Frozen shiitake was succesefully thawed when exposed to RH 40-50% at below 1.
        218.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한방(韓方)의 생약제(生藥劑) 또는 생식용(生食用)으로서 마의 소비량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 년중(年中) 출하(出荷)를 위한 안정적인 저장방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시험은 마의 저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저장온도와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저장 또는 상품성과 관련된 형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고 같다. 1.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건전개체율은 상온저장과 저온저장 모두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높았고 상온저장에서는 흙, 저온저장에서는 PE film을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한편 중량감소율은 상온과 저온저장 모두 타충진재(他充塡材)에 비하여 PE film과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2. 충전재과(充塡材科)에 따른 저장 후 상품성(商品性)과 관련된 명도(明度)와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저온저장에 비하여 상온저장에서 낮았으며, 충전재(充塡材)는 저온저장에서 PE film을 이용할 경우 명도 및 색도 a값이 높고 색도 b값이 낮은 반면,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PE film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3. 충전재료별 저장 후 상품수량은 건전개체율 또는 수분함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 부패정도가 30~60%, 60% 이상인 것, 중량감소율 또는 색도 b값과 부(負)의 상관(相關)으로 분석되었다.
        219.
        199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helf-life of 'Fuji' apples (Malus domestica Borkh) after CA storage. Apples stored In 1%O2+3%CO2, 2%O2+3%CO2 and 3%O2+3%CO2 at 2 and 4 for 8 months were stored in air at 10, 80-85% RH for 16days. As a result of objective analysis, apples stored at 2 wert mort effective in retarding the loss of weight flesh firmness, titratable acidity and peel color than those stored at 4, but not the loss of soluble solid. Among storage atmospheres, 1%O2+3%CO2 at 2 was more effective in retarding the loss of flesh firmness and green color than other atmospheres. Shelf-life of apples kept at 2 estimated above 16 days. The contents of acetaldehyde and ethanol were not observed tn make large difference between storage conditions, but ethanol content of apples stored in 3%O2+3%CO2 at 4 was Increased slightly for 16 days.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s, apples stored at 2 were significantly harder, juicier and more acid than chose stored at 4. Particularly, high scores of apples stored in 1% and 2%O2+3%CO2 at 2 Persisted for 16 days. Juiciness, hardness acidity and sweetness were related to the flesh firmness and titratable acidity. Overall acceptability was closely related to juiciness and hardness.
        220.
        199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and the best packaging method of dried persimmons for long term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e package material to be used were 0.05mm polyethylene film, Wrap film, 0.08mm LDPE film exchanged nitrogen gas, and non package for untreated control. Before the storage, the initial moisture contents of dried persimmons were treated with 40%, 35% and 30%, respectively; 40% as traditional dryness, 35% as extending dry period one more week, and 30% as for two more weeks. The best package method was 0.08mm LDPE film exchanged nitrogen gas, and the optimum moisture control was 35%
        11 12